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합
협회
합동
합작
협력
연맹
교제
d라이브러리
"
공동
"(으)로 총 4,032건 검색되었습니다.
콩심은 데 콩난다! 우리 가족이 닮은 이유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8호
(그 특징이 나타나는 것)되지 않거나, 한 가지의 특징을 나타내는 데 여러 가지 유전자가
공동
으로 작용하는 등 아주 복잡하단다.DNA의 95%는 쓰레기?사람의 DNA에는 30억 개가 넘는 암호가 들어 있어. 하지만 이중에 단백질을 만들어 내는 의미 있는 암호는 5%도 되지 않는단다. 나머지DNA는 유전정보를 ... ...
오싹오싹 짜릿짜릿 공포의 숲을 탈출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6호
인해 죽음을 당해 원한이 맺혀 있다.
공동
체에 누군가가 나를 원망하고 있다는 사실은
공동
체 의식이 강한 동양 사람들에겐 두려움을 가져다 준다. 하지만 개개인의 삶이 더 중요한 서양 문화에서는 두려움의 대상이 아닌 것이다 ... ...
자기치료물질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개발에 참여했다. 아이다 다쿠조 도쿄대 교수는 이명수 서울대 화학부 교수 연구팀과
공동
으로 이 같은 자기치료물질을 개발해 올해 초 ‘네이처’에 논문을 발표했다. 아이다 교수팀은 연구전체를 주관하고, 이 교수팀은 전자현미경으로 물질의 3차원 구조를 분석하는 일을 맡았다.하이드로겔(물로 ... ...
브누아 만델브로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노이즈에 칸토어 집합과 유사한 구조가 있음을 알아냈다. 그는 나중에 리처드 보스와의
공동
작업에서 이를 더욱 발전시켰다. 리처드 보스는 버클리 캘리포니아대에서 물리학으로 학위를 받았고, 왓슨 연구소의 저온물리학 실험실에 근무하고 있었다. 보스는 ‘1/f 노이즈’에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 ... ...
미생물 바이오 공장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생산하는 미생물과 생산기반기술을 개발했다. 최근에는 서울대 박영환 교수팀과
공동
으로 대사공학으로 개량한 대장균을 이용해 세계 최고 수준의 거미 실크 단백질을 생산했다. 아주대 응용학생명공학부의 이평천 교수도 식품, 화장품, 정밀화학 소재로 사용되는 카로티노이드를 만드는 대장균을 ... ...
산업에서 의료까지 레이저가 다듬는다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국산화에 성공했다.의료 현장과 협업도 활발히 하고 있다. 정 교수는 “최근 임상의사와
공동
으로 의료현장에 필요한 레이저 시스템을 연구했다”고 말했다. 정 교수는 레이저 에너지의 출력과 시간, 파동과 파장의 패턴을 조절해 피부과와 한의과 진료에 적합한 시스템을 개발했다. 그는 “산업용 ... ...
맞춤의학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넘어섰다는 평가다.한국은 서울대 유전체의학연구소가 아시아인의 게놈을 분석하는 국제
공동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테라젠은 게놈데이터를 분석해 맞춤의학 정보를 알려주는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고 있다. 최근엔 삼성의료원도 맞춤의학에 시장에 뛰어 들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2 ... ...
Part 1. 한의학은 과학이다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아니라 벌침에서 모은 봉독을 주사제로 만들어 사용한다. 배 교수팀은 자생한방병원과
공동
으로 봉독의 작용 메커니즘을 연구하고 있는데 최근에는 DNA칩을 이용해 봉독이 염증유발에 관여하는 여러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한다는 사실을 밝혀내기도 했다.배 교수는 “봉독의 경우 자체가 항염증 ... ...
제10회 ‘올해의 여성과학기술자상’ 발표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선정됐다. 시상식은 12월 중순쯤 개최될 예정이다. 동아사이언스와 한국연구재단이
공동
으로 주관하는 ‘올해의 여성과학기술자상’은 우수한 연구개발 성과로 국내 과학기술 발전에 기여한 여성과학기술인을 발굴하기 위해 2001년부터 시작됐으며 올해로 10년째다. 매년 이학(물리, 화학, 생명과학 ... ...
익룡은 장대높이뛰기 선수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하늘을 나는 방법이 과학적으로 규명됐다. 영국 포츠머스대와 미국 피츠버그대의
공동
연구팀은 익룡이 하늘에서 방향을 자유롭게 바꾸는 능력은 없지만 충분히 긴 시간 동안 하늘을 날 수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과학자들은 그동안 익룡이 오랜 시간동안 날지는 못했다고 생각해 왔다. 연구팀은 ... ...
이전
198
199
200
201
202
203
204
205
20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