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공위성
텔스타
우주선
첨성
달별
어린이과학동아
"
위성
"(으)로 총 483건 검색되었습니다.
북괴들이 우리나라로 침투하다! 1.21 사태와 울진·삼척 무장괴뢰 침투 사건
기사
l
20240424
41주기 기념식에 참석해 사죄하기도 했지만, 우리 민족을 학살한 북한 괴뢰들은 용서할 수 없죠..... 최근 들어서 북한의 미사일, 정찰
위성
도발이 심해져 가기에, 우리는 반공 민주 정신을 강화해야되요. 그럼 이상으로 기사를 마칠께요~ 감사해요~ [간첩 신고는 112 또는 113 ... ...
국립과천과학관으로 Go! Go!
기사
l
20240422
곳은 첨단기술관이었어요. 그곳은 생활의 변화를 이끄는 첨단기술의 발걸음을 볼 수 있는 공간이었답니다. 가장 재밌었던 것은 인공
위성
이 실시간으로 지구의 표면 모습을 찍고 있는 영상이었어요. 지구의 표면이 정말 아름답고 신비롭다고 느꼈어요. 새롭게 배운 점은 종이비행기를 날려 보면서 바람을 타서 난다는 것이었습니다. 가장 인상 깊었던 곳은 과학탐구 ...
수성이 억울한 이유는?
기사
l
20240414
억울하대요! 왜냐고요? 글쎄, 사람들이 자신을 inferior(모자라다)라고 부른다지 뭐에요? 왜냐고요? 지름이 4879km밖에 안 되게 작아서?
위성
이 없어서? 음,하지만 수성은 대단한 행성이에요. 태양을 도는 속도가 시속 17만km로 태양계에서 제일 빠르지요. 또,88년이 1년이에요. 낮엔 430도, 밤에는 -180도로 태양계에서 밤낮 기온차 ...
재미있는 우주항공 분야 이야기
기사
l
20240127
있기도 합니다. 스타링크는 앞으로 인류의 통신을 더 빠르게 해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한편으로는 이 사업을 위해서 많은 인공
위성
을 우주로 보내려면 많은 로켓 발사가 필요한데 이로 인해 탄소 화합물이 오존층을 파괴해 오존층에 구멍이 생기거나 로켓 표면과 배기구에서 나온 작은 금속 파편들이 오존층의 에어로졸을 오염시킬까 걱정되기도 합니다. 특히 ...
인공
위성
의 신비
포스팅
l
20240123
[#]-[ㅇ]-[#] ...
과학동아 천문대 체험 일지
기사
l
20240114
아주아주 작은 토성의
위성
타이타닉이 보였습니다. 그리고 이동했습니다.천장에 누워서 목성관련 에니메이션을 보았는데 목성의
위성
유로파는 얼음아래 지구와 비슷한 성분의 바다가 있어서 제 2의 지구가 될 수도 있다고하네요.다 끝나니까 벌써 돌아가야할시간!!아 아쉽다.. 근데 과학동아 천문대는 조금 있으면 없어진다고 하네요ㅜㅜㅜ 체험일지 ...
우주 너머 다른
위성
의 바다
기사
l
20240105
또, 아까도 말했듯이 타이탄은 매우 춤기 때문에 외계 생명체가 있으면 매우 느릴 거에요! —내용 정리— 1.타이탄은 토성의
위성
이다. 2.타이탄은 지구로부터 약 14억3000만km떨어져 있다. 3.타이탄의 평균 기온은 -179도이고 메테인으로 된 폭풍우가 곳곳에 내린다. 4.타이탄에 강과 바다에는 메테인뿐만 아니라 에테인도 ...
우리나라 정찰
위성
발사!
기사
l
20231203
상관없이 촬영을 할 수 있습니다. 이로써 북한의 도발을 확인하고 예방을 할 수 있는 최첨단 정찰
위성
인 셈입니다. 저는 이번에 정찰
위성
을 발사했다는 점에서 우리나라도 우주에서 촬영을 하면서 군사에 대한 일을 할 수 있는 것에 대해서 멋있었다고 생각합니다. 다음 2025년까지 실패없이 성공으로 우주에 정상적으로 4기가 안착하면 좋겠다 ...
질량(kg)의 표준이 바뀌었섰다고?
기사
l
20230808
있고 철보다 단단해 질량의 기준으로 사용한것이죠 (원기는 백금-이리듐 합금 입니다) 이로 인해 자동차 산업에 발전을 도왔고 인공
위성
을 궤도에 올리게 되었고 정확한 약물 투여로 사망률을 줄이는 공로를 펼쳤죠 그리고 과학들은 원기를 지키기 위해(?) 원기에 유리 덮개를 씌워 먼지의 접근을 막고 도난 방지를 위해 금고 깊숙히 보관했습니다 또한 원기의 ...
[챌린지] 우리나라 최초 인공
위성
'우리별'의 아버지 최순달 박사님
기사
l
20230730
최초의 인공
위성
벤처기업을 만들어 인공
위성
기술발전을 이어나갔습니다. 최순달 박사님이 그 당시 한국에 전혀 기술이 없었던 인공
위성
을 만들어내서 대단하다고 느꼈고 유학시절 쉬는 시간에만 쪽잠을 자며 일하고 공부한게 정말 대단하다고 느꼈습니다. 이상 강채원 기자였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
이전
15
16
17
18
19
20
21
22
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