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예"(으)로 총 9,616건 검색되었습니다.
- 제20회 전국학생통계활용대회수학동아 l2018년 05호
- 때문이다. 작년 출품작 중 ‘SNS를 활용하여 작심삼일 이겨내기’ 같은 통계포스터를 예로 들 수 있다. 학생들이 많은 관심을 갖고 있는 SNS에 스스로 세운 목표와 그 진행 과정을 게시함으로써 작심삼일을 이겨낼 수 있는지 통계적으로 분석해 본 것이다. 실생활뿐만 아니라 과학, 환경 등 다양한 ... ...
- 도넛 위에서 게임을? 틱택토의 무한변신수학동아 l2018년 05호
- 속에 틱택토가? 슈퍼 틱택토!이제 틱택토 계의 끝판왕, ‘슈퍼 틱택토’를 소개할 차례예요. ‘최상의 틱택토’라고도 부르는 슈퍼 틱택토는 게임판 크기가 크게 보면 3×3인데, 각 칸에는 또다시 3×3 게임판이 있어서 사실상 9×9인 셈입니다. 규칙은 이렇습니다. 9개의 3×3 틱택토 중의 하나를 선택해 ... ...
- Part 2. 우리가 필수가 아니라고?수학동아 l2018년 05호
- 알고 싶다면 ‘곡선과 그래프’경제 현상을 분석할 때는 그래프도 필요합니다. 예를 들어 국민 소득을 나타낼 때 이용되지요. 미국의 경제학자 맥스 오토 로렌츠는 한 나라 국민의 소득 분배 상태를 분석하기 위해 로렌츠 법칙을 만들었습니다. 인구의 누적 비율과 소득의 누적 점유율 사이의 관계를 ... ...
- Part 1. 현존 가장 안전한 보안기술과학동아 l2018년 05호
- 15를 동형암호로 암호화한 결과를 쉽게 말하면 각각에 매우 큰 수(비밀키)를 더한 값이다. 예컨대 10과 15를 12345라는 비밀키로 암호화한 수는 10+(12345×3), 15+(12345×5) 같은 수가 될 수 있다. 여기서 3과 5는 비밀키를 감추기 위해 임의로 부여하는 수다. 이제 데이터 분석을 위해 10과 15를 더하는 상황을 ... ...
- 그 소원, ‘가상현실’이 이뤄 드립니다!수학동아 l2018년 05호
- 보는 데 그치지 않고 반려동물을 대하듯 직접 만지고 먹이를 주며 서로 교감하는 거예요. 초, 중, 고등학교에서는 모션 트래킹 기술과 AI를 이용해 여러 체험을 할 수 있습니다. 가상공간에서 다양한 직업을 경험해 보면 진로를 선택할 때 도움이 될 수 있고, 역사 속 장면을 재현한 가상공간에 ... ...
- Part 1. 시험장에서 쫓겨난 기하의 항변수학동아 l2018년 05호
- 수능 출제 범위에서 빠졌습니다. 이런 수학이 산업기술에 어떻게 쓰이냐고요? 예를 들어 하늘에서 나는 드론을 어떻게 움직이게 만들지 생각해 봅시다. 이때 공중에 띄울 드론의 수와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드론들이 언제, 어디에 있어야 할지 계산해야 합니다. 그리고 각 드론이 움직일 경로를 ... ...
- 움직이고 부딪치는 운동량과 충격량과학동아 l2018년 05호
- 변하지 않고 보존 된다는 것이다. 운동량 보존 법칙을 설명할 때 가장 많이 사용되는 예는 당구공의 충돌이다. 위 그림에서처럼 운동을 하는 당구공이 있다. 이때 왼쪽에 있던 당구공 A가 오른쪽의 당구공 B와 충돌하고, 충돌 뒤 두 당구공 A와 B는 진행하던 방향으로 운동을 계속한다. 두 당구공이 ... ...
- [영재교육원 탐방 4] 집중하는 영재 기른다수학동아 l2018년 05호
- 융합되는 과정을 이해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김 원장은 거대 소수 찾기 프로젝트를 한 예로 들었다. 소수를 찾는 프로그램을 만들어 아직 발견하지 못한 새로운 소수를 찾는 프로젝트로, 수학과 SW의 융합이다. 김 원장은 “미래에는 수학으로 풀어낸 식을 컴퓨터 코드로 바꾸는 능력이 중요해질 ... ...
- Part 1. [롤러코스터] 4차원 뫼비우스 띠?!수학동아 l2018년 05호
- 띠와 클라인 병은 비가향 다양체예요. 아까 클라인 병을 이해하는 데 뫼비우스 띠가 좋은 예라고 했죠. 그 이유는 2차원 다양체가 뫼비우스 띠를 품고 있으면 비가향 다양체기 때문이에 롤러코스터요. 클라인 병을 반으로 딱 잘라서 보면 양쪽으로 늘어난 뫼비우스 띠를 볼 수 있답니다 ... ...
- [과학동아 X KRISS] 130년 만에 플랑크 상수로 다시 태어나는 킬로그램(kg)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시스템을 완성했다”며 “5년 이내로 안정적인 실험값을 낸 뒤 외국과 실험값을 비교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역학표준센터 연구팀은 키블 저울을 설계할 때 우리나라만의 독자적인 디자인을 적용했다. 저울을 가동할 때 힘이 수직방향 외에 다른 방향으로 분산되지 않도록 ... ...
이전19519619719819920020120220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