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공동"(으)로 총 4,032건 검색되었습니다.
- 집게냐 손가락이냐 그것이 문제로다과학동아 l2011년 02호
- 물건을 미끄러뜨리지 않고 움켜잡을 수 있다.][성균관대 최혁렬 교수 연구팀과 KIST가 공동으로 개발하고 있는 덱스트러스 (손가락 형) 방식의 로봇손. 아직 개발 단계이지만 국내에서 가장 성능이 뛰어난 로봇손이 될 것으로 보인다.][한국생산기술연구원 로봇기술연구부가 개발한 로봇손 KITECH HAND. ... ...
- Part 3. 지구 살리는 구원투수 될까과학동아 l2011년 02호
- 때문이다. 따라서 그 정점의 선정부터 수행, 유지, 결말에 이르기까지 모든 과정은 공동의 이름으로 진행돼야 한다. 만일 지구공학을 사용한다면 각각의 방법마다 효과와 비용은 물론 안전과 부작용에 대해 이해해야 한다. 모든 지구공학은 저마다 한계와 문제점을 갖고 있다. 영국 학술원 보고서는 ... ...
- ‘상어는 색맹’과학동아 l2011년 02호
- 지금까지는 색을 구별할 수 있는지 확실하지 않았다. 호주의 서호주대와 퀸즈랜드대 공동연구팀은 광학현미경을 이용해 아주 작은 양의 물질을 분석하는 현미분광측광법으로 상어의 망막을 조사했다. 17종의 상어를 조사한 결과 10종의 망막에는 색을 구별하는 원추세포가 없었다. 나머지 7종류는 ... ...
- 보이지 않는 하늘의 제왕 스텔스과학동아 l2011년 02호
- 유일했다. 하지만 최근 들어 이야기가 달라지기 시작했다. 2010년 12월 러시아가 인도와 공동으로 그간 개발해 왔던 최신예 스텔스 전투기 ‘Su-50 파크-파’의 실제 생산에 들어간다고 밝힌 데 이어 지난 1월 11일에는 중국이 독자 개발한 스텔스 전투기 ‘젠-20(J-20)’이 시험비행에 성공했다. 젠(殲)은 ... ...
- 착한 과학, 행복을 퍼뜨리다과학동아 l2011년 02호
- 기초연을 중심으로 한 대전 정부출연연구원, 국립중앙박물관, 계룡산자연사박물관과 공동으로 200개 이상의 강의를 연다. 참가자들은 연구원 내부 시설을 체험하고 연구자들을 직접 만난다. 수업을 들으면 ‘주니어닥터 패스포트’에 도장을 찍는데, 일정 개수 이상의 도장을 모으면 인증서를 ... ...
- 남녀가 선호한 얼짱 각도는?수학동아 l2011년 01호
- 각도’에도 남녀 간 차이가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호주 뉴캐슬대와 맥콰리대 공동연구진은 남녀가 매력을 느끼는 얼굴 각도가 따로 있다고 최근 ‘발달심리학회지’에 발표했다.연구진은 실험에 참여한 부부들에게 고개를 여러 각도로 숙이거나 들게 해 사진을 찍었다. 그리고 얼굴 각도에 ... ...
- Part2. 우주 항해하는 '종이 돛단배'과학동아 l2011년 01호
- 접히는 ‘종이로봇’이 탄생했다. 2010년 6월 미국 메사추세츠공대(MIT)와 하버드대 공동연구팀이 개발한 종이로봇은 평면 형태로 누워 있다가 전기를 통하면 벌떡 일어나 구부러지면서 접힌다. 그들은 종이로봇이 배와 비행기로 접히는 모습을 영상으로 찍어 공개했다.이 종이로봇은 어떻게 접힐까. ... ...
- 트론 : 새로운 시작(Tron: Legacy)과학동아 l2011년 01호
- 샘 플린은 천재 프로그래머이자 거대 소프트웨어 기업 ‘엔콤’의 최대 주주다. 엔콤의 공동 설립자였던 아버지 케빈 플린(영화의 또 다른 주인공이자, 전작 ‘트론’의 주인공)이 20년 전 행방불명된 후 홀로 살았다. 그는 아버지의 옛 동료를 만나 열쇠를 건네 받는다. 샘은 그가 건넨 열쇠를 통해 ... ...
- 영재교육원 입시 어떻게 달라졌나?수학동아 l2011년 01호
- 교육청 영재교육원은 기존처럼 영재성 검사를 중심으로 학생을 선발하지만, 지역공동 영재학급은 관찰추천제로만, 방과후학교 영재학급은 관찰추천제와 영재성 검사 중 하나를 학교가 선택해 학생을 선발한다. 전문가들은 앞으로 모두 관찰추천제로 전환될 것으로 보고 있다. 서울시 교육청의 ... ...
- Part1. 초고체_원자 따로 노는 '구름' 결정과학동아 l2011년 01호
- 있다고. 이러던 차에 제자의 멋진(beautiful) 실험결과 소식을 듣고 이제는 대등한 파트너로 공동연구를 하기 위해 리켄을 찾은 것이다.“사실 초고체 현상은 아직까지 이론으로 명쾌하게 설명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여러 가설을 세우고 이를 입증하는 실험을 계속해 나가야지요.”김 교수의 ... ...
이전19619719819920020120220320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