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약제
약
의약품
의약
약품
약물소독
소독
스페셜
"
약물
"(으)로 총 771건 검색되었습니다.
세계 최초로 긴급 승인된 印 코로나19 DNA 백신...주삿바늘 없애고 효능 66.6%
동아사이언스
l
2021.08.24
"세포 안으로 DNA를 넣는 일이 까다롭기 때문"이라며 "최근 제약업체들은 자이코브디처럼
약물
줄기를 피부를 통해 미세하고 강력하게 쏘거나, 백신 주사 시 순간적으로 전기적 펄스를 거는 등 물리적인 방법으로 효율을 높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자이더스 캐딜라 외에도 여러 제약업체들이 ... ...
[강석기의 과학카페]식물 유래 코로나19 백신이 온다
2021.08.17
큰 장점은 빠른 시간 내에 의약품을 만들 수 있다는 것이다. 그 과정을 보면 먼저 단백질
약물
유전자를 담은 DNA 조각을 만들어 아그로박테리움이라는 세균에 넣는다. 배양한 세균이 희석된 물에 식물체를 담그면 세균이 잎에 감염하면서 식물 세포 안으로 DNA 조각을 주입한다. DNA 조각은 식물의 ... ...
日연구팀, 뇌에 신경난치병 치료약 효율적 전달 기법 첫 개발
연합뉴스
l
2021.08.13
연구팀은 새 방법을 사용한 생쥐 실험에서 정맥주사나 피하주사로도 뇌 안에
약물
이 제대로 닿는 것을 확인했다고 한다. 연구팀의 요코타 다카노리 교수(뇌신경내과)는 새 기법을 활용한 임상시험을 2023년 시작해 부작용과 효능을 확인할 예정이라며 핵산의약을 사용할 경우 한 차례 투여로 ... ...
셀트리온, 흡입형 코로나19 치료제 호주 임상 1상 승인
연합뉴스
l
2021.08.10
9 바이러스에 감염된 기도 점막에 항체를 전달하는 방식이다. 셀트리온은 호흡기로 폐에
약물
을 직접 전달하는 만큼 환자 편의성이 증대돼 항체치료제 접근성이 한층 높아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양사는 흡입형 렉키로나를 경증 및 중등증 외래 환자뿐 아니라 무증상 확진자나 밀접접촉자에게도 ... ...
코로나19 치료제 세계 최대 규모 임상 재개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8.06
수 있다. 욘-아르네 뢰팅겐 박사는 “임상이 지연된 것은 전세계에 저렴한 가격으로
약물
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제약사와의 협상과 각 국가의 규제 및 윤리 승인에 필요한 시간 때문이었다”고 밝혔다. 그는 또 “모든 국가에서 우리의 미래를 위한 ‘패스트 트랙’ 시스템이 필요한 ... ...
뿌리고 삼키고 들이쉬고…주사기 안쓰는 '민첩한' 코로나 백신·치료제가 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8.04
3가지나 인식해 공격할 수 있다. 그만큼 바이러스를 사멸시키는 효과가 좋다. 또 이
약물
이 인식하는 단백질은 돌연변이가 거의 일어나지 않는 부위라서, 델타 변이 등에도 강력할 것으로 기대된다. 오라메드제약은 이달부터 이스라엘 텔아비브의 이킬로브 병원에서 임상시험을 시작했다. 델타 ... ...
[표지로 읽는 과학]'투 스트라이크' 두 종의 치료제로 간암을 잡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7.31
EGFR)가 작동하면 렌바티닙이 FGFR을 억제하는 능력이 떨어지고 이에 따라
약물
의 효과도 낮아진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쥐 실험에서 EGFR 억제제인 게피티닙을 렌바티닙과 함께 투여한 결과 EGFR 억제 효과가 좋아졌고 결과적으로 간세포암종 치료에도 효과가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 ...
[올림픽의 과학]
약물
은 옛말…걸리지 않는 도핑이 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7.30
가하는 뇌 도핑이 등장하는 등 점차 은밀한 방식으로 진화하고 있다. 과거에는 도핑
약물
이 마약이나 흥분제처럼 분자량이 작은 합성화합물이 대부분이었다. 하지만 최근에는 사람 몸의 단백질 구조와 비슷한 고분자 화합물이 점점 늘고 있다. 인간의 성장호르몬과 동일한 형태를 가진 ... ...
[강석기의 과학카페]회춘하면 코로나19도 가볍게 앓을까
2021.07.27
몸의 노화가 가속화되는 이유다. 세놀리틱은 노화세포에 작용해 세포자살을 유도하는
약물
이다. 새치를 뽑듯이 세놀리틱으로 노화세포만 선별해 없애자 실험동물이 생리적으로 젊어지고 수명이 길어졌다는 논문이 3년 전 나왔다(노화세포와 세놀리틱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강석기의 과학카페 ... ...
구글 딥마인드AI, 인간 단백질 2만개 구조 모두 예측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7.23
단백질의 구조는 본질적으로 불완전한 영역이 많아 이 정도 정확도로도 충분히
약물
설계 등에 활용할 만하다는 설명이다. 존 점퍼 알파폴드 수석연구원은 “많은 단백질은 용액 속에서 고정된 구조를 갖고 있지 않다”고 말했다. 알파폴드2가 예측한 단백질은 이미 다양한 연구에 쓰이고 있다. ... ...
이전
15
16
17
18
19
20
21
22
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