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합성물
화합물
결합물
혼합
뒤섞인 것
불순물
회반죽
스페셜
"
혼합물
"(으)로 총 38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젤라틴과 DNA의 차가운 '콜라보', 더위 식힐까
2024.07.10
급속 냉동한 뒤 아주 낮은 압력에서 말렸다. 전자현미경으로 들여다본 결과 DNA와 젤라틴
혼합물
인 3차원 그물망으로 이뤄진 전형적인 에어로젤 구조가 나타났고 조성비를 따라 G4D1이라고 이름을 붙였다. G4D1 에어로젤의 밀도는 물의 6%인 0.06에 불과하다. 게다가 이렇게 만든 G4D1 에어로젤 벽돌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라거 맥주 시대를 연 결정적 장면들
2023.05.17
효모를 쓰는 방식이 바뀌었기 때문이다. 이전 발효과정에서 빼낸 효모(미생물
혼합물
)를 넣는 대신 매번 따로 보관한 효모 균주를 접종해 일정한 품질을 유지하고 유통기간을 늘릴 수 있게 된 것이다. 아버지가 소규모 양조장을 운영하는 크리스티안 야콥센은 양조의 과학을 배우기 위해 독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마침내 밝혀진 냄새수용체 구조
2023.03.22
분자 B가 수용체 15가지를 활성화하고 둘이 겹치는 수용체가 5개라면(교집합), A와 B
혼합물
의 냄새는 수용체 20개가 활성화된 결과다(10+15-5=20). 이런 식이면 냄새분자를 더할수록 점점 더 많은 수용체가 활성화돼 결국은 모든 수용체가 활성화됐을 때 느끼는 냄새(그런 게 있다면)에 가까워질 것이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제설제 원리 적용한 냉장고 나올까
2022.12.27
NaI는 용액에서 나트륨 이온(Na+)과 요오드 이온(I-)으로 존재한다. 용매와 용질(이온)
혼합물
상태인 용액을 막으로 둘러싼 공간에 두고 전압을 가해 이온을 막 밖으로 빼내면 이온 농도가 낮아지며 어는점이 올라가 용매가 얼면서 주위로 열을 내놓는다. 기존 냉각 시스템의 응축기에서 고압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거울 나라는 현실이 될까
2022.11.15
합성에 드는 비용 문제로 여전히 키랄 약물 대다수는 둘 가운데 하나가 아니라 둘이 섞인
혼합물
상태로 생체분자가 짝이 맞지 않는 키랄 분자를 만나면 약효가 떨어지거나 심지어 부작용이 생길 수도 있다. 생체분자 대다수가 키랄 특성을 띠는 이유는 단백질과 핵산(RNA와 DNA)이 키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미생물 먹이가 된 플라스틱 쓰레기
2022.10.18
최근 대사공학 기법으로 푸디다 균주 두 종이 플라스틱 쓰레기에서 얻은 유기산
혼합물
로 각각 특정한 물질을 생산할 수 있게 만드는 데 성공했다. 대사공학 제공 ※ 필자소개 강석기 과학칼럼니스트 (kangsukki@gmail.com).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고 2000년부터 2012년까지 ... ...
[과기원은 지금] 고동연 KAIST 교수팀, 기체분리 전자빔 기술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09.28
걸러낼 수 있도록 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그간 분리에 어려움을 겪던 여러 기체
혼합물
을 분리하는데 성공했다는 데 의미를 가진다. 고 교수는 "2018년부터 시작된 수소 경제 도입 및 활성화 정책에 따라 수소 생산이 날로 중요해지고 있다"며 "전자 조사를 통한 분리막 기반 분리 공정을 확대 적용해 ... ...
[프리미엄 리포트]차세대 우주망원경의 과제는 '다이어트'
과학동아
l
2022.07.16
민간우주정거장 건설과 미세중력 상황에서의 물품 제조 등이다. 중력이 거의 없을 때는
혼합물
의 침전이 일어나지 않고, 더 순수한 단백질 결정을 얻을 수 있는 등 지구에서는 어려운 제조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일종의 우주공장을 만들기 위한 실험인 셈이다. 연구원이 유체망원경 실험(FLUTE)으로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폐기된 기술에서 인류의 희망으로
2021.10.21
mRNA 백신은 이 기술이 사용되고 있다. 컬리스 교수가 개발한 LNP는 네 종류 지질의
혼합물
이다. 수없이 많은 시행착오 끝에 개발된 이 조합으로 mRNA를 안전하게 세포내로 전달한다. 음 전하를 띤 mRNA를 중화시키기 위해 양전하를 띤 지질을 더했던 것이 쿨리스 연구팀의 성공요인 중 하나다. 이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영웅 없는 혁명' mRNA 백신의 길고 지루한 역사
2021.09.23
많은 과학자들이 자주 애용하던 실험법이다. 하지만, 멀론이 처음으로 지질과 mRNA의
혼합물
을 이용해 mRNA를 세포내로 주입시키는 아이디어를 증명했다. 물론 멀론 박사의 실험에서 mRNA 백신의 아이디어가 바로 등장한건 아니었다. 하지만 멀론의 실험이 2021년 수백만명의 생명을 살리고 제약사에겐 10 ... ...
1
2
3
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