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윗대
선조
소상
조각
선대
웃대
노인
뉴스
"
조상
"(으)로 총 584건 검색되었습니다.
현생 인류
조상
과 네안데르탈인 이종교배 흔하게 일어나
연합뉴스
l
2021.04.09
것으로 분석했다. 연구팀은 즐라티쿤이 이종교배로 네안데르탈인의 유전자가 섞인
조상
에게서 약 2천년 뒤 후손으로 태어난 것으로 추정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네이처 생태학과 진화'(Nature Ecology and Evolution)를 통해 발표됐다. ... ...
[인간 행동의 진화] 인간은 어떤 곳에 살고 싶어하는가
2021.03.20
다양한 연구를 통해서 이러한 장소가 정신적인 치유를 이끈다고 했다. 그러고보니 우리
조상
이 좋아하던 정자가 주로 이런 곳에 지어졌다. 회복을 위한 환경은 다음의 특징이 있어야 한다. 일단 매혹적이어야 한다. 관심을 끄는, 호기심을 불러일으키는 비밀의 정원이다(Fascination). 좀 낯설고 ... ...
바이러스
조상
추적해보니…코로나19, 2019년 11월 중국 우한서 퍼졌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19
중국에서 확인된 코로나19 바이러스 583의 유전자를 분석한 결과 이들 바이러스의 공통
조상
은 11월 중순에 발생한 것으로 추정됐다. 연구팀은 11월 4일까지 중국 내 코로나19 감염자 수는 1명 미만인 것으로 예상했다. 그러다 13일 후인 11월 17일에는 4명, 12월 1일에는 9명으로 늘었을 것으로 추정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100만년 전 매머드 게놈 해독해보니
2021.03.16
해독된 게놈을 바탕으로 구성한 매머드의 계통도다. 420만 년 전 아시아코끼리(E. maximus)
조상
과 남부매머드가 갈라졌다. 남부 매머드는 약 200만 년 전 털매머드(wolly mammoth)와 크레스토프카 계통으로 진화했고 약 42만 년 전 이들 사이의 잡종 종분화로 컬럼비아매머드(M. columbi)가 등장했다. 그 뒤 약 1 ... ...
[인간 행동의 진화]집단의 믿음이 아이스크림 맛을 규정한다
2021.03.07
차이를 구분하는 것은 인간의 진화적 본성이다. 고양이와 호랑이를 차별 없이 대하던
조상
은 자손을 남기기 어려웠을 것이다. 우리는 어떻게든 차이를 만들고, 집단을 구분한다. 기존의 차별이 사라진 곳에는, 새로운 차별이 등장할 것이다. 그렇게 쉽게 바뀌지 않는다. 유연한 인간성을 너무 ... ...
[사이언스N사피엔스]성당의 스팬드럴과 진화론
2021.02.18
자연선택) 1966》 원서 표지 《적응과 자연선택》은 도킨스의 《이기적 유전자》의
조상
격이라 할 수 있는 저작으로서 적응이 유전자의 이득을 위한 진화라고 설명한다. 자연선택의 수준이 집단이 아니라 유전자임을 천명한 것이다. 그러나 자연선택에 의한 적응은 최소한으로 최후의 수단으로써만 ... ...
"살아있는 화석" 실러캔스 유전자 상 자격 없어
연합뉴스
l
2021.02.10
진화'(Molecular Biology and Evolution)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포유류와 조류, 파충류의 공통
조상
에서 '전이인자'(transposon) 형태로 만들어진 유전자 'CGGBP1'을 인간 이외에 다른 종(種)에서 찾는 과정에서 이런 성과를 얻었다. 전이인자는 '점핑(jumping) 유전자'로도 불리는데, 한 위치에 고정된 일반 DNA와 ... ...
中 우한 간 WHO조사단이 밝힌 '중요한 단서' 동물·인간 매개 흔적 찾았나
동아사이언스
l
2021.02.08
윈난성 박쥐에게 발견된 바이러스와 코로나19를 유발한 사스코로나바이러스-2가 같은
조상
에서 나왔지만 실제 숙주가 따로 있을 가능성이다. 중간 매개 숙주로 천산갑이 지목되기도 했다. 중국 우한이 코로나19의 첫 집단발병지인 건 맞지만 바이러스 자체가 처음 발생한 곳은 아닐 수도 있다는 ... ...
[표지로 읽는 과학] 20주년 맞은 인간게놈프로젝트(HGP)의 유산
동아사이언스
l
2021.02.07
평가했다. 다양성 부족은 인간게놈 분석의 한계 가져온다 사이언스는 “게놈이
조상
이나 지역에 따라 기원이 다르다고 알려져 있음에도 불구하고 유전학 연구는 여전히 유럽인에게 주로 초점이 맞춰져 있다”며 “유럽인의 게놈 데이터가 매우 크고 얻기가 쉬우며 연구비 지원도 더 잘 이뤄지기 ... ...
[강석기의 과학카페]살아있는 화석 폐어와 실러캔스, 엇갈린 운명
2021.01.26
발현됐다. 1938년 실러캔스의 발견은 엄청난 사건이었음에도 현생 2종 모두 과거
조상
들이 살던 얕은 물을 떠나 깊은 바다로 침잠하면서 생태적으로는 의미가 반감했다. 반면 1837년 처음 보고됐지만 그다지 주목을 받지 못했던 폐어는 여전히 물가에 살면서 물과 공기 모두에 적응한 생태를 ... ...
이전
15
16
17
18
19
20
21
22
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