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양
대양
해사
대해
해상
해운
함수호
d라이브러리
"
바다
"(으)로 총 3,719건 검색되었습니다.
광합성 하는 동물 있다? 없다?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육상동물은 그럴지 모르지만
바다
에는 동물이면서도 광합성을 하는 생명체가 있다.
바다
에 사는 갯민숭달팽이 종류인 엘리지아(Elysia chlorotica)가 그 주인공이다. 물론 이 녀석의 몸 빛깔은 초록색이다. 세포 속에 엽록체 상주시켜 엘리지아가 실제로 광합성을 한다는 사실은 1970년대 알려졌다. ... ...
각주구검(刻舟求劍)과 좌표평면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시끌벅적했다. 이 일에 대해 한 정당의 대표는 “한미 FTA라는 배는 이제 전혀 다른
바다
위를 떠가고 있는데, 이 마당에 한미 FTA가 무조건 국익이라고 각주구검(刻舟求劍)하는 것은 옳지 않다”고 주장했다. 여기서 각주구검을 한자로 풀면 ‘새길 각(刻)’ ‘배 주(舟)’ ‘구할 구(求)’ ‘칼 검(劍 ... ...
서해서 큰소리치는 조기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우렁찬 울음소리와 함께 무리 지어 몰려온 조기 떼가 황금빛 비늘을 번뜩이며 우리
바다
를 다시 찾을 날은 과연 언제일까.이태원 교사는 서울대 대학원에서 세포생물학으로 석사학위를 받았으며, 우리나라 전통 문헌에 나타난 과학 관련 내용에 관심이 많다. 저서로 조선 후기 학자 정약전의 ... ...
[물리]생활 속 물리, 단진동과 지자기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생물체다. 이것은 동물의 체내와 피부에서 번식하고 있으며, 85℃나 되는 온천이나 깊은
바다
속에도 살고 있다. 박테리아는 일반적으로 수 마이크로미터 크기여서 현미경을 통해서만 볼 수 있다. 박테리아는 다양한 지역적 조건에 놀라울 정도로 잘 적응한다. 예를 들어 상당수의 박테리아는 산소가 ... ...
[지구과학]해수의 이동과 엘니뇨현상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경도력과 크기가 같고 방향이 반대가 되면 북쪽 방향의 지형류가 발생한다. 3-2) 페루 앞
바다
에 남풍(북향) 계열의 무역풍이 불면 해안에서 멀어지는 서쪽 방향으로 에크만 수송이 나타나며 부족한 연안의 해수는 수직으로 상승하는 심층의 차가운 물이 보충한다. 한편 무역풍이 약해지면, 에크만 ... ...
[기계공학] 로봇 물고기로 바닷속 오염물질 찾는다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이 로봇 물고기의 용도는 해양 오염에 대처하는 것. 화학물질을 탐지하는 센서가 있어
바다
속 파이프라인에서 유출된 기름이나 유독성 화학물질을 검출할 수 있다. 연구팀은 이 물고기가 해양 오염 현장에 투입돼 유출된 기름과 같은 오염 물질의 주성분과 농도, 원인 등을 분석하는 데 쓰일 것으로 ... ...
그래프 분석해 패턴 찾아내기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분화구가 있다. 대부분이 ‘달의 고지’ 지형에 풍화되지 않은 채 남아있지만 ‘달의
바다
’에도 지름 1km가 넘는 큰 분화구가 1000개 쯤 있다. 이곳에 있는 분화구들은 화산활동 때 흘러내린 용암으로 덮여 메워져 있다. 여기서 간단한 계산을 해보자. 만약 달 표면에 있는 1만 개의 분화구가 모두 ... ...
뇌 과학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신경을 연구하면서 학습과 기억의 비밀을 풀어낼 수 있는 단서를 발견했다. 그는
바다
달팽이의 꼬리 끝에 약한 전기 자극을 반복했을 때 얼마 후 시냅스의 길이가 늘어난 것을 확인했다. 캔들은 인간을 포함한 모든 생물의 학습과 기억은 뉴런들의 일정한 연결방식에 의해 일어난다는 사실을 ... ...
인도의 권위와 자부심으로 물든 블루시티 조드푸르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찍은 모든 장면에는 컴퓨터 그래픽을 전혀 사용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코발트블루의
바다
가 연상되는 ‘블루시티’ 조드푸르. 이 도시에 사는 사람들은 왜 모든 건물들을 파란색으로 칠한 걸까 ... ...
한반도 가뭄의 숨겨진 원인을 찾아라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밝혔다. 서울대 지구환경과학부 박록진 교수도 “오히려 우리나라는 삼면이
바다
로 둘러싸여 있어 구름 입자가 강수 입자로 성장하기 좋은 조건을 갖추고 있으므로 반대로 강수량이 증가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에어로졸의 영향을 정량적으로 규명하기에는 무리가 있다는 말이다.하지만 두 교수 ... ...
이전
197
198
199
200
201
202
203
204
20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