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토지
지면
육지
대지
흙
대륙
뭍
d라이브러리
"
땅
"(으)로 총 3,793건 검색되었습니다.
2부. 훌륭한 리더는 수로 다스린다!
수학동아
l
2010년 01호
문종이 처음 측우기의 필요성을 느끼고 발명에 참여했습니다. 문종은 비가 온 양을 젖은
땅
의 길이로 쟀던 기존의 방법이 매우 불명확하다고 느꼈어요. 토양의 성질에 따라 비가 많이 스며들기도 적게 스며들기도 했거든요. 문종은 구리 그릇을 만들어 그 그릇에 고인 물의 높이로 비가 온 양을 ... ...
찰칵 사진으로 떠나는 생태여행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1호
(류종성, 베스트 포토)‘고맙습니다~!’서울의 한 숲길에서 만나 친구가 된 다람쥐예요.
땅
콩을 주자 눈을 찡긋하는 모습이 마치 감사의 윙크를 하는 것 같아요 ... ...
미래 기후 예측 빙하시대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6호
얼음이 있었던 적은 드물었단다. 전세계 빙하의 85%가 남극대륙을 덮고 있어 그 안의
땅
은 잘 보이지도 않지. 이 빙하가 녹으면 지구의 모든 강과 호수를 합한 것보다 200배 많은 물이 된다고 해. 어마어마하지? 빙하가 많이 발달했던 고위도 지역에서도 빙기의 흔적을 찾을 수 있어. 캐나다 로키 ... ...
특종! 맹꽁이 생태보고서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6호
구해 줘!맹꽁이는 본래 농촌의 논 주변과 밭에서만 살았어. 그런데 요즘은 농약 때문에
땅
이 오염되면서 맹꽁이들이 새 보금자리를 찾아 도시로 오기도 해. 이번에 맹꽁이가 발견된 미사리 조정경기장이 있는 하남시처럼 농촌이 도시화되면서 맹꽁이들이 자연스럽게 서울 인근에 살게 된 경우도 ... ...
나무 포유류의 조상 수미니아 제트마노비’!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6호
포유류가 아니라는 일부의 반응도 이해는 가요. 나무 위에 사는 진짜 포유류가 다시 이
땅
에 나타나는 건 지금보다 무려 1억 년이나 뒤의 일이니까요. 그러니 저에 대해 계속 연구해 주길 부탁해요 ... ...
[과학뉴스] “여름스포츠의 매력 속으로, 풍덩~!”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6호
것은 물의 부력과 표면장력 때문입니다.
땅
에 서 있을 때는 지구가 잡아당기는 중력과
땅
이 위로 밀어 올리는 수직항력이 같기 때문에 가만히 서 있을 수 있습니다. 그런데 물에 서 있게 되면 중력이 훨씬 커서 가라앉을 수밖에 없죠.하지만 수상스키를 탈 때는 넓은 스키 판이 앞뒤로 기울지 않게 ... ...
꽃매미를 추적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3호
국립농업과학원 김광호 박사로부터 무전이 왔다.“명탐정 P! 일반 매미는 수년 동안
땅
속에서 지낸 뒤에야 성충이 되어 밖으로 나올 수 있어. 하지만 꽃매미는 10월경 나무에 알을 낳고, 그 알은 이듬해 5월이 되면 성충이 되지. 또한 한 번에 낳는 알의 숫자도 400~500개나 된다네. 다른 매미보다 더 ... ...
산바람 도시 탈출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2호
돌풍이 생긴다!바람이 건물에 부딪치면 상하좌우로 퍼지게 된다. 아래로 흘러간 바람은
땅
에 부딪친 뒤 위로 다시 솟구치며 소용돌이를 만들어 낸다. 양 옆으로 흘러간 바람은 건물 사이의 좁은 공간을 통과하면서 속도가 더욱 빨라져 돌풍이 된다. 이렇게 갑작스럽게 생긴 돌풍을 ‘빌딩풍’이라고 ... ...
② 꼼꼼히 계산하면 친환경 보인다.
수학동아
l
2009년 12호
1년으로 계산하면 고기 164kg, 곡물 95kg가 나왔다. 같은 양의 닭과 곡물을 키우는 데 필요한
땅
의 면적으로 바꾸니 8400m2(축구장 넓이는 7140m2)에 달했다. 다르게 표현하면 국내 최고급 자동차 2대를 만들어 1년에 1만km를 달릴 때 드는 에너지와 같다는 것이다.마찬가지로 고양이 1마리는 1500m2가 필요해 ... ...
[수학 통조림] 단위를 요리하라!
수학동아
l
2009년 12호
사고, 집을 짓고, 고기를 살 때 우리 모습을 가만히 관찰해보자. 내 발의 크기를 재고,
땅
의 크기를 확인하며, 방이나 거실의 크기도 잰다. 또 고기 양은 저울로 달아본다. 크리스마스를 손꼽아 기다리며 날짜를 세어 보기도 한다. 외국에서 물건을 살 때는 돈의 가치를 따진다. 이렇게 매일 측정을 ... ...
이전
198
199
200
201
202
203
204
205
20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