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학자"(으)로 총 6,892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7전 8기, 일반상대성이론의 탄생과학동아 l2015년 05호
- 연방공대.]아인슈타인이 오류를 극복하고 최종적인 중력장 방정식을 얻게 된 데는 수학자 다비트 힐베르트의 공로가 크다. 1915년 6월 28일 힐베르트가 아인슈타인을 독일 괴팅겐대로 초빙해 한 주 동안 세미나를 하게 했다. 세미나는 아인슈타인에게 큰 자극이 됐다(Plus 참조). 그로부터 몇 달 동안 ... ...
- 2115년 인류 화성 정착기수학동아 l2015년 05호
- 도시의 기능을 좁은 지역에 빽빽하게 몰아넣은 도시다. 압축도시라는 이름은 두 명의 수학자가 붙여 줬다. 그중 한 명이 단체법을 만들어 낸 조지 댄치그다. 지금은 화성에 압축도시를 짓기 위해 노력하는 수준이지만, 더 먼 미래에 우리의 후손은 우주 곳곳에 이런 도시를 짓고 살아갈지도 모른다 ... ...
- [Life & Tech] 왕좌의 게임 속 끝나지 않는 겨울의 비밀과학동아 l2015년 05호
- 삼체가 실제 우주에서 관측된 적이 없다는 것이다. 그러니까 이것은 수학자들과 천문학자들의 머릿속에나 존재하는 상상 속의 산물이었다. 불과 1년 전까지 말이다. 지난해 2월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날마다 계절이 바뀌는 행성을 발견했다고 발표했다. ‘케플러-413b’라는 이름을 가진 이 행성은 ... ...
- [Knowledge] 뜨거운 건 무거워야 안다과학동아 l2015년 05호
- 당연히 어렵다.온도와 압력을 바꿀 때 물질이 어떤 상태에 있는 지 보여주는 그림을 물리학자들은 상 그림(phase diagram)이라 부른다. 그림에서 가장 흥미로운 지점은 세 선이 만나는 삼중점(triple point)이다. 압력과 온도를 조절해서 물을 삼중점 위에 놓으면 물, 얼음, 그리고 수증기의 세 가지 상이 함께 ... ...
- Part 2. 작지만 끈질긴, 가볍지만 정교한과학동아 l2015년 05호
- 위치를 기록하는 조사인데, 몸집이 작은 새에 주로 적용한다. 이 조사엔 전 세계 조류학자들이 협력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2005년부터 지금까지 227종, 5만 마리가 넘는 개체에 가락지를 채워 보냈다. 육·해·공 접수한 뛰어난 사냥꾼굳이 철새의 경이로운 이동성을 이야기하지 않더라도 비행은 ... ...
- [Hot Issue] ‘멍~ 때리는 동물?’ 파충류는 억울해과학동아 l2015년 05호
- 사이의 연관성, 특히 진화적 관계에 대해서는 잘 알려주지 못했다.1950년, 독일의 생물학자 윌리 헤닉(Willi Hennig)은 린네식 분류법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분기분류법의 사용을 제안했다. 공통된 선조를 가지는 그룹을 묶어 마치 나무의 뿌리를 그리는 것처럼 가계도를 그리는 분류법이다. 생물의 ... ...
- Part ➋ 숲에 닥친 위기, 수학으로 막아라!수학동아 l2015년 04호
- 해석하려면, 나무가 자라는 주변 환경과 공간에 대한 정보가 필요하다.독일의 환경생태학자 울프 딕크만은 2차원 좌표평면 위에서 각 점에 나무를 배치하고, 이웃한 점끼리만 상호작용한다고 가정하는 ‘격자모델’을 만들었다. 이 격자모델을 활용하면 질병의 전파 속도와 피해 범위를 근삿값으로 ... ...
- [지식] 네 번째 요리 누구보다 빠르게 남들과는 다르게, 로그와 햄버거수학동아 l2015년 04호
- 수를 손쉽게 계산할 수 있었죠. 프랑스의 위대한 수학자 라플라스가 “로그 덕분에 천문학자의 수명이 2배는 늘었다”고 표현할 만큼, 로그는 계산에 걸리던 시간을 ‘천문학적’으로 줄여 줬습니다. 계산기가 등장하기 전까지, 로그는 가장 완벽한 ‘계산기’였습니다.로그는 단위를 정하는 데도 ... ...
- [생활] 진실과 거짓 뮤지컬 지킬 앤 하이드수학동아 l2015년 04호
- 는 무겁고 음침한 내용에도 불구하고, 2004년 처음 공연을 시작한 이후 지금까지 꾸준히 우리나라 관객의 사랑을 받아왔다. ‘선과 악 ... 쫓아가고 있다. 길이 막혔다고 주저앉아 포기하지 않고, 다른 길을 찾아 진리의 모험을 떠나는 수학자의 굳센 의지가 그 차이 아닐까 ... ...
- [과학뉴스] 응답하라 1986, 가장 극적이었던 혜성 이야기과학동아 l2015년 04호
- 기록은 꽤 정확하다. 이 분야는 최근도 연구가 계속되고 있으며, 지난해에는 국내 고천문학자가 집대성한 ‘우리 혜성 이야기’라는 책으로도 나왔다.다음 혜성이 돌아오려면 아직 반 세기 가까이 기다려야 한다. 그 땐 또다시 핼리혜성이 태양계 혜성의 대명사가 될 것이다. 과거가 오래된 미래라는 ... ...
이전19219319419519619719819920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