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최대량
최고
d라이브러리
"
최대
"(으)로 총 4,326건 검색되었습니다.
정자에 관한 색다른 보고서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펼쳐졌다. 마치 여러 대의 기차가 한꺼번에 몰려서 이동하는 듯했다. 큰 무리는 정자가
최대
100마리나 됐다. 무어 교수는 무리를 이루는 정자들이 그렇지 않은 정자들보다 훨씬 빠르게 움직인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혼자일 때보다 무리일 때 유영속도가 50%나 더 빨랐다. 그만큼 무리 속 정자가 난자와 ... ...
살찌지 않는 건강식 문어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달리 참문어의 주산지는 수온이 높은 남해안이다. 참문어는 몸 크기가 0.6cm 안팎으로(
최대
1.3m) 대문어에 비해 작은 편이며, 수명도 2년 정도에 불과하다. 왜문어라는 별칭도 여기에서 유래했다. 참문어는 대문어에 비해 몸이 비교적 단단하며, 색깔이 붉다고 해서 피문어로도 불린다.갑옷을 벗어 던진 ... ...
미래형 산타클로스 썰매!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2호
특별해야죠!빙고! 그래서 나노구조의 작은 구멍이 나 있어 썰매가 받는 공기 저항을
최대
90%까지 줄일 수 있는 외피를 만들 거예요. 뿐만 아니라 썰매 앞에는 레이저가 달려 있어 가장 빠른 길을 찾아 빛을 비춘답니다.정말 판타스틱하네요! 하지만 많은 선물들은 어떻게 다 싣나요? 그것도 무척 ... ...
얼음 위의 날쌘돌이
수학동아
l
2010년 02호
얼음에 끌려 마찰만 생길 뿐이야. 그래서 스케이팅에서 무릎을 펼 수 있는 각도는 160°가
최대
야.최고의 경기장 환경순수한 물로 얼음을 만들면 물분자끼리 잘 엉겨붙어 마찰이 적은 매끈한 빙판을 만들 수 있다. 얼음 표면에는 움직이는 물분자층이 덮여 있는데 온도에 따라 미끄러운 정도가 다르다. ... ...
알뜰살뜰 세뱃돈 불리는 법
수학동아
l
2010년 02호
민족
최대
의 명절인 설을 앞두고 아이들은 세뱃돈 받을 생각에 기분이 들뜨기 마련입니다. 하지만 주머니가 얄팍해진 어른들은 세뱃돈을 얼마나 줘야 할지 고민입니다. 이처럼 설에 주고받는 세뱃돈은 오랜 풍습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지금부터 세뱃돈에 얽힌 수학 이야기를 찾아 떠나 보도록 해요 ... ...
국내 최초 달리는 로봇 휴보2 전격해부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1g의 전쟁’이라고까지 표현했다. 휴보센터는 휴보2의 설계가 한창이던 2006년 개발의
최대
목표를 ‘경량화’로 삼았다. 다 만든 로봇을 ‘생각보다 무겁다’는 이유로 분해한 뒤 처음부터 다시 설계한 적도 있었다. 이런 노력의 결과 배터리를 제외한 휴보2의 무게는 불과 37kg밖에 되지 않는다. ... ...
21세기, 철도가 부활한다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국철과 지하철이라는 두 가지 유형의 철도만 고집해왔다. 그러나 철도의 장점을
최대
한 활용하려면 여건에 맞는 다양한 철도형태를 도입해야 한다. 오는 7월 개통될 경기 용인경전철 ‘용인 에버라인’은 운전석이 없는 객차 한 량이 움직이는 운송수단이다. 객차가 줄줄이 연결된 기존의 기차 ... ...
태양보다 200배 큰 별 폭발 장면 잡았다 !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원소만 백색왜성에 남는다.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이론과 양자역학에 따르면 백색왜성의
최대
질량은 태양 질량의 1.4배를 넘을 수가 없다. 이를 찬드라세카르 한계라고 한다.질량이 찬드라세카르 한계에 가까운 백색왜성에 외부 질량이 유입돼 한계에 다다르면, 백색왜성 전체가 불안정해져 초신성 ... ...
[hot issue] 한반도 폭설과 한파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적도의 열기를 영국과 스칸디나비아반도를 거쳐 북극해까지 전해주는 지구
최대
의 ‘난방 보일러’이다. 그린란드에 도착한 멕시코만류는 그곳의 찬 바닷물을 만나 밀도가 높아져 심해로 가라앉고 다시 남쪽으로 돌아간다. 그런데 북극이 더워져 빙하가 녹기 시작하자 북대서양의 염분이 줄어 ... ...
밸런타인데이 초콜릿 파동 온다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것이다. 하지만 재배기술이 발달해 단위면적당 생산량이 늘어난 것은 아니다. 세계
최대
초콜릿 제조회사 마스(Mars)의 식물학자 호와드 샤피로 박사는 “30년간 단위면적당 카카오 생산량은 거의 변함이 없다”고 말한다. 결국 카카오 빈의 수확량을 늘리기 위해 재배지를 크게 확대했다는 뜻이다 ... ...
이전
197
198
199
200
201
202
203
204
20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