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미생물"(으)로 총 197건 검색되었습니다.
- 찬 바닷물로 적조 뚝!어린이과학동아 l20080829
- 0㎞ 정도 더 남쪽에 있어 남극에 훨씬 가까웠는데, 퇴적물이 비교적 잘 남아 있어 당시 환경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곳이에요. 특히 해양미생물인 유공충의 석회질 껍질을 분석하면 오래 전 바닷물의 온도를 알아 낼 수 있지요. 연구팀이 남섬의 유공충을 분석한 결과, 4000만 년 전에는 남극 바다의 표층 온도가 지금보다 훨씬 따듯한 23~25℃였다고 ...
- 있다? 없다? 별난 신종 생물을 찾아서(2)어린이과학동아 l20080829
- 붙일 수 있을지도 몰라. 신종 생물임이 확인되면 발견자는 이름을 붙일 수 있는 권한을 갖게 되거든. 최근에 독도에서 발견된 신종 미생물에 독도라는 이름을 붙였듯이 말이야. 하지만 오지로 탐사를 떠나는 건 너무 힘들다고? 걱정하지 마. 신종 생물은 우리 주변에도 있단다. 우리는 주변의 생물에 대해 잘 알고 있다고 생각하지만, 세심하게 관찰하다 보 ...
- 펑~! 음료수병이 폭발 했다고?어린이과학동아 l20080813
- 직사광선을 받거나 더운 곳에 보관하면 병 내부의 압력이 커져서 폭발을 일으킬 수 있으니 냉장보관은 필수죠. 냉장고 안은 저온이라 미생물이 번식하기 힘들거든요. 또 일단 개봉하면 유통기한이 남았더라도 가능한 한 빨리 마시고, 직접 입을 대고 마시지 말아야 합니다.” 설명하는 닥터고글의 관심을 끌려고 텔미 양이 소리친다. “아얏, 내 손가락을 어 ...
- 21세기를 위협하는 전염병의 역습(1)어린이과학동아 l20080714
- 웨스트나일뇌염. 모두 모기가 옮기는 전염병이다. 이 중 가장 큰 피해를 입히는 것은 말라리아다. 말라리아는 말라리아원충이라는 미생물이 일으키는 병으로, 말라리아원충은 모기의 몸 속에서 자란 뒤 침샘을 통해 사람에게 전파된다. 한편 황열병, 뎅기열, 뇌염 등은 모기가 옮기는 바이러스에 의해 전파된다. {bIMG_l10}모기는 온도 변화에 대단히 ...
- 바다영웅 전설, 우리 바다를 지켜라!(2)어린이과학동아 l20080630
- 퍼진 독도의 바다 독도의 바다 속에는 독도라는 이름이 붙어 세계무대에 알려진 것들이 꽤 많아. 저서생물의 일종인 ‘독도엔스’와 미생물의 일종인 ‘독도 007’! 둘 다 다른 곳에서는 발견되지 않은 신종으로, 독도라는 이름을 널리 알리는 데 앞장서고 있단다. 바닷물의 흐름도 독도를 지키는 데 공헌하고 있어. 보통 깊은 바다 속에서 흐르는 해류의 ...
- 에너지 왕국 구출 대작전(2)어린이과학동아 l20080530
- 음식 쓰레기도 후계자 후보로 빼놓으시면 안 됩니다. 한국에서 하루에 쏟아지는 똥과 음식 쓰레기는 무려 15만 톤이 넘습니다. 이를 미생물을 이용해 산소가 없는 상태에서 발효시키면 메탄가스를 얻을 수 있습니다. 환경문제를 일으키는 가축의 똥을 이용해 메탄가스를 얻는 발전 시설을 갖추면 축산 농가는 연간 1400억 원이 넘는 소득을 올릴 수 있다고 ...
- 식중독 균, 꼼짝마!어린이과학동아 l20080530
- 하룻동안 배양하면 손에 묻어 있던 미생물들이 자란 모습을 볼 수 있지. 우리도 검사해 봤는데 다행히 손을 깨끗이 씻고 난 뒤라서 미생물은 없더라구. 하지만 손을 씻지 않고 검사한 샘플을 보니 어휴~, 대장균부터 곰팡이까지 잔뜩 있었어. [소제시작] 비법 셋_즐거운 여름을 보내기 위한 건강한 습관! [소제끝] 자, 손에 우리 건강을 ...
- 금고의 돈이 감쪽같이 사라졌다고?어린이과학동아 l20080430
- 알에서 깨어날 때는 소화에 필요한 미생물이 몸에 없어요. 하지만 곧 일개미들이 어린 흰개미에게 자신의 배설물을 먹여 필요한 미생물이 어린 흰개미의 몸에 들어가게 돕는답니다.” [소제시작]사건 해결 - 흰개미 퇴치법[소제끝] “어이쿠, 깜빡할 뻔 했네. 사라진 내 돈은 어쩌지?” 정신을 차린 어이쿠야 씨가 돈 이야기를 꺼낸다. 이 때 ...
- 과학에 몸을 던진 과학자들어린이과학동아 l20080414
- 위암이 헬리코박터 균 때문에 생긴다고 믿고 실험을 시작했다. 처음에는 동물 실험으로 증명하려고 했지만 계속 실패하자 1984년 미생물 배양 접시에 키우고 있던 헬리코박터 균을 직접 마셔 버렸다. 실험 결과는 대성공! 균을 삼키자 위산 분비가 멈추고 구토가 나면서 위염에 걸린 것이다. 이어서 헬리코박터 균을 없애는 항생제를 먹자 천천히 병이 나았 ...
- “에너지 팍팍!” 무릎 발전소어린이과학동아 l20080229
- 가져간 나라는 미국과 러시아뿐이었어요. 그런데 이번에 우리나라가 승인을 받으면서 세 번째 나라가 된 거죠. 지구에서는 안전한 미생물이 우주에서 돌연변이를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우주 식품은 꼭 멸균처리를 해야 해요. 그래서 김치는 방사선으로 젖산균을 없앴어요. 또 곡물가루는 막대 형태로, 수정과는 가루로 만드는 등 우주에서 편하게 먹을 수 있도 ...
이전141516171819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