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수
해조
짠물
민물
바다물
바다
소금물
뉴스
"
바닷물
"(으)로 총 575건 검색되었습니다.
지구온난화로 남극 주변 해류 속도 빨라졌다
동아사이언스
l
2021.12.06
남극순환류의 데이터를 수집했다. 한국의 기상국립과학원을 비롯한 30개국, 50여 기관은
바닷물
의 온도, 염분 등을 측정하기 위해 1999년부터 전 세계 바다에 부이를 띄우고 네트워크로 구축하는 아르고 프로젝트를 추진했다. 지금까지 전 지구 해양에 최대 4000개의 부이가 설치됐으며 계속 해양 ... ...
일본 후쿠시마 오염수 삼중수소 1200일이면 북태평양 뒤덮는다…中 연구팀 시뮬레이션
동아사이언스
l
2021.12.02
점차 위도 35도의 동쪽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으로는 1200일이면 남해안의
바닷물
에 세제곱미터당 최소 0.29베크렐(Bq) 농도의 삼중수소가 들어차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1L당 0.00029Bq 수준이다. 그림 C는 세제곱미터당 0.29Bq 이상의 삼중수소가 들어차는 지역을 표시했다. 한국은 120 ... ...
일본 후쿠시마 오염수 유입 바다에서 실시간 확인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11.25
바로 측정하고 분석할 수 있는 장비다. 한국은 국내 해역 다양한 지점에서 주기적으로
바닷물
을 채취해 방사능 분석과 감시를 수행중이다. 최근 일본이 후쿠시마 원전의 방사능 오염수를 해양방류하기로 결정하면서 해양 방사능 감시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표층해수와 수심별 해수 등 ... ...
인도양서 ‘열수분출공’ 2곳 연달아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1.11.15
의해 뜨거워진 해수가 지각의 약한 틈을 뚫고 솟아나면 해수 속 금속이온이 차가운
바닷물
에 닿으며 열수구 주위에 침전된다. 근처 물 온도는 최고 400도에 이르고 햇빛이 닿지 않으며 독성물질로 가득 차 있다. 그럼에도 입과 항문 등 소화기관이 전혀 없지만 2m까지 자라는 ‘관벌레’ 등 다양한 ... ...
해양 탄소 순환 감시할 자율주행 로봇
동아사이언스
l
2021.11.12
중요한 역할을 한다. 탄소는 물에 잘 녹아 바다의 탄소 전환 속도는 매우 빠르다.
바닷물
에 섞여있는 탄소량은 대기의 50배에 이를 정도다. 바다는 인류가 배출한 탄소의 약 23%를 흡수해 대기권에서 탄소 농도가 빠르게 증가하는 것을 완화하는 완충 역할을 한다. 심해 퇴적물은 바다로 흡수된 ... ...
유튜브, 낯선 과학의 문턱 낮췄다…이젠 사실 확인도 함께 신경써야
동아사이언스
l
2021.11.1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정부출연연구기관 중 하나로 핵융합에너지 개발을 연구한다.
바닷물
에서 얻은 중수소와 삼중수소를 연료로 이용한다는 점에서 자원이 무한하고, 온실가스 발생이나 폭발 위험이 없어 미래 청정에너지로 꼽힌다. 이 팀장은 "핵융합 기술 자체가 어렵다보니 일반 대중이 ... ...
조선시대 문헌 '택리지' 염전 기록으로 한반도 해수면 취약성 확인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10.26
시추한 고토양을 분석한 결과, 1530년 무렵에는 염전 위치가 해안에서 800m 떨어져 있으며,
바닷물
이 밀물로 가장 높아졌을 때의 수위가 1.6m 정도임을 확인했다. 이후 220년이 지난 1750년쯤에는 2.2m로 약 0.6m 높아졌다. 이를 통해 1500년대 초반에서 1700년대 중반의 서해안에는 매년 1.3~1.4mm 정도의 해수면 ... ...
멕시코 200㎞ 내륙 민물 맹그로브 숲 고대 해수면 상승 '증언'
연합뉴스
l
2021.10.05
맹그로브 숲이 현재보다 해수면이 약 6~9m 높아 토바스코를 비롯한 연안 저지대를
바닷물
에 잠기게 한 지구 온난화 시기의 잔존물로, 기후변화에 따른 해수면 상승이 인류에게 얼마나 큰 충격으로 다가올지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라고 했다. 논문 공동저자인 스크립스 해양연구소 ... ...
배터리 원료 부족, 심해 5000m 해저 채굴로 해결할 수 있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21.09.17
해저 채굴 로봇은
바닷물
을 빨아들여 바닥에 분사해 망간단괴를 흙 바깥으로 드러나게 한 후 빨아들인다. 메탈스컴퍼니 제공 하와이에서 남동쪽으로 2000km 떨어진 태평양 심해 5000m 깊이의 ‘클라리온-클리퍼톤 단열대(CCZ)’. 대형 청소기 머리처럼 생긴 로봇이 바닥을 훑고 지나간다. 해저에 깔린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청계천의 왜가리는 별종일까
2021.09.14
섬에 온 과학자들이 유인책으로 고구마를 줬는데 하루는 한 녀석이 흙이 묻은 고구마를
바닷물
에 씻어 먹는 요령을 터득했고 이를 지켜본 다른 녀석들도 따라 하며 전체 무리로 퍼졌다. 고구마를 씻어 먹는 건 본능에 따른 행동이 아니라 코지마섬 일본원숭이들이 만든 문화적 행동이라는 말이다. ... ...
이전
15
16
17
18
19
20
21
22
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