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묘목
d라이브러리
"
종묘
"(으)로 총 37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3. 신종 찾고 바다숲 만든다! 조간대 살리는 과학자
어린이과학동아
l
201707
해조류가 어느 정도 자라면 인공어초를 그대로 바다 속에 투입해요. 이런 방식을 ‘
종묘
이식’이라고 하지요.이외에도 해조류의 종류에 따라 성숙한 해조류를 양파망에 넣어 인공어초에 매다는 ‘모조 주머니 시설’을 설치하기도 해요. 또 해조류의 포자를 퍼뜨린 그물망을 바다 속 암반에 묶어 ... ...
[Culture] 치카우
과학동아
l
201707
것이 있겠느냐? 다만 2억 년 동안 이어 온 선대의 조종세업이 내 대에서 끝나게 되어, 그
종묘
사직을 지키지 못하는 것이 한스러울 뿐이다.”황제의 말을 듣고 치클은 네 개의 다리를 물결치듯 진동하였다. 무거운 예의를 표현하는 방법이었다. 치클이 말했다.“황제 폐하, 그와 같이 약한 마음은 먹지 ... ...
김장철 영양 프로젝트 매운 맛 좀 찾아볼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222
수상할 수 있었답니다.청양고추 이름의 뜻은?청양고추는 1983년 ‘중앙
종묘
’에서 캡사이신을 추출하기 위해 개발했어요. 그 뒤 경북 청송군과 영양군의 농업인들이 시범 재배했어요. 이곳 농업인들은 청양고추가 있는 그대로 먹어도 좋다는 사실을 알아냈지요. 농업인들의 생각대로 청양고추는 ... ...
전통건축의 비밀을 밝혀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018
퀴즈 프로그램 의 사회자 ‘어처구니’입니다. 저를 처음 본다고요? 궁궐 지붕에 살면서 궁궐을 보호하는중요한 역할을 하고 ... 앞뒤로만 지붕면이 펼쳐져 있고 양 옆에는 없다. 단정하고 장중한 느낌을 주기 때문에
종묘
와 같은 조선시대 유학 건물과 절의 강당 건물에 쓰였다 ... ...
팔색조처럼 다양한 음색 해금
과학동아
l
200912
많이 불렀다. 해금은 민요나 설화에도 자주 등장해 앵금이나 행금으로도 불렸다. 해금은
종묘
제례악이나 연향악 같은 궁중음악부터 민간의 무속음악에까지 널리 쓰여 민중에게 친숙한 악기였다.해금은 한반도에 언제 전해졌을까. 조선시대 음악서인‘악학궤범(樂學軌範)’은 해금을 당나라에서 ... ...
용궁 긴급회의 바다의 사막화를 막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911
❶ 인공암초 설치해조류가 바다 속에 잘 붙어서 자라려면 암반이 필요하다. 따라서
종묘
를 이식하기 전에 바다에 인공암초를 설치하여 해조류가 자랄 환경을 마련한다.❷ 환경에 맞는 해조류 심기해역의 환경을 보고 어떤 생물이 살 수 있을지 조사한다. 바다 밑은 자갈과 바위로 안정되어 있는지, ... ...
힘찬 기상과 애절함을 담은 소리 피리
과학동아
l
200910
때는 제일 아래쪽 지공을 쓰지 않는다. 왕이 행차할 때나 국가의 경사가 있을 때 연주된
종묘
제례악, 낙양춘이나 보허자 같은 당악에 쓰는 당피리는 중국에서 전래된 악기(당악기)로 분류된다.당피리는 관대 길이가 20cm 정도로 향피리보다 짧고 굵기는 단소와 비슷할 정도로 굵다. 그래서 얼핏 보면 ... ...
봉황의 오색 울음소리 생황
과학동아
l
200908
단절됐던 생황을 악학궤범에 나온 그대로 복원해 제작했고 지난 4월에는 복원한 생황을
종묘
제례악에 편성해 연주했다. 현재 생황은 단소와 함께 수룡음이나 염양춘 같은 국악가곡을 연주하는 데 쓰이며 서양악기와 어울려 현대음악에도 자주 쓰인다. 팔음(八音) 국악기 분류법이자 악기를 만드는 ... ...
태평성대 부르는 신명나는 소리 태평소
과학동아
l
200906
에서 태평소는 홀로 선율을 담당했다. 선대 임금의 위패를 모신
종묘
에서 연주하는
종묘
제례악에서도 태평소는 중요한 악기로 쓰였다.왜병 물리친 ‘오랑캐 피리’국악기 가운데 태평소만큼 다양한 이름을 가진 악기가 또 있을까. 태평소는 쇄납 또는 새납이라고 불리는데, 이는 태평소의 기원이 ... ...
백성을 굽어 살피는 어진 소리 편경
과학동아
l
200905
抑佛崇儒) 정책을 기본 통치이념으로 삼으면서 공자의 예악(禮樂)사상 을 반영한
종묘
제례악 같은 아악이 더욱 중요해졌기 때문이다.이런 상황에서 편경을 자체 제작한 이가 바로 세종대왕이다. 편경 제작과정과 관련해 세종실록에는 재밌는 일화가 전해진다. 1425년 경기도 남양 지역에서 표면의 ... ...
1
2
3
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