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미생물"(으)로 총 197건 검색되었습니다.
- 가마우지의 여행 태안의 자연을 찾아서(2)어린이과학동아 l20080131
- 하나의 생태계를 이루는 거야. 농사를 짓는 사람들에게는 저수지의 역할도 해 주지. 습지의 역할은 그것뿐만이 아니야. 습지에 사는 미생물은 흘러 들어오는 오염된 물을 정화하고, 공기 중으로 증발된 물은 그 지역의 온도나 습도를 조절하기도 하지. 태안에는 갯벌을 따라 군데군데 습지가 잘 발달돼 있어. 그 중에서 가장 주목을 받고 있는 습지가 네가 ...
- 생물자원 전쟁_크리스마스트리를 지켜라!(2)어린이과학동아 l20071130
- 시간을 건너 뛰어 생물자원을 전달하기도 한다. 우리는 마침내 생물도둑을 붙잡았어. 생물도둑의 가방 속에서는 수많은 식물 씨앗과 미생물이 사는 흙, 동물의 DNA 샘플 등이 나왔단다. 도망치게 했다면 정말 큰일이었을 거야. 그는 생물도둑을 꽁꽁 묶어 경찰에 넘겨 준 뒤 내게 말했어. {BIMG_r11}네가 할 일은 아직 끝나지 않았다. 첫째, 우 ...
- 생물자원 전쟁_크리스마스트리를 지켜라!(1)어린이과학동아 l20071130
- 헐값에 사들여 왔다. 감자와 고구마도 원래 중남미 지역에서 재배하던 작물을 서양인들이 유럽으로 가져가 퍼뜨린 것이다. 최근에는 미생물이나 사람의 유전자도 도둑질 대상이 되고 있다. 그러면 생물도둑들이 어떤 짓을 했는지 대표적인 사례를 보여 주겠다. 빼앗긴 인도의 상징 ‘님나무’ 님나무는 인도 전역에서 쉽게 볼 수 있다. 항균 작용을 하기 때문에 ...
- 화장실 익스프레스(2)어린이과학동아 l20071031
- 쟤가 번지수를 잘못 찾아온 것 같은데? “저건 친환경 화장실이에요. 산소를 좋아하는 미생물을 이용해 똥과 오줌을 발효시키죠. 미생물이 먹은 똥오줌은 95%가 이산화탄소와 물로 되고 나머지는 비료가 되지요. 비료가 필요한 농촌에서 많이 쓰이고 있어요. 저런 형태도 있지만 수세식 변기 형태도 있답니다.” 와~! 엄청나게 큰 그랜드피아 ...
- 훈련받는 바퀴벌레어린이과학동아 l20071011
- 자신이 개발한 현미경으로 연못물 속에서 원생생물 등을 관찰해 눈으로 볼 수 없는 아주 작은 생물이 있음을 처음으로 보여 주었다. 미생물 외에도 근육의 가로무늬, 곤충의 겹눈, 동물의 정자 등을 관찰했다. {BIMG_R14}1928년 10월 26일 세균학자 이호왕 박사 함남 신흥에서 출생 축구선수나 작가가 꿈이었던 이호왕 박사는 한국 전쟁 후 남 ...
- 붉은 보름달어린이과학동아 l20070912
- 이 미생물은 기존 방법보다 2배나 더 효율적으로 자일리톨을 만들어요. 또 자일리톨을 만들면서 환경에 해로운 니켈을 많이 썼는데 미생물을 이용하면 니켈을 쓰지 않아도 된대요. 그 동안 자일리톨은 외국에서 모두 수입했는데, 앞으로는 한국에서 만든 자일리톨을 먹을 수 있지 않을까요? [소제시작]우리가 키운 ‘히말라야타알’ 외국 보내요[ ...
- 폭삭 정화조 폭발사건어린이과학동아 l20070912
- 나오겠구만. 헙!” “맞아요. 그런데 메탄과 황화수소는 공기 중에 일정한 농도 이상 있을 때는 폭발해요. 그러니까 무더운 여름철에 미생물 번식이 활발해져 메탄과 황화수소가 정화조 안에 가득 차면 어떤 충격에 의해 폭발이 일어날 수 있는 거죠. 켁!” [소제시작]사건 분석 3 사람들이 폭발하게 만들었다?[소제끝] “원래 정화조에는 환기구를 설치하 ...
- 해저 2만리 보물선을 찾아라(2)어린이과학동아 l20070831
- 오랫동안 잠들었던 도자기는 흐르는 물에 일주일 정도 담가서 소금기를 없애. 그릇에 붙은 조개는 염산으로 녹여 내지. 오염물질과 미생물 때문에 변한 색을 닦아 내면 본래의 고운 색이 나타난단다. 초음파로 도자기에 붙어 있는 오물을 털어 내고 깨진 도자기 조각을 잘 붙이면 끝! 도자기 조각을 분석하면 어느 지역에서 언제 만들었는지 알 수 있단다. ...
- 우주에 뜬 풍선 호텔어린이과학동아 l20070712
- 태어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식물에 있는 ‘광합성 공장’ 유전자를 동물에 넣어 광합성을 하게 하는 것이다. 처음에는 아주 작은 미생물이 광합성을 할 것이다. 그러다 작은 동물로 확대되고 결국 소나 돼지도 광합성을 할 수 있을지 모른다. 이 때가 되면 소나 돼지가 먹이를 먹지 않고도 식물처럼 물과 미네랄, 비타민만 먹으면 쑥쑥 자랄 것이다. 실 ...
- 파리, 모기 요건 몰랐지?어린이과학동아 l20070531
- 피를 빨아먹는 거야. 그래서 암모기만 문단다. 수모기는 이슬이나 꽃의 꿀, 식물의 즙 등을 먹고 살지. 참고로 장구벌레는 물속에 사는 미생물을 먹고 산단다. 모기 물리고 침 바를까, 말까? 침을 바르면 침이 증발하면서 시원한 느낌을 주고 살균성분도 들어 있긴 해. 하지만 입 속을 돌고 나온 침에는 세균이 많기 때문에 오히려 감염될 수도 있단다. ...
이전1516171819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