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저축
비축
갈무리
보관
세이브
보존
재고
d라이브러리
"
저장
"(으)로 총 2,710건 검색되었습니다.
1. 당신을 해피룸으로 초대합니다.
과학동아
l
1997년 09호
“불쾌지수는 5입니다”라는 소리가 들렸다. 이상하게 서류정리가 잘됐다. 마지막으로
저장
버튼을 눌렀다. 4시 30분이었다.캡슐방의 미래 모습한 10여년 전이라면 앞의 이야기는 공상과학 소설감이다. 그러나 과학자들은 실제 ‘해피룸’을 만들고 있다. 들어가 앉아 있기만 하면 심신이 편안해지는 ... ...
비행기 참사의 비밀 블랙박스
과학동아
l
1997년 09호
각 시간별로 비행기의 고도와 기수방향 등이 어떻게 변해갔는지 한눈에 알 수 있다. CVR에
저장
된 녹음내용은 이보다 쉽게 재현시킬 수 있다.다음 단계는 컴퓨터 시뮬레이션이다. 블랙박스에서 얻은 기초 데이터를 컴퓨터에 입력한 후 비행기가 날아가는 모습과 사고 순간을 3차원 애니메이션 ... ...
몸에 숨겨진 성적 신호
과학동아
l
1997년 09호
허리에 두터운 지방층이 형성되면 행동을 둔화시킨다. 결국 흉부와 둔부가 지방질의
저장
소로 안성맞춤이었기 때문에 유방과 엉덩이가 진화되기에 이르렀다.진실광고이론에 따르면, 큰 유방과 넓은 엉덩이는 여자가 좋은 영양상태에 있을 뿐만 아니라 아기를 안전하게 출산하여 양육할 준비가 되어 ... ...
5. 화성 생명체는 어떤 모습일까
과학동아
l
1997년 09호
흡수한 후에야 먹는다. 밤에 물질대사와 체온을 유지하기 위해 에너지를 쓸 때는 낮에
저장
해두었던 산소주머니의 산소로 호흡한다. 화성의 평균기온 -28℃임을 고려할 때 이 동물의 체온은 5-6℃일 것이다. 몸 속의 물이 얼면 안되고, 단백질인 효소가 작용하려면 어느 정도 온도가 높아야 하기 ... ...
① 사하라 사막에서 서울 주식 시세 파악
과학동아
l
1997년 09호
배열한 2-3m 길이의 두 줄을 라이든병(전기실험을 위해 고안된 콘덴서, 즉 전기를
저장
하는 전기 기구)의 안쪽과 바깥쪽에 각각 붙인 전파 발생 장치를 만들었다. 이 발생 장치로부터 10여m 떨어진 곳에 직사각형 모양의 수신장치를 설치한 뒤 전파발생장치의 양끝 부분을 접근시켜 수신장치에서 ... ...
인터넷도 맞춤 시대 푸시 열풍
과학동아
l
1997년 08호
이 기능을 활용하면 연결된 상태에서 특정한 사이트의 정보를 받아 하드디스크에
저장
한 후 나중에 정보를 검색할 수 있어 전화선이나 시간제 회선을 사용하는 경우라면 회선 사용 요금을 절약할 수 있어 좋다. 마치 TV를 보듯이이에 맞서는 마이크로소프트 인터넷 익스플로러 4.0에는 액티브 ... ...
집파리·모기·바퀴벌레의 사생활
과학동아
l
1997년 08호
성충의 입은 송곳처럼 생겨 먹이를 잘 빨아들인다.암컷은 단 한번 교미해서 정충을
저장
하고 있다가 계속적으로 알을 깐다. 암컷은 자신의 생존과 계속 알을 깔 수 있는 능력을 유지하기 위해 혈중단백질이 많이 필요하다. 수컷 역시 마찬가지다. 모기가 피를 빨아먹는 이유다. 보통 모기가 섭취하는 ... ...
1. 전복껍질에서 탄생한 철갑탱크
과학동아
l
1997년 08호
레이저 빛을 받으면 꺼졌다 켜졌다 하는 늪지 박테리아를 이용해 1백80억비트 이상을
저장
할 수 있는 메모리 소재를 개발하고 있다.용문사 은행나무가 1천년이 넘는 세월을 견디며 보란 듯이 서 있는 것은 건축물의 피로 저항을 연구하는데 한 모델이 될 수 있다. 나무는 어린 나뭇가지가 손상되면 큰 ... ...
1. 만물의 법칙이 등장하기까지
과학동아
l
1997년 07호
가미오카 광산에 있다. 금년에 가동하기 시작한 이 실험장치는 5만t에 이르는 물을
저장
해 그 안에서 붕괴하는 양성자를 탐색하고 있다. 화두는 초대칭성입자 물질을 이루고 있는 소립자들, 쿼크와 경입자(전자와같은입자들)같은 모두 스핀이 반정수배이다. 이러한 입자들을 페르미온이라고 ... ...
컴퓨터사이언스 경연장 미래가정 엿보기
과학동아
l
1997년 07호
하드디스크라는 것이 존재할만큼
저장
용량이 필요할까, 더 나아가 6백MB에 달하는 대용량
저장
장치인 CD롬이 대중화될까 의문을 품었다. 결과는 어떠한가. 불과 10년도 안돼 CD롬은 필수품이 됐다. 미래의 가정도 마찬가지다. 빠른 시간 안에 “설마 그런 것까지…” 하는 지금의 단견을 무색케 할 ... ...
이전
196
197
198
199
200
201
202
203
20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