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예
견본
실례
예제
일견
사례
바라보기
뉴스
"
보기
"(으)로 총 2,579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교육 논쟁] 수학 교육, 줄일 게 아니라 흥미롭게 만들어야
2015.09.16
여러 해 전에 케냐의 마사이족 학교에 들렀다. 아이들이 좁은 교실에서 수학을 공부하고 있었고, 앞마당엔 원조기구가 파 줬다는 우물이 있었다. 하루에 백 리쯤은 우습게 걷는 아이들 ... 않은가. ... ...
에너지를 팝니다! 에너지 슈퍼마켙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9.14
램프플라워를 개발하게 됐다지 뭐야. 오늘 우리도 직접 나만의 램프플라워를 만들어
보기
로 했어. 만드는 방법은 무척 쉬웠어. 빛을 잘 반사하는 하얀색 PET(음료수 병 등을 만들 때 쓰는 합성수지) 재질의 플라스틱에 예쁜 꽃잎을 그린 뒤, 잘라서 둥글게 말아 전구에 끼우면 완성! 어때? 우리가 ... ...
‘내 팔에 귀’, 왼팔에 귀 이식한 스텔라크 교수
2015.09.14
스스로를 천장에 매다는 ‘서스펜션’ 공연을 선보이기도 했다. 그의 공연에 대해
보기
불편하다고 호소하는 관객도 많다. 스텔라크 교수는 이에 대해 “춤처럼 아름다운 공연은 인체 움직임의 한계가 있지만 내 공연은 이를 극복하려는 새로운 것”이라고 설명했다. “물론 매우 아픈 ... ...
[신나는 공부]‘만점’이 답이다… 3가지 실수 금물
동아일보
l
2015.09.08
문제에 특정 조건이 제시된 문항에서 실수하는 상위권 학생이 많다. 이런 문항의 경우 겉
보기
엔 익숙한 유형의 문제이지만 하나 또는 두 가지 조건이 추가돼있는 것이 특징. 2가지 이상의 방법으로 풀어보며 문제에 제시된 조건을 모두 충족시켜야 답이 나온다. 하지만 유형별로 문제 풀이 방식을 ... ...
1989년 버트 보겔스타인 교수의 대장암에서 p53 유전자 결손과 돌연변이 발견
과학동아
l
2015.09.06
일어나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과학동아 / 일러스트 최은경 제공 ● 세포 위기 대응하는 총지휘관 1989년 4월 14일자 ‘사이언스’에 보겔스타인 교수팀의 연구 결과가 발표되자 암연구자들은 즉시 그 중요성을 간파하고 앞다투어 p53 연구에 뛰어들었다. 그 결과 ... ...
귀뚜라미 튀김은 무슨 맛일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9.03
영화 ‘설국열차’의 주인공 커티스는 지금까지 꼬리칸 사람들이 먹던 단백질 블록이 만들어지는 과정을 보고 충격에 빠진다. 지금껏 맛있게 먹던 단백질 블록이 바퀴벌레로 만들어지고 ... 바로가기> ※ 신수빈 기자의 "귀뚜라미 튀김, 제가 한 번 먹어보겠습니다!" ▶ 동영상
보기
... ...
빛으로 자원을 만든다! 인공광합성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9.02
빛을 이용해 자원을 얻으려는 시도를 하고 있단다. 어린이과학동아 제공 ● 빛으로 만드는 탄소화합물 광합성은 식물이 햇빛과 공기 중의 이산화탄소를 이용해 에너지원인 포도당(탄소화합물)을 만드는 과정이에요. 포도당을 만들고 나면 물(수증기)과 산소가 나오지요. ... ...
PART 01. 태양계 행성 여행자를 위한 안내서
과학동아
l
2015.08.27
떨어진다. 이는 태양에서 가장 멀리 떨어져 있는 해왕성보다도 낮은 온도다. 천왕성은 겉
보기
엔 평온해 보이지만 결코 안심해선 안 된다. 가장 위쪽 대기에는 초속 250m의 어마어마한 바람이 불며 계절별로 날씨가 극단적으로 바뀐다. ○ TIP : 98° 자전축을 직접 느껴보세요 특이한 자전은 ... ...
[신나는 공부]산책하고 TV보며 수학실력 UP
동아일보
l
2015.08.25
얼마씩 넣어야 할까?”라고 자녀에게 묻는 방식이다. 다 먹은 과자 박스 평면으로 펼쳐
보기
과자나 운동화 박스를 활용해 원기둥, 직육면체의 겉넓이를 구하는 원리를 공부할 수도 있다. 박스를 가위로 오려 평면으로 펼쳐보고 각 모서리의 길이를 자로 직접 재보자. 이 과정에서 ‘직육면체 여섯 ... ...
기억보다 망각이 중요한 이유
2015.08.23
아날로그 텔레비전처럼 물체가 겹쳐 보이거나 잔상이 남는 등 세상을 선명하게
보기
어려울 수도 있다. 저자는 망각의 극단적인 형태로 나타난 사례들을 소개하며 기억과 망각의 균형 사이에서 살아가고 있는 일상이 얼마나 소중한 것인지 보여 준다. 뇌에 대해 많은 것이 알려지지 않았던 1950년대에 ... ...
이전
196
197
198
199
200
201
202
203
20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