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토지
지면
육지
대지
흙
대륙
뭍
d라이브러리
"
땅
"(으)로 총 3,793건 검색되었습니다.
밸런타인데이 초콜릿 파동 온다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비가 많이 내리는 열대우림 지대에 주로 살고 있다. 그런데 카카오 나무는 뿌리가
땅
에 얕게 퍼지는 성질 탓에 가뭄에 몹시 약하다. 최근 수년간 카카오 재배 지역에 가뭄이 닥치면서 카카오 농가들은 수확에 애를 먹기도 했다. 게다가 최근 기후 변화로 가뭄이 잦아지면서 상황은 더 악화되고 있다 ... ...
과학으로 디자인한 우리 옷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역시 바이어스 효과가 숨어 있다.버선은 벗어 두면 납작한 평면 구조지만 신고 발 을
땅
에 디디면 발목과 발등의 경계 부분이 접히면 서 자연스럽게 입체 모양이 된다. 이때 발뒤꿈치 부 분은 신축성 있게 늘어나며 발이 받는 압력을 줄인 다. 당기는 힘의 방향이 옷감의 날실 또는 씨실 방 향과 ... ...
상상을 초월하는 별난 동물 이야기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만한 동물에 대한 수수께끼가 있다. 목도 길고 다리도 긴 기린은 머리를 하늘로 들었다가
땅
으로 내릴 때 피가 머리에 쏠려 어지럽지 않을까. 고래의 나이는 귀에 들어 있는 귀지를 보면 알 수 있다는데, 사실일까. 천적이 보기에 빈 방처럼 보이도록 속임수를 써서 집을 짓는 새도 있을까.기린은 ... ...
얼음요정이 사는 세계로 고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2호
얼어붙는다. ▲겨울철 서리의 모습. 서리는 영하의 추운 겨울철 수증기가 이슬이 되어
땅
에 내렸다가 얼어붙어 생기는 것이다. 서리가 생길 때의 기온에 따라 여러 가지 모양의 서리가 생길 수 있다.예술이 된 얼음너무 추워~! 이번엔 날 또 어디로 데려온 거야? 우리나라 맞아?후훗, 여기는 ... ...
미래형 산타클로스 썰매!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2호
소재예요. 밤새 전 세계를 날아다니는 산타클로스 썰매에 제격 이죠. 게다가 썰매날은
땅
위를 달릴 때는 매끈한 직선 형태 이다가, 지붕에 내려앉을 때는 미끄러지지 않도록 넓게 펴지게 된답니다.그야말로 미래형 기술이네요! 하지만 뼈대만 튼튼하 면 되나요? 썰매를 덮는 재료도 특별해야죠!빙고! ... ...
구름을 타고 날아라~! - 서유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2호
내려오기도 전에 사라지고 말겠죠?구름을 타고 날아다닐 수 있을까?만약 근두운이
땅
가까이 내려와도 사라지지 않고 그대로 있다고 생각해 봐요. 그럼 손오공은 정말 근두운을 타고 마음대로 하늘을 날아다닐 수 있을까요?구름은 물방울이나 얼음 알갱이가 모인 것이라고 했어요. 작은 물방울과 ... ...
첫째 날 M-214호에 떨어지다
수학동아
l
2010년 02호
길을 따라 가다 보면 길 위에 거꾸로 매달려 있게 돼. 물론 당사자는 그저 평평한
땅
위에 서 있다고 느끼지만, 행성 밖 사람에겐 네가 거꾸로 매달려 있지.이 행성의 여행사에선 무한궤도 여행권도 팔아. 길을 따라가면 무한히 돌면서 여행도 할 수 있거든! 길을 따라 한 방향으로만 여행해도 이 ... ...
그림 속 숨은 과학찾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1호
반대로 아리스토텔레스는 사람의 경험을 중요하게 생각했어요. 그래서 사람이 살고 있는
땅
을 가리키고 있어요.그림 왼쪽 아래에 오른쪽 무릎을 꿇고 앉아 책에 뭔가 열심히 쓰고 있는 사람은 유명한 수학자인 피타고라스예요. 피타고라스는 “수학은 현의 울림에서 나온다”고 말하며 음악과 수학 ... ...
도전! 지구 해설가, 어린이 도슨트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살지 않았다. 바다생물인 암모나이트가 살던 중생대에 우리나라는 이미 물 밖으로 나와
땅
이 되었기 때문이다. 중생대 공룡에게는 알화석도 있다. 공룡의 알은 보통 가지런히 모여 있는 상태로 발견되는데 이를 통해 어미 공룡의 모성애가 지극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어린이도슨트 되기 3단계 ... ...
한반도 호랑이 복원 프로젝트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이항 교수도 “현재는 극동러시아라고 부르는 이 지역이 사실은 고구려와 발해, 즉 우리
땅
이었듯이 그곳에 살고 있는 호랑이들도 우리 호랑이”라며 “우리도 더 넓은 시선으로 극동러시아에 있는 호랑이를 보호하는 데 힘써야 한다”고 강조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한반도 호랑이 복원 ... ...
이전
196
197
198
199
200
201
202
203
20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