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학자"(으)로 총 6,892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빙하동물의 천국, 매머드 스텝과학동아 l2015년 02호
- 측면에서 최고를 자랑하는 아마존 열대우림은 백악기 말부터 존재했다. 2005년 영국지리학자협회보에 실린 논문에 따르면, 우림은 상당히 따뜻했던 신생대 전반기까지(3400만 년 전까지) 남미의 거의 대부분으로 확장돼 있었고, 이후 추워지면서 점차 면적이 줄어들어 지금의 아마존 유역 부근까지 ... ...
- PART 5. 무엇이 매머드 왕국을 무너뜨렸나과학동아 l2015년 02호
- 이 생겨났고, 털매머드는 역사 속으로 퇴장했다. 다양한 동물, 다양한 멸종 원인최근 학자들은 두 가지 멸종 원인을 지 역별로 따로 적용하기도 한다. 유라시아 에서는 기후와 식생 변화로 털매머드가 멸종했고, 북아메리카에서는 인간의 사 냥으로 멸종했다는 식이다. 무엇이 옳을 까. 사라진 ... ...
- [Fun] 이 책을 여는 순간, 당신의 뇌가 열린다!과학동아 l2015년 02호
- 노벨상을 수상한 호지킨과 헉슬리, 파블로프의 개 실험으로 잘 알려져 있는 러시아 생리학자 파블로프, 뇌전도 장치를 최초로 발명한 한스 베르거 등 뇌과학의 개척자들이 아주 코믹한 모습으로 등장한다. 이 책, 참 사랑스럽다.마지막 장을 덮고 나면 우주에서 가장 복잡한 미로를 빠져 나오는 데 ... ...
- [Knowledge] 초속 299,792,458m를 약속하다과학동아 l2015년 02호
- 물리학자는 없다. 하지만 중성미자가 빛보다 빠르다는 결과가 꾸준히 나온다면 물리학자는 특수상대성이론을 포기해야 할지도 모른다. 이처럼 과학의 모든 이론은 항상 열려있어야 한다. 현재 모든 물리 이론은 ‘잠정적’인 진리의 체계다. 당장 내년에라도 뒤집힐 수 있는. 솔직히 그럴 가능성은 ... ...
- PART 4. 추위가 불러온 '인간성'의 폭발과학동아 l2015년 02호
- 필자도 이 화석의 원본을 보고 왔지만, 이미 진화가 상당히 많이 일어난 상태라 많은 학자들이 이보다 앞 서 완전한 현생인류가 존재했을 것으로 보고 있다. 미토콘드리아 DNA 분석 결 과도 이를 뒷받침한다. 현생인류는 이후 10만 년 전쯤에 이스라엘을 비롯한 근동 지방까지 진출하고, 7만~6만 년 ... ...
- [Life & Tech] 사랑아, 그 강을 건너지 마오과학동아 l2015년 02호
- 2년먼저 사랑의 정의부터 내려 봅시다. 셰익스피어는 사랑은 눈 먼 것이라고 했고, 심리학자들은 사랑을 누군가와 감정적으로 하나가 되기 위한 강한 욕망이라고 정의합니다. 저와 제 동료들은 인간의 머릿속에는 세 가지 종류의 사랑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제가 연구하는 사랑은 ‘낭만적인 ... ...
- PART 1. “2015년, 지금은 빙하시대”과학동아 l2015년 02호
- 교차한 시기는 매우 규칙적이다. 동유럽의 공학자 밀란코비치와 영국의 지구물리학자 닉 섀클턴 등은 오랫동안 기후 자료를 연구해 규칙을 찾아냈는데, 약 4만1000년과 10만 년 주기가 서로 다른 시기에 플라이스토세 내내 반복되고 있었다. 즉 250만~100만 년 전에는 약 4만1000년마다 빙하기와 간빙기가 ... ...
- [과학뉴스] ‘재능’에 대한 고정관념 여성 과학자 진출 막는다과학동아 l2015년 02호
- “연구자들이 스스로 그 분야를 ‘노력보다 재능이 필요한 분야’라고 생각할 경우 여성 학자의 비율이 적다”며, “그 이유는 ‘여성이 재능을 갈고 닦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생각이 사회에 만연해 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연구팀은 30개 전공 분야 연구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했다. 매주 ... ...
- [과학뉴스] 8000년 만에 찾아온 ‘러브조이’ 혜성과학동아 l2015년 02호
- 테리 러브조이가 발견한 행성으로 이름도 ‘러브조이(학명 C/2014 Q2, Lovejoy)’가 됐다. 천문학자들의 연구결과 8000년 주기로 지구를 찾는 것으로 계산됐다.러브조이는 처음 발견할 때 8인치 망원경을 이용했다. 발견 당시 혜성은 지구와 대략 4억2000만 km 떨어진 거리에 있었으며, 밝기는 15등급 ... ...
- [Hot Issue] 누구도 완벽한 결정을 내릴 순 없다과학동아 l2015년 02호
- 사람들의 능력을 떨어뜨린다. 결정에 대한 불안도 마찬가지다. 미국 드폴대 심리학자 페라리 교수는 우유부단한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선택 과정에서 정보를 더 열심히 찾는 경향을 보이지만 이 과정이 매우 비효율적이라고 발표했다. 우유부단한 사람은 이미 확인한 정보를 몇 번이나 ... ...
이전19619719819920020120220320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