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위성"(으)로 총 483건 검색되었습니다.
- 대한민국의 하늘과 우주,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 다녀오다기사 l20240630
- 인공위성이 궤도를 돌기 위한 최소 속도(초속 7.9KM) 도 알려주셨습니다. 그리고 우주쓰레기 처리 방법도 알려주셨습니다. 인공위성의 구성은 몸체 바깥동인 페이로드와 내부인 버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발사체와 지상관제국도 꼭 필요합니다. 우주쓰레기 처리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그물로 우주쓰레기 감싸기 2. 로봇 ...
- 생명체가 존재할 가능성이 있는 위성,유로파기사 l20240630
-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그와 함께 유럽 우주국 ESA는 이번 4월 14일, JUICE 미션을 위해 탐사선을 발사했습니다. JUICE 미션은 목성의 얼음 위성인 유로파,가니메데,칼리스토를 탐사하기 위한 목적을 지니고 있는데, 이 JUICE 탐사선 역시 클리퍼와 마찬가지로 2031년 목성에 도착해 임무를 수행할 예정입니다. 하지만 유로파를 탐사 ...
-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 가다! 우주의 미래를 보다!기사 l20240629
- 필요한 물이 달 뒤편에 있어 달 뒤편을 탐사 할 수 있는 쉐도우 캠이 필요했다고 합니다. 그런데 그 당시 쉐도우 캠을 가지고 있던 인공위성이 다누리 하나였고, 이로 인해 다누리는 세계적으로 인기를 얻게 되었다고 합니다. 역시 시대를 잘 만나야되는군요! 한조영 박사님은 마지막으로 “우주는 개발하는 것이 아니라 활용하는 것이다.” 라는 말씀을 하셨 ...
- 우주기자단 현장 미션> 항우연(항공우주미션)을다녀오다!기사 l20240627
- 최소5년이 걸리고, 최대 25년이 걸린다고 했습니다. 위성은 행성주위를 일정한 주기를 도는 물체이고, 인공위성은 인간이 만든 위성이라고 합니다. 아리랑호는 지구를 한바퀴도는데 1시간30분이 걸리고 고도는 685km 초속 8.24km 시속 29,700km입니다. 우주쓰레기는 1억 3000만개 이상이고 10cm 이상 3만 ...
- 기사 l20240625
- 기상학자 우주 기상학자는 태양 활동, 우주 방사선, 지구 자기장 등 우주 환경을 연구하는 전문가입니다. 이들은 우주 기상이 인공위성, 우주선, 지구 상공의 전력망 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예측합니다. 우주 기상학자는 물리학, 기상학, 천문학 등의 지식을 활용해 우주 환경 변화에 대응하는 역할을 합니다. 교육 및 홍보 전문가 우주 교 ...
- 우주는 개발이 아닌 활용이다!(어린이우주인 선발대회 현장미션- 한국항공우주연구원 KARI)기사 l20240623
- 1.2km를 달성해야 하고, 태양의 중력을 이겨내어 태양계로부터 빠져나갈려면 초속 617.5km의 속력이 필요합니다. 하지만 현재는 이런 인공위성의 쓰레기가 문제가 되고 있습니다. 바로 우주쓰레기인데요, 우리는 이런 우주쓰레기를 그물, 로봇팔, 끈끈이, 레이져 등으로 처리할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또한 우주는 인류미래의 보고 및 새로운 거주 ...
- 대한민국 우주개발 1번지, 한국항공우주연구원기사 l20240623
- 중요하지만 상상력과 창의력을 발휘해 우주에서 얻은 정보들을 어떻게 활용하는 가에 따라 그 가치가 천지 차이라는 말씀이셨는데, 위성개발 전문가가 아니면 하실 수 없는 내용이라 생각이 들었어요. 앞으로 우주개발 자원의 활용에 대해 진지하게 생각해봐야 겠다고 다짐했어요. 강연 마지막에 질문할 수 있는 시간이 있어 “지금까지 다누리가 발견한 가 ...
- 기사 l20240622
- 성과를 이루어 왔습니다. 프로젝트 마큐리(Mercury): 1961년, 앨런 셰퍼드가 탑승한 마큐리-레드스톤 로켓을 통해 미국 최초의 인공위성 발사를 성공시키고, 인간의 우주 비행 첫 시험을 거쳤습니다. 프로젝트 젤러리(Gemini): 1965년에서 1966년 사이에 진행된 프로그램으로, 우주 비행사들의 장기 거주와 우주에서의 ...
- 우리의 우주산업이 이루어지는 곳! 한국항공우주연구원!기사 l20240622
- 만들고 쏘아올리는 과정들을 재미있고 쉽게 알려주셔서 이해가 잘 되었습니다. 한조영 박사님께서 25년 동안 위성을 만들어오셨는데, 위성을 여섯 개 째 만드셨다고 했습니다. 이 강연이 끝난후 질의 응답 시간을 가졌습니다. 강연 중 제가 가장 인상깊게 들은 부분은 다누리호 만이 해가 없는 어두운 곳에서도 찍을 수 있는 카메라를 보유 ...
- 2024 우주 탐사: 새로운 시대의 개막기사 l20240622
- 위성 포보스를 탐사하는 Martian Moons eXploration(MMX) 임무를 계획하고 있으며, NASA는 10월에 유로파 클리퍼(Europa Clipper) 임무를 통해 목성의 위성 유로파를 탐사할 예정입니다. 유로파 클리퍼는 44번의 근접 비행을 통해 유로파의 빙하, 화학적 조성 및 지질학적 특성을 조사할 것입니다. 소행 ...
이전1314151617181920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