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속
지속
퍼짐
속편
결과
뒤
후편
스페셜
"
계속
"(으)로 총 2,452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생명체가 처음 등장한 캄브리아기를 탐험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24
선캄브리아기로 불린다. 선캄브리아기를 끝낸 최초의 골격 생명체를 찾는 여정은 지금도
계속
되고 있다. 국제학술지 ‘사이언스’는 23일 캐나다 로키산맥에 속한 쿠트니국립공원의 계곡에서 셰일 암석층을 드릴로 자르고 있는 진 버나드 카론 왕립온타리오박물관(ROM) 큐레이터(학예사)의 모습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면역학자 찰스 서 교수의 죽음 뒤 일어난 일들
2018.11.21
조금 넘는 수준일 것이다. 대신 지금처럼 최적의 조합으로 효용이 극대화된 상태에서
계속
쓰인다면 앞으로 100억 원 어쩌면 1조 원의 가치를 창출할 수도 있다. 터무니없는 과장처럼 들리겠지만 면역학이나 장내미생물은 기초과학이면서 동시에 조금만 응용하면 의약품 개발로도 이어질 수 있기 ... ...
[과학게시판] 국립과천과학관 ‘한국과학문명관’ 개관 外
동아사이언스
l
2018.11.14
열린다. ‘전통문화융합연구사업’의 주요성과 전시회는 12월 31일까지
계속
된다. ■ 한국 IBM이 14일 정보기술(IT) 기업 개발자들을 대상으로 IBM의 최신 기술을 공유하는 ‘IBM 디벨로퍼 데이(Developer Day) 2018’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인공지능(AI), 블록체인, 클라우드, 계산과학, 사물인터넷(IoT) 등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열정에 도리어 먹히다
2018.11.10
사람들이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눈 때문에 자전거를 타는 것이 위험한 겨울에도
계속
해서 자전거를 타는 모습을 더 많이 보였다. 강박적 열정이 장기적으로 큰 해가 되는 부상 위험를 높였다는 것이다. 도박을 단순히 즐기는 정도가 아니라 ‘중독’에 빠진 사람들 역시 그렇지 않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장수 비타민을 아시나요
2018.10.31
에 대한 진화론적 설명에서 미량영양소의 우선권 이론을 이해할 수 있다. 우리 몸이 열을
계속
빼앗겨 위기라고 판단하면 생존에 직결된 몸통으로 혈액을 집중하고 손과 발 같은 말단의 혈관은 수축시키기 때문에 손과 발이 먼저 동상에 걸린다. 마찬가지로 미량영양소가 부족해지면 우리 몸은 ... ...
[우주로 가는 기업들]④차세대 발사체 개발 나서는 일본, 소형발사체 문 두드리는 중국
동아사이언스
l
2018.10.29
발사하고자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고 말했다. 인터스텔라테크놀로지는 시험발사를
계속
하고 있다. 지난해 7월 실시한 모모 1호기는 발사 뒤 66초간 비행했지만, 원격 측정이 끊어져 긴급 정지를 했고, 로켓은 예정된 구역에 낙하했다. 올해 6월 실시한 두 번째 발사는 발사 직후 엔진이 정지하면서 ... ...
[우주로 가는 기업들]①3억원에 위성 쏜다…소형위성 발사시장 장악한 민간기업들
동아사이언스
l
2018.10.26
공개되지 않았다. 버진 오빗의 모니카 디렉터는 “시장이 커지는 만큼 경쟁 기업은
계속
나올 것으로 본다”며 “최초로 하늘에서 위성을 쏘는 실험을 진행하는 만큼 기술을 최적화 해 승부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우주인 수송부터 우주정거장 건설까지 민간 확대 미국은 우주선 발사뿐 ... ...
[강석기의 과학카페]길들인 여우 게놈 분석해보니…
2018.10.02
역시 무척 귀여워 애완동물로 키우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야행성이라 낮에 이렇게
계속
잠만 자면 곤란하지만 말이다. 문득 지난해 읽은 ‘How to tame a fox’란 책이 떠올랐다. 러시아에서 1959년부터 본격적으로 진행된 은여우 길들이기 프로젝트를 다룬 책으로 과학카페에서도 소개한 적이 ... ...
[강석기의 과학카페]울트라디언 리듬을 알면 삶이 편해진다
2018.09.26
신호가 오면(몸이 느낄 것이다) 잠깐 쉬어주는 게 시간이 아깝다며 세 시간 네 시간
계속
붙잡고 있는 것보다 몸에도 좋고 성과도 좋을 것이기 때문이다. 1953년 렘수면을 발표하고 1960년 기본휴식활동주기를 제안한 나다니엘 클라이트만 교수는 1999년 104세를 일기로 타계했다. 그가 살아있을 때 ... ...
[강석기 과학카페] 한때 언어 유전자로 불렸던 FOXP2 이야기
2018.09.11
년 전보다 이전에 이미 존재했다는 뜻이다. 이제 인간형 FOXP2에 언어 유전자 지위를
계속
부여하려면 네안데르탈인도 호모 사피엔스처럼 음성 언어를 구사할 수 있었다고 해석해야 한다. 이는 네안데르탈인의 멸종 이유 가운데 하나가 의사소통능력에서 밀렸기 때문이라는 가설과 맞는 않는 ... ...
이전
196
197
198
199
200
201
202
203
20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