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설명"(으)로 총 10,445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구사랑탐사대] 윈터 윙즈, 겨울엔 어떤 새를 만날 수 있나요?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2호
- 박새, 직박구리, 동고비, 콩새, 곤줄박이 등의 사진을 보여주며 각각의 새들의 특징을 설명해 주셨어요. 이 새들의 공통점은 추운 계절 다른 나라로 떠나는 철새가 아닌, 우리나라에서 겨울을 나는 텃새라는 거지요.연구원의 강연이 끝나고 지사탐 대원들은 직접 그려온 새의 특징에 대해 ... ...
- 영구동토, 온실 기체를 뿜뿜!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2호
- 이 지형이 생기면 물 웅덩이 아래의 영구동토는 더 빨리 녹으며 온실 기체를 방출한다고 설명했지요. 연구팀은 미국 알래스카와 러시아 시베리아의 영구동토 지역을 다니며 열카르스트 호수 72곳에서 메탄 기체가 얼마나 방출되는지 측정했어요. 그리고 천천히 녹고 있는 영구동토 지역 5곳과 ... ...
- [천리안 2B] 해양탑재체 총괄 용상순과학동아 l2020년 02호
- 관측해서 해양탑재체 시스템 내에 일정한 기준을 지속적으로 갱신해줘야 한다”고 설명했다. 데이터의 정확성을 보장받기 위해 필수적인 검정 및 보정 과정인 것이다.그리고 이때 해양탑재체가 태양을 직접 관측하면 내부 장비가 타버릴 수 있다. 그래서 뚜껑 모양의 캘리브레이션이라는 장치를 ... ...
- 마블링이 전부가 아닌, 소고기 맛의 비밀과학동아 l2020년 02호
- 결정된다”며 “이 같은 성분들은 미각을 포함해 맛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다만 그는 “맛은 지극히 주관적인 감각인 만큼 육색이나 지방색이 심리적인 영향을 미칠 수는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올해 설에는 새로운 소고기 등급 판정 기준이 부여된 고기를 구매하게 된다. ... ...
- 태양으로 살다...과학동아 에너지 원정대과학동아 l2020년 02호
- 구현하기 어려운 지열을 쓰고 있고, 열 손실을 막는 건축 자재도 최대한 적용했다”고 설명했다. 서울에너지드림센터에는 효율 19.8%인 태양전지판 864개가 설치돼 있다. 이를 통해 초당 272kWh의 전력에너지를 생산하며, 연간 생산량으로 따지면 서울에너지드림센터가 사용하는 전력에너지(20만kWh) ... ...
- 암흑물질의 비밀 밝힐 액시온의 기적과학동아 l2020년 02호
- 기본입자 12개와 이들 사이의 힘을 매개하는 입자 4개, 그리고 힉스로 우주의 모든 현상을 설명하는 이론. * 기본 상호작용 : 자연계에 존재하는 기본적인 네 가지 힘으로 중력과 전자기력, 강한 상호작용인 강력(strong force), 약한 상호작용인 약력(weak force)이 있다. * CP 대칭성 깨짐 (Charge-Parity Viol ...
- [수학뉴스]거미의 사냥 실력, 비결은 수학!수학동아 l2020년 02호
- 기다리다가 진동을 감지하면 빠르게 움직여 먹이를 잡지요. 이 과정을 수학적으로 설명한 연구 결과가 국제학술지 ‘응용수학저널’ 2019년 12월 12일자에 발표됐습니다.이전 연구에서는 거미줄에 진동이 퍼지는 패턴과 구조를 수학 모형으로 재현했습니다. 그 결과 거미가 먹이의 위치를 찾는 과정을 ... ...
- 꾸준히 노력하는 수학자, 서울대 서인석 교수 인터뷰수학동아 l2020년 02호
- 제 연구 분야는 ‘확률론’이에요. 몇 가지 연구 주제가 있는데, 그 중 하나를 비유해서 설명하자면 동전을 던졌을 때 앞면이나 뒷면이 아닌 서 있게 될 확률을 계산하는 거예요. 이렇게 일어날 가능성이 희박한 일이 일어날 확률을 구하는 게 금융 같은 분야에서는 무척 중요하거든요. 작은 확률로 ... ...
- 콜라츠 추측, 왜 어려운가?수학동아 l2020년 02호
- 열린 세계수학자대회에 참가한 콜라츠가 콜라츠 추측을 수학자들에게 말로 설명했다고 전해지는데요, 이 역시 기록으로 남아 있진 않습니다. 콜라츠 추측이 글로 정확하게 사람들에게 소개된 것은 1971년 영국의 기하학자 해럴드 콕서터의 강의자료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이전까지 콜라츠 추측은 ... ...
- 보드게임 즐기고, 수학으로 떠들자! 보드게임 페스타수학동아 l2020년 02호
- 칸을 움직이면서 퍼즐을 맞추는 알고리듬을 연구했기 때문에 그걸 활용하면 된다는 거죠.설명을 들은 참가자들은 저마다 숫자판의 배열을 계산하기 시작했어요. 그리고 풀 수 있는 배열은 순서를 맞추기 시작했죠. 최대한 적은 횟수만큼 움직여 퍼즐을 푸는 데 공을 들였습니다. 참가자들이 빠르게 ... ...
이전19719819920020120220320420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