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글"(으)로 총 20,712건 검색되었습니다.
- [DATA MATH] 웬디 카드웰수학동아 l2023년 01호
- 쾅! 서울 하늘에서 굉음과 함께 한 줄기 빛이 눈부시게 빛났다.빛의 정체는 17m 크기의 소행성.소행성은 공중에서 산산이 조각나며 운석우를 내렸다.도로와 건물이 파손되고 통신, 전기도 끊겨버렸다.곧이어 뉴스 속보가 이어졌다. “지름 45m의 소행성이 지구에 접근하기까지 16시간 남았습니다! ... ...
-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 뇌에 컴퓨터 칩을 심는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1호
- 우주와 지구의 평화를 지키는 ZEM FIVE! 오늘은 토블리가 재밌는 기계를 하나 가져 왔어. 생각을 읽는 BCI라나? 앗, 근데 생각만 내렸지 진짜 실행할 생각은 없었는데…, 어쩌다 보니 친구들에게 민폐를 끼쳐버렸어. BCI를 현명하게 사용하기 위해서도 리터러시가 필요해! SF? 이제 현실이 될지도 몰라 ... ...
- 과학 마녀 일리의 과학 용어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1호
- 과학마녀 일리가 산신령으로 변신해 물 속 수소를 찾아주고 있어. 그런데 수소에도 종류가 있는 걸까? 그레이수소, 블루수소, 그린수소 중 자신의 것을 고르라고 하지 뭐야? 특집•기획 中24p… 하루 650t(톤)의 그린수소를 암모니아로 전환 … (하략)56p… 연구소에서 분자요리를 연구하는 서정원 ... ...
- 의류학자는 왜 기상 정보에 관심을 가질까?수학동아 l2023년 01호
- 의류 회사에서는 대체로 정보를 공개하지 않기 때문에 의류학자들이 수요를 예측할 때 구글 트렌드를 주로 사용해요. 연구팀은 최고기온, 평균기온, 최저기온, 강수량, 강설량, 풍속, 체감온도 이렇게 7개의 기상 요인 데이터를 사용했어요. 이때 체감온도는 미국 국립기상청에서 쓰는 계산식을 ... ...
- [인터뷰] “냉소적인 세계관을 만들고 싶어 숫자를 활용했어요”수학동아 l2023년 01호
- 결심하고, 이듬해에 한예종에 들어갔어요. 그때부터 시나리오를 쓰기 시작했지요. Q ─ 글 쓰는 과정도 궁금해요.책에 나오는 구절, 비유 등에서 아이디어가 떠오르면 바로 휴대전화에 메모를 해요. 이후 작품을 쓸 때 이때까지 쓴 메모를 한번 쭉 봐요. 현재 이슈, 그 이슈를 바라보는 제 관점을 ... ...
- [수학뉴스] 인공지능도 잠이 필요하다!수학동아 l2023년 01호
- 바둑을 잘 두는 인공지능에게 장기를 두는 방법을 학습시키면 어떻게 될까요? 바둑을 잘 두지 못하게 됩니다. 왜냐하면 현재 기술로는 인공지능이 여러 정보를 순차적으로 학습할 때, 새로 배운 내용이 이전에 학습했던 내용을 덮어쓰는 현상이 일어나거든요.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샌디에이 ... ...
- [어수티콘 사전] 자연수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01호
- [수달에게 묻는다!] ‘자연수’러운 게 뭔데? 어수동 : 숫자 8이 눈사람 사이에 자연스럽게 숨어 있네요. 헉, 설마 ‘자연수’는 자연스러운 수라는 뜻?! 수달 : 맞아요! 자연수는 가장 자연스러운 수라는 뜻이에요. 인간이 오랫동안 자연스럽게 사용해온 수여서 이런 이름이 붙었어요. 우리에게 ... ...
- [냠냠! 어수잼] 세 자리 수를 알아볼까?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01호
- 온 마을의 펭귄들과 허들링을 한 덕분에 한결 따뜻해졌어. 이제 각자의 집으로 돌아갈 시간! 가까운 곳에 사는 펭귄끼리 거대한 얼음덩어리에 모여 같이 출발하기로 했어. 단, 집으로 가지 않고 옆 마을로 놀러 가기로 한 펭귄 4마리는 따로 남았지만 말이야. 10마리의 펭귄이 탄 얼음덩어리는 모두 ... ...
- [꿀꺽! 수학 두 입] 클로버 잎 4개는 행운, 숫자 4는 불운?!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01호
- 1만 개 중 한 개만 발견된다는 행운의 상징, 네 잎 클로버! 4개의 고운 잎이 맞닿아 있는 모습을 보면 괜히 기분이 좋아져요. 숫자 4는 행운의 상징인가 봐요! 어라, 그런데 우리 아파트의 4층에는 숫자 4 대신 알파벳 F가 그려져 있어요. 4가 불길한 숫자라서 그렇다던데…? 과연 4는 ‘행운의 숫자’ ... ...
- [과학뉴스] 뜨는 똥, 가라앉는 똥 장내 미생물이 가른다과학동아 l2023년 01호
- 어떤 대변은 물 위에 뜨고, 또 어떤 대변은 아래로 가라앉기도 한다. 이는 장내 미생물마다 생성하는 가스양이 다르기 때문이라는 사실이 밝혀졌다. 미국 미네소타주 소재 종합병원인 메이요클리닉 연구팀은 쥐 실험을 통해 장내 미생물이 대변의 부력을 결정한다는 것을 입증해 11월 18일 발표했다 ... ...
이전19319419519619719819920020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