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학자"(으)로 총 6,892건 검색되었습니다.
- 닥터 그랜마도 깜짝 놀란 사물인터넷 세상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5호
- 없으면 알아서 미리 주문해 놓을 수 없겠니?더 똑똑해진 사물이 스스로 판단한다!과학자들은 사물인터넷 시대를 맞아, 사물이 사람처럼 상황을 판단하고 학습해서 결정까지 내릴 수 있는 ‘인공지능형 소프트웨어’ 개발에 힘을 쏟고 있어요. 이때 가장 중요한 것은 수많은 데이터 안에서 규칙을 ... ...
- 2115년 인류 화성 정착기수학동아 l2015년 05호
- 도시의 기능을 좁은 지역에 빽빽하게 몰아넣은 도시다. 압축도시라는 이름은 두 명의 수학자가 붙여 줬다. 그중 한 명이 단체법을 만들어 낸 조지 댄치그다. 지금은 화성에 압축도시를 짓기 위해 노력하는 수준이지만, 더 먼 미래에 우리의 후손은 우주 곳곳에 이런 도시를 짓고 살아갈지도 모른다 ... ...
- [Knowledge] 7전 8기, 일반상대성이론의 탄생과학동아 l2015년 05호
- 연방공대.]아인슈타인이 오류를 극복하고 최종적인 중력장 방정식을 얻게 된 데는 수학자 다비트 힐베르트의 공로가 크다. 1915년 6월 28일 힐베르트가 아인슈타인을 독일 괴팅겐대로 초빙해 한 주 동안 세미나를 하게 했다. 세미나는 아인슈타인에게 큰 자극이 됐다(Plus 참조). 그로부터 몇 달 동안 ... ...
- [Life & Tech] 100년을 속인 가짜 혀 지도과학동아 l2015년 05호
- 기본맛도 4개에서 5개로 늘어난 걸 알 수 있을 겁니다. 바로 감칠맛(우마미)이죠. 일본인 학자가 발견해 이제는 기본맛의 하나로 인정받았습니다. 즉 감칠맛은 단맛이나 짠맛처럼 혀가 느끼는 기본적인 맛이지, 합성된 맛이 아니라는 거지요.그렇다면 혀는 어떻게 맛을 느끼는 걸까요. 혀에 손가락을 ... ...
- [Knowledge] 뜨거운 건 무거워야 안다과학동아 l2015년 05호
- 당연히 어렵다.온도와 압력을 바꿀 때 물질이 어떤 상태에 있는 지 보여주는 그림을 물리학자들은 상 그림(phase diagram)이라 부른다. 그림에서 가장 흥미로운 지점은 세 선이 만나는 삼중점(triple point)이다. 압력과 온도를 조절해서 물을 삼중점 위에 놓으면 물, 얼음, 그리고 수증기의 세 가지 상이 함께 ... ...
- [Life & Tech] 왕좌의 게임 속 끝나지 않는 겨울의 비밀과학동아 l2015년 05호
- 삼체가 실제 우주에서 관측된 적이 없다는 것이다. 그러니까 이것은 수학자들과 천문학자들의 머릿속에나 존재하는 상상 속의 산물이었다. 불과 1년 전까지 말이다. 지난해 2월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날마다 계절이 바뀌는 행성을 발견했다고 발표했다. ‘케플러-413b’라는 이름을 가진 이 행성은 ... ...
- Part ➊ 건강한 경쟁이 건강한 숲을 만든다수학동아 l2015년 04호
- 그 원인을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된다.혈관 속 법칙을 나뭇가지에 적용하다!1920년대에 생물학자 세실 던모어 머리는 빌헬름 루의 법칙을 본격적으로 나뭇가지의 성장에 적용했다. 사실 머리도 혈액의 흐름에 더 흥미가 있었지만, 혈관과 나무의 가지가 모습이 닮은 것은 우연이 아닐지도 모른다는 ... ...
- [지식] 네 번째 요리 누구보다 빠르게 남들과는 다르게, 로그와 햄버거수학동아 l2015년 04호
- 수를 손쉽게 계산할 수 있었죠. 프랑스의 위대한 수학자 라플라스가 “로그 덕분에 천문학자의 수명이 2배는 늘었다”고 표현할 만큼, 로그는 계산에 걸리던 시간을 ‘천문학적’으로 줄여 줬습니다. 계산기가 등장하기 전까지, 로그는 가장 완벽한 ‘계산기’였습니다.로그는 단위를 정하는 데도 ... ...
- [생활] 진실과 거짓 뮤지컬 지킬 앤 하이드수학동아 l2015년 04호
- 는 무겁고 음침한 내용에도 불구하고, 2004년 처음 공연을 시작한 이후 지금까지 꾸준히 우리나라 관객의 사랑을 받아왔다. ‘선과 악 ... 쫓아가고 있다. 길이 막혔다고 주저앉아 포기하지 않고, 다른 길을 찾아 진리의 모험을 떠나는 수학자의 굳센 의지가 그 차이 아닐까 ... ...
- Part ➋ 숲에 닥친 위기, 수학으로 막아라!수학동아 l2015년 04호
- 해석하려면, 나무가 자라는 주변 환경과 공간에 대한 정보가 필요하다.독일의 환경생태학자 울프 딕크만은 2차원 좌표평면 위에서 각 점에 나무를 배치하고, 이웃한 점끼리만 상호작용한다고 가정하는 ‘격자모델’을 만들었다. 이 격자모델을 활용하면 질병의 전파 속도와 피해 범위를 근삿값으로 ... ...
이전19219319419519619719819920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