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감수성
감응성
반응성
자극 감수성
흥분
d라이브러리
"
흥분성
"(으)로 총 36건 검색되었습니다.
[Issue] 수능 100일 전 뇌과학자가 들려주는 공부 비법 10
과학동아
l
201708
흐름을 방해하거나 억제하죠). 낙관적인 사고는 억제성 신경전달물질의 활성을 낮추고
흥분성
신경전달물질의 활성은 높여서 일의 추진력도 높입니다.소위 ‘근자감’이라고 부르는 근거 없는 자신감도 갖는 게 좋습니다. 뇌에 있는 긍정적인 회로를 활성화해 공부에 도움이 되거든요. 반대로 ... ...
[과학뉴스] 조울증 일으키는 단백질 실마리 찾아
과학동아
l
201703
사라졌다. 즉, 쥐의 이상행동이 조울증의 증상이었던 것이다. 이런 반응은 PLCγ1이 결핍된
흥분성
신경세포가 세포 내 칼슘 조절에 이상을 일으켜 억제성 시냅스 형성에 영향을 미쳤기 때문인 것으로 밝혀졌다. 서 교수는 “조울증이 일어나는 기작에 대해 한 걸음 다가간 만큼, 향후 조울증에 대한 ... ...
[Tech & Fun] 음료만 마셔도 릴렉스~ 된다고요?
과학동아
l
201607
잘 사용하지 않는다”라고 말했다. 《몸을 휴식상태로 만드는 두 가지 방법》
흥분성
신경전달물질을 줄이거나, 억제성 신경전달물질을 늘리면 된다. 슬로우 카우에 있는 테아닌은 전자로, 벤조디아제핀계 수면제는 후자의 방법으로 휴식상태를 유도한다.식품이라면 효능보단 안전성하지만 ... ...
“성공은 ···· 기다림에서 나온다
과학동아
l
201212
뇌에 문제가 생긴다. 이 단장은 2010년에는 억제성 물질을 내보내는 메커니즘을, 이번에는
흥분성
물질을 내보내는 메커니즘을 밝혀내 각각 발표했다. 이 단장은 “그 전에는 비신경세포가 작은 주머니에 물질을 담아 내보내는 것이라고 생각했지만 사실은 세포막에 난 작은 통로를 통해 내보낸다는 ... ...
Part3. 독과 해독제의 뜨거운 전쟁
과학동아
l
201204
뇌로 들어가 중추신경계를 흥분시켜 발작을 일으킨다. 이 때 글루타민산같은
흥분성
아미노산이 많이 나와 세포의 칼슘 통로를 망가뜨려 세포를 죽게 한다. 뇌세포를 죽이는 것이다. 다이제팜은 뇌에 있는 GABA 신경계를 활성화한다. GABA 신경계는 흥분된 신경을 진정시켜 발작을 멈추게 하고 뇌를 ... ...
소리 없이 다가오는 죽음의 공포, 공황장애
과학동아
l
201202
문제가 발생할 수밖에 없다.감정 제어 기능에는 세로토닌이 작용한다. 세로토닌은
흥분성
신경 전달 물질로 대뇌변연계에 영향을 미쳐서 감정을 조절한다.공황장애를 치료하기 위해서는 이 두 물질의 작용을 조절하면 된다. 선택적 세로토닌 흡수 억제제(SSRI)가 포함된 항우울제는 세로토닌의 ... ...
1999년 제이 기드 박사의 청소년 뇌 발달 장기 추적 MRI 연구
과학동아
l
201202
증가로 청소년들은 더 감정적이 되고 보상이나 스트레스에 더 민감하게 반응한다.
흥분성
신경전달물질의 우세와 도파민 활성의 증가는 제대로 보살핌을 받지 못한 청소년들이 폭력, 흡연, 음주, 성관계 등 위험한 행동에 쉽게 빠져드는 현상을 설명해준다.한편 뇌 발달 과정은 유전자의 프로그램에 ... ...
신경교세포 100년 만에 입을 열다
과학동아
l
201103
신경전달물질인 글루타메이트도 나온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우리 몸의 중추신경계는
흥분성
신경전달물질과 억제성 신경전달물질이 나와 서로 조화를 이루기 때문에 인체가 정상적인 기능을 할 수 있다.이 사실은 신경계 질환 치료에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각종 신경계 질환은 기본적으로 몸 ... ...
영화 ‘내 사랑 내 곁에’ 루게릭병을 잡아라
과학동아
l
200910
없다. 신경 말단에서 분비되는 글루타메이트의 양을 줄이고 글루타메이트로 인한
흥분성
세포 독성을 막는 릴루졸(Riluzole)이라는 약제가 개발돼 쓰이고 있지만 이 약제는 환자의 호흡근이 마비되기까지의 기간을 2~3개월 정도 연장시키는 수준에 그친다. 현재까지 수많은 치료법이 루게릭병 환자에게 ... ...
마술 같은 맛 그려내는 식품첨가물
과학동아
l
200811
영국 런던대 신경생물학자 스티븐 로즈 교수는 “글루타메이트(MSG의 음이온)는
흥분성
신경전달물질”이라며 “이런 물질을 음식으로 과도하게 섭취하면 신경독성 증상 즉 중국식당증후군이 나타난다”고 말했다.이런 인식과는 달리 MSG와 관련된 많은 연구가 있었지만 이 물질의 유해성을 ... ...
1
2
3
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