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홍어"(으)로 총 11건 검색되었습니다.
- 다시 보는 밥상 위의 물고기, 그리고 자산어보과학동아 l2021년 04호
- 낳는 난태생이다)를 해부하고 이를 홍어의 내부 구조로 착각한 것 같다. 어부들 중에서도 홍어가 새끼를 낳는다고 말하는 이들이 많다. 물고기가 새끼를 낳는다는 사실이 너무나 인상적이었던 나머지 이런 착각을 일으키지 않았을까 싶다.가난한 선비들을 살찌게 한 청어영화에서 정약전만큼이나 ... ...
- [과학자의 부엌] 진공과 온도의 효과적인 만남 수비드과학동아 l2018년 12호
- 25~30도입니다. 최대 30시간 동안 수비드합니다. 이 때 진공 정도와 온도, 시간을 조절하면 홍어가 발효되는 속도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 수비드 조리법이야 말로 식품물리학에 기반을 둔 조리과학의 정점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우리나라 바다를 지킨다! 국립수산과학원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3호
- 도루묵과 대게, 따뜻한 남해에서는 고등어와 개조개, 갯벌이 발달한 서해에서는 꽃게와 홍어가 많이 잡힌답니다. 국립수산과학원은 바다에서 나는 수산자원들을 지속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연구하고, 바다 환경을 지키는 역할도 하고 있어요.”혹시 우리가 좋아하는 고등어를 무조건 많이 잡을 수 ... ...
- [Life & Tech] 사찰 김치, 세계인의 보약 될까과학동아 l2015년 10호
- 맞는 것도 김치의 특징이다. 삼합이라고 해서 ‘수육+홍어+김치’가 대표적인데, 잘 삭힌 홍어는 염기성이 강해 산성을 띠는 김치와 잘 맞는다. 삼겹살 등 지방이 많은 고기의 느끼한 맛도 김치가 잘 씻어준다. 고구마나 떡을 먹을 때도 김치가 좋다. 김치가 침샘을 자극해 침의 양을 늘려주기 때문에 ... ...
- PART 3. DNA, 미래를 설계하다과학동아 l2013년 01호
- 알기 위해서 고래 전체를 볼 필요가 없다. 눈곱만한 살점만 얻으면 된다. 식당에서홍어와 가오리를 구분할 수 있고, 야생동물의 대변을 이용해서 그 동물이 섭취한 다양한 식물의 종류를 알 수 있다.‘메타지노믹스’로 미생물 가린다미생물 DNA 바코드 기술은 다른 생물보다 더욱 중요하다.미생물은 ... ...
- 알싸한 겨울철 별미 홍어과학동아 l2009년 12호
- 선물을 안겨줄 수도 있다는 사실을 기억해야 할 것이다. 삭힌 홍어 맛의 비밀 사람들은 홍어 요리라면 으레 삭힌 홍어를 떠올린다. 홍어를 삭히면 그 전보다 맛과 영양뿐 아니라 소화율까지 월등히 좋아진다고 한다. 맛깔스러운 전통 음식에 숨은 과학성을 함께 느낄 수 있는 대목이다. 삭힌 홍어의 .. ...
- 해양생물도 맞춤형 관리한다과학동아 l2008년 09호
- 그리고 이 정보를 DNA칩에 담았다. 이 박사는 “DNA칩을 이용하면 수초 안에 가오리와 홍어를 정확히 구별할 수 있다”며 “DNA칩 덕분에 유통시장이 투명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팀은 앞으로 DNA칩을 RFID 칩과 연결해 유통과정에서 상품의 위변조도 쉽게 찾아낼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 ...
- DNA바코드 시대 열린다과학동아 l2007년 09호
- 미토콘드리아 DNA가 다른 성질을 이용해 ‘지문’으로 사용한다.김 박사는 가오리와 홍어에서 DNA를 추출했다. 각 종의 고유한 COⅠ을 찾은 뒤 데이터베이스로 정리했다. A, T, G, C 염기에 각기 다른 색의 막대를 대응시켜 염기의 배열에 따라 바코드를 만들었다. 이 배열이 생물의 정보인 셈이다.그런데 ... ...
- 공동묘지의 도깨비불과학동아 l1999년 06호
- 설명할 수 있다.생선을 건조시키는 과정에서도 때에 따라 인광이 나는 수가 있다고 한다. 홍어, 오징어 등을 삭혀 말리면 표면에서 인이 생겨 밤에 윤곽이 보일 정도로 인광이 나오는 경우가 있다. 세포 자체가 인 성분으르 포함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사람의 뼈에 인이 많이 함유돼 있는데 이장한 ... ...
- 수리(數理)로 풀어본 '미의극치' 황금분할과학동아 l1993년 01호
- 많은 과학자들의 관심을 끌고있는 앵무조개를 비롯해 게나 새우같은 갑각류, 송어 상어 홍어 가오리의 형태에서도 황금비례를 우리는 볼 수 있다. 이외에 개구리같은 양서류, 개나 말같은 포유류 딱정벌레 나비 등 곤충의 모습에서도 우리는 그것들이 조화로운 황금률에 의해 창조됐음을 보게 된다. ... ...
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