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예"(으)로 총 9,616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더욱 특별해진 동반자, 반려견 함께할개!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3호
- 박람회 ‘CES 2018’에 새로운 반려견이 소개됐어요. 바로 애완견 로봇 ‘아이보(aibo)’예요. 지난 1999년에 처음 개발된 아이보는 세계 최초의 애완견 로봇이에요. 2006년 단종됐다가 11년 만인 지금 부활한 거지요. 새로운 아이보는 인공지능을 탑재해 주인을 알아보고 반응해요. 이를 통해 주인의 ...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타르스키 문제수학동아 l2018년 03호
- 미클로시 러츠코비치는 상식을 깬 답을 찾았습니다. 타르스키 문제에 대한 답이 ‘예’라는 것을 증명한 겁니다. 러츠코비치는 속이 꽉 찬 원을 1040개의 점의 집합으로 잘 나누면 각 집합을 잘 평행이동한 뒤 모아서 넓이가 같은 정사각형을 만들 수 있다고 밝혔지요. 다만 이때 각 조각은 바나흐 ... ...
- [BJ맹추의 수동TV] 기사 속 수학 개념 완전정복수학동아 l2018년 03호
- 메뉴 중에 진호와 ‘카페에서 고른 메뉴’라는 관계로 맺어진 아메리카노가 나오는 거예요. 이것을 오일러가 고안한 기호로 표시하면 ‘f (진호)=아메리카노’가 되는 거지요! 수와 수의 관계는 특별하다 학교에서 배우는 함수도 카페에서 메뉴를 고르는 함수와 다를 바 없습니다. 차이가 있다면 두 ... ...
- [이승재의 매스일레븐3] 수학적 최적화수학동아 l2018년 03호
- 저 같은 축덕이야 TV로 봐도 경기가 재밌지만, 축알못에게는 빨리 채널을 돌리고 싶은 지루한 시간일 겁니다. 그런데 평소 축구가 싫다고 말하는 사람도 경기장에 가면 재밌답니다. ... 더 늘릴 방법은 없는지, 시야를 가리는 좌석은 없는지 따져보세요. 경기만큼이나 재밌을 거예요 ... ...
- Part 2. 장비‘빨’ 제대로 받자!수학동아 l2018년 03호
- 때와 같은 동작에서 근전도 검사를 하면 근육을 올바르게 사용하고 있는지 알 수 있다. 예로, 아이스하키 링크장의 얼음 상태에 따라 어떤 썰매 날을 쓰는 게 좋은지 알게 됐다. 파라 아이스하키 정승환 선수는 “회전은 얼마나 급하고 속도는 얼마나 빠른지 영상을 찍어 분석해줬다”며, “무른 ... ...
- [Culture] 우리 강아지, 유치원에 보내야 할까요?과학동아 l2018년 03호
- 보상과 연결지어 두려움의 심리 상태를 바꾸는 것인데요. 거미를 무서워하는 사람을 예로 들자면, 살아있는 거미가 아닌 영화 스파이더맨의 캐릭터를 보여주고, 귀여운 거미 인형을 경험하게 하고, 유리 집 안에 있는 아주 작은 거미를 멀리서 보는 등 조금씩 강도를 높여가며 스스로 다가갈 수 ... ...
- Part 2. 암호화폐 없는 블록체인 가능한가과학동아 l2018년 03호
- 주체가 존재하며, 많은 경우 해당 서비스를 사용하기 위해 사용자 관리가 필요하다. 예를 들어 사용자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검증하고, 이를 통해 참여가 허락된 이들만 비공개형 블록체인을 사용할 수 있다. 적절한 보상이 공개형의 특징공개형 블록체인에서 신뢰 관계가 없는 사용자들은 ... ...
- Part 3. 암호화폐 둘러싼 소문4, 진위 확인해 보니과학동아 l2018년 03호
- 추가해 실력을 향상시키는 시스템을 도입하는 것이 소프트 포크라면, 하드 포크는 아예 육상 선수의 몸 자체를 바꿔버리는 것으로 비유할 수 있다. 문제는 블록체인의 특성상 암호화폐에서는 이 과정이 아주 민주적인 절차에 의해 일어난다는 점이다. 가령 마이크로소프트에서 윈도우 업데이트는 ... ...
- [이투스교육] 지각과 생명체를 구성하는 물질과학동아 l2018년 03호
- 만들 수 있다. 자기공명영상(MRI) 장치, 자기부상열차 등이 이런 초전도 현상을 이용한 예다. 여러 가지 신소재의 개발과 이용탄소 원자의 결합 구조와 배열을 변화시킨 신소재인 풀러렌과 탄소나노튜브, 그래핀은 탄소 나노 소재를 이용한 ‘3종 세트’로 불린다. 풀러렌은 1985년 발견됐으며,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3호
- 재미있는 건, 미토콘드리아가 먼 옛날에는 독립적인 세포였을지도 모른다는 거예요. 과학자들은 어느 날 미토콘드리아가 다른 세포에게 잡혀 함께 살면서 그 안에 자리를 잡게 됐다고 생각해요. 이를 ‘세포 내 공생설’이라고 한답니다 ... ...
이전19819920020120220320420520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