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글"(으)로 총 20,712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사 극장] 씨 없는 수박은 우장춘의 작품이 아니다?과학동아 l2023년 01호
- “한국을 대표하는 과학자는 누구일까?”장영실, 이휘소, 석주명 등 많은 사람이 떠오르지만, ‘씨 없는 수박’을 발명한 것으로 유명한 농학자 우장춘을 지나칠 수 없다. 그런데 우리가 잘 아는 씨 없는 수박이 우장춘의 발명이 아니라면?한국과학사 연구자 김태호 교수에게 우장춘의 진실에 관해 ... ...
- [이세인의 ‘미지의 유인원’] 일부일처제의 가면을 벗기다과학동아 l2023년 01호
- *인간과 비인간 영장류는 얼마나 같고 얼마나 다를까요. 야생의 숲부터 동물원까지, 비인간 영장류가 보여주는 진화적 연결고리를 앞으로 6화에 걸쳐 연재합니다.2017년 7월 12일 / 오늘의 긴팔원숭이 가족: A가족 / 날씨 맑음 “열대우림 속 나무들로 하늘마저 가려진 이 숲 속에서 마침내 미지의 유인 ... ...
- [뉴스&인터뷰] 칼 세이건에 ‘진심’인 사람들 강남 한복판에 모이다과학동아 l2023년 01호
- 불금이던 2022년 12월 9일 저녁 7시. 서울 강남 한복판의 전시장 문을 열고 들어가자 파티 현장이 펼쳐졌다. ‘우주정거장에서 EDM 파티가 벌어진다면 이런 느낌일까’ 싶을 정도로 이질적인 공간이었다. 한쪽 벽에는 미국의 천문학자 칼 세이건의 강연 영상이 재생되고 있었다. 기자가 방문한 곳은 콘 ... ...
- [과동키즈] 삼국지 매니아가 철도 계획가로… “저는 성덕입니다”과학동아 l2023년 01호
- 내가 7살이던 1987년엔 대통령 선거가 있었다. 어른들은 당시 내가 알아들을 수 없는 얘기들을 많이 나눴다. “○○○가 대통령이 되면 우리 동네에 도로도 깔아주고, 버스 돌아다니게 해준다더라.” 그리고 몇 년이 흘러 1995년의 지방자치단체장 선거 시기, 이제는 어른들의 말을 어느 정도는 알아들 ... ...
- ‘진짜 산학협력’ 해보고 싶다면.... 창원대로과학동아 l2023년 01호
- ‘냉동고에 성에가 많이 끼는데, 이 문제를 해결할 방법이 없을까. 냉동고 안쪽 벽에 얼음이 붙지 못하는 필름을 덮으면?’ 이상훈 창원대 스마트제조융합협동과정(대학원) 석사과정 학생은 2022년 이런 아이디어로 혁신을 만들었다. 미끄러운 다공성 표면(SLIPS)으로 이뤄진 필름을 냉동고 표면에 덮 ... ...
- [기획] 굽고 튀기면 맛있다고? 요리의 과학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1호
- 여러분은 제일 좋아하는 음식이 뭔가요? 노릇노릇 구운 스테이크부터, 겉바속촉 튀김까지. 인류는 지구상에 등장한 이후, 더 맛있는 음식을 먹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해왔습니다. 새로운 맛과 향, 더욱 입맛을 자극하는 식감을 찾기 위한 인류의 도전은 과학적으로 진행돼 왔지요. 군침 흘리게 않 ... ...
- [헷갈린 과학] 두 눈이 오른쪽? 왼쪽? 가자미VS넙치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1호
- 바닥에 한쪽으로 누워서 생활하는 물고기는? 바로 가자미와 넙치입니다. 두 물고기는 정말 비슷하게 생겼지만, 얼굴을 조금만 자세히 들여다보면 어떻게 다른지 바로 알 수 있어요. 고개를 좌우로 갸우뚱하게 하는 두 물고기를 소개합니다! 가자미 가자미는 가자미목 가자미과 어류를 두루 이르 ... ...
- [방탈출 in 스페이스] 거울이 흔들린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1호
- “상이 제대로 맺히는 거울을 찾았어!”수연이 거울 하나를 가리켰어요.“수연아, 손을 갖다대 봐!”동그리가 이모와 함께 수연이에게 다가오며 외쳤어요.수연이가 거울에 손을 갖다대자 거울이 흔들리기 시작했습니다.“우와악, 거울이 흔들린다!” ...
- 마이보의 과학 영상 읽어줌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1호
- 2023년 새해에도 놓칠 수 없는 과학 영상 읽어줌! 나 마이보는 이번에 일상 생활에서 쉽게 볼 수 있는 바코드와 QR 코드 속 과학부터, 탄산음료를 100만 번 흔들어보는 실험 영상까지 아주 알차게 준비했어. 반려견을 키우는 친구들이라면 알아두기 좋은 공원 산책 팁도 있으니 같이 확인해 보자고! ● ... ...
- [특집] 수학계가 주목한 이유는?수학동아 l2023년 01호
- 데 꽤 시간이 걸릴 것’이라는 내용의 논평을 냈다. 이에 네티즌들은 타오 교수의 글을 이곳저곳 퍼다 나르며 또 한 번 들끓었다. 반면 세계적인 정수론 전문가인 앤드루 그랜빌 캐나다 몬트리올대학교 교수는 에 “실제로 논문에서 몇 가지 실수가 발견됐지만 당장 수정할 수 있어 좋은 ... ...
이전19719819920020120220320420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