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병균
세균
팡이무리
병원균
균
담자균류
담자
스페셜
"
균류
"(으)로 총 13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겨울철 당기는 피부도 촉각일까
2023.11.15
전 생물 시간에는 휘태커의 5계 분류체계를 배웠다. 모네라(원핵생물), 원생생물, 식물,
균류
, 동물이다. 그런데 분류학에 생체분자 서열 비교 데이터를 적용하자 원생생물이 단세포 진핵세포라는 공통점만 있을 뿐 한 범주로 묶을 수 없을 정도로 다양성이 크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흔히 오감이라고 ... ...
[논문감시] 국내 연구자 논문, 데이터 조작 이유로 철회 1년 걸린 사연은
동아사이언스
l
2022.09.01
특정 유전자가 이런 활동의 활성화를 조절한다는 분석이다. 연구팀은 논문 초록에 방선
균류
대사에 관한 유전자 발현을 분석한 첫번째 연구라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연구자금이 지원됐다. 철회 사유는 이미지와 데이터 조작이다. 학술지 측에 따르면 ... ...
[표지로 읽는 과학] 곰팡이 네트워크의 베일을 벗기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7.10
화산들에 올라 토양 샘플들을 수집했다. 퍼르치 씨는 “설명되지 않는 100종의
균류
가 있다고 해도 놀라지 않을 것”이라 말했다. 함께 답사에 떠난 토비 키어스 SPUN 공동설립자는 “토양의 살아있는 바이오매스의 최대 50%가 균계 생물들의 네트워크”라며 “그들이 어디에 있고 무엇을 하고 있는지 ... ...
'맨눈에도 보인다' 거대 박테리아 첫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2.06.24
숲에서 공생 박테리아를 연구하다가 흰 색의 실처럼 생긴 유기체를 채집했다. 처음엔
균류
와 같은 진핵생물로 여겼지만 연구를 통해 거대 박테리아로 확인됐고 이번에 연구결과가 공개된 것이다. 국제 공동 연구진의 분석 결과 이 생물체의 내부 구조가 특이했다. DNA가 세포핵에 있지 않고 ... ...
[이덕환의 과학세상] 방부제·살균제·보존제·항생제를 구분하자
2021.06.23
현명한 선택이라고 할 수도 없다. 보존제를 사용하지 않으면 정체를 알 수 없는 세균·
균류
에 의해 부패된 제품을 사용하게 된다. 실제로 보존제를 사용하지 않은 물티슈가 유통과정에서 부패해버린 경우가 있었다. 보존제는 반드시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정해놓은 ‘허용기준’을 지켜야만 한다. ... ...
개미사회에도 감염병에 맞선 치열한 투쟁이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21
토양에 널려있다. 예를 들어 동충하초
균류
는 개미 몸으로 들어가 숙주를 조종한다.
균류
가 침입한 개미는 비틀거리며 식물의 나뭇잎 뒷면으로 이동한다. 나뭇잎에 붙어 개미의 양분을 모조리 빨아먹고 나면 병원체 포자를 땅바닥으로 방출한다. 이렇게 땅에 떨어진 병원체는 또 다른 개미를 ... ...
곰팡이로 만든 친환경 가죽 100% 생분해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08
국제학술지 ‘네이처 서스테이너빌리티’ 7일자에 발표했다. 곰팡이는
균류
중에서 진
균류
에 속하는 미생물이다. 형태는 실처럼 길고 가는 모양을 가졌다. 이런 형태의 실들이 촘촘히 서로 얽히며 성장한다. 이렇게 실처럼 얽히는 형태를 균사체라고 하는데 과학자들은 이를 이용해 친환경 가죽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약방감초' 스타틴의 재발견
2020.06.02
필요하다고 한다. 그럼에도 필자 생각에는 인과관계일 가능성이 더 클 것 같다. 애초에
균류
가 박테리아를 통제할 수단의 하나로 HMG-CoA와 비슷한 구조를 포함한 스타틴 분자를 만들어 박테리아의 HMG-CoA 환원효소를 속여 스테롤을 못 만들게 하는 전략을 개발했기 때문이다. 아마도 박테로이데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동물 다세포성의 기원에 대한 고찰
2018.07.10
다세포성이 진화했다. 따라서 동물 다세포성의 기원에 대해 알고 싶으면 식물이나
균류
를 연구하는 것보다 진화적으로 동물과 가장 가까운 생명체를 들여다보는 게 나을지도 모른다.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 니콜 킹 교수팀이 지난 10여 년 동안 이 일을 했다. 바로 깃편모충류(Choanoflagellate)라는 ... ...
[표지로 읽는 과학] 아름다운 화음? 그건 ‘문화’의 산물
동아사이언스
l
2016.07.31
공생하는 지의류 52종을 발견했다. 지의류의 구성원들은 각각 맡은 역할이 다르다.
균류
는 ‘집’을 만들어 추위나 더위, 가뭄에 견딜 수 있는 보호막을 만든다. 조류는 그 안쪽에 살면서 광합성을 해서 살아가는 데 필요한 영양분을 만든다. 효모의 역할은 이번에 밝혀졌는데, 가장 바깥쪽에 ... ...
1
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