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쪽"(으)로 총 6,767건 검색되었습니다.
- [통합과학 교과서] 거울 나라의 우유는 마실 수 없다고?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약을 만들 때는 거울상 이성질체를 분리해서 필요 없는 쪽을 없애거나, 처음부터 필요한 쪽만 만들 수 있어야 하죠. 하지만 이는 매우 복잡하고 비용이 많이 드는 어려운 일이에요. 그래서 화학자들은 유용한 이성질체 분자만을 합성할 수 있도록 끊임없이 연구하고 있답니다. # 에필로그“배달을 ... ...
- 빛, 전기, 세포외소포체… 상처를 치료하는 n 가지 방법들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칩 위에서 진행했다. 손톱 크키의 칩 위에 케라티노사이트(각질형성세포)를 올리고 한쪽 방향으로 전기 자극을 가했다. 그랬더니 상처 회복이 3배 빨라지는 것을 확인했다. 칩 위에서 다양한 바이오 실험을 하는 실험 장치는 일명 ‘랩온어칩’이라고 불린다. 배원규 숭실대 전기공학부 교수는 ... ...
- [꿀꺽! 수학 한 입] 직사각형 경기장이 품은 도형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06호
- 설명네트★ 테니스·배구·탁구·배드민턴 등의 경기에서, 코트 중앙에 가로질러 양쪽 편을 구분하는 데 쓰는 그물을 말해요.평행★ 두 직선을 아무리 길게 늘여도 만나지 않을 때 평행하다고 해요. ☞오디오로 들어요 ... ...
- 챗GPT 필수가이드수학동아 l2023년 06호
- 뉴스에서도 챗GPT, 유튜브에서도 챗GPT, 챗GPT가 연일 화제입니다. 챗GPT에 관한 여러 가지 소문이 많지만, 챗GPT의 원리는 무엇인지, 유료 버전과 무료 버전은 어 ... 가능성도 있지요. 그래서 챗GPT의 사용을 두고 서로 다른 의견이 대립해요. 이 이야기는 30쪽의 토론에서 더 자세히 해볼게요 ... ...
- [옥톡과 달냥의 우주 탐험대]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06호
- 안녕? 우린 우주인이 되기 위해 특수훈련을 마친 옥톡과 달냥이야. 어느 날, 우주 저 멀리에 있는 외계인으로부터 신호가 왔어. 당장 그들을 만나러 갈 거야! 우린 우주를 떠 ... 스스로 빛을 내는 천체예요. 태양은 태양계의 유일한 항성이에요.표면★ 사물의 가장 바깥쪽, 겉 부분이에요. ... ...
- [만화 뉴스] 지구의 내핵 안에 또 다른 핵이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연구팀은 내핵 안쪽과 바깥쪽을 이루는 철 결정의 방향이 다르다며, 내핵이 안쪽과 바깥쪽으로 나뉜다고 설명했어요. 호주국립대학교 탄손 팜 연구원은 “지구가 네 개의 층으로 이뤄졌다는 정설을 뒤집는 연구”라고 말했답니다 ... ...
- [이세인의 '미지의 유인원'] 진화의 땅에 발령된 호기심 전염주의보!과학동아 l2023년 06호
- 것인가. 미국 캘리포니아대에서 성인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했다. 결과는 예상대로 한 쪽에 쏠렸다. 약 65%의 참가자가 ‘좋아요’ 수가 더 많은 질문의 정답을 확인했다. 서로 공명하는 우리의 호기심 이 실험의 의의는 ‘호기심이 전염되는가’라는 연구 주제에 답을 찾을 수 있다는 것이다. ... ...
- [과학 뉴스] 스스로 땅속을 파고드는 씨앗 운반 로봇 개발!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안쪽 세포가 바깥쪽 세포보다 더 많이 팽창해 감긴 줄기가 풀려요. 반대로 건조해지면 안쪽 세포가 더 빨리 수축하면서 풀렸던 줄기가 다시 감기지요. 연구팀은 화학적 세척을 통해 나무 꼬리가 풀리고 감기는 정도가 크도록 설계했습니다. 연구팀은 줄기의 끝에 꼬리가 하나 달린 국화쥐손이와 ... ...
- [과학사] 1892년 3월 15일 계단이 움직인다? 에스컬레이터 특허출원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6호
- 한정된 인원의 사람만 옮길 수 있는 엘리베이터와 달리, 에스컬레이터는 사람들을 한쪽 방향으로 끊임없이 이동시킬 수 있어요. 이동하면서 주변을 둘러볼 수 있다는 것도 장점이죠. 1892년 3월 15일, 미국의 발명가 제시 레노는 ‘끝없는 컨베이어 또는 엘리베이터’라는 발명 특허를 승인받습니다. ... ...
- 인쇄한 대체육 직접 먹어봤습니다! 3D 푸드 프린팅과학동아 l2023년 06호
- 3D 프린터에는 실린더와 노즐이 두 개씩 부착돼 있었습니다. 한 쪽에는 빨간 원료가 다른 쪽에는 하얀 원료가 들어 있었습니다. 이 교수는 “각각 살코기와 지방”이라 설명했습니다. 대체육을 연구하는 3D 프린터였습니다. “한 번 드셔 보시죠.” 이 교수는 연구실에서 개발한 한 입 크기의 ... ...
이전1516171819202122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