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식"(으)로 총 836건 검색되었습니다.
- [News & Issue]추워도 좀 참자, 살 빠지니까과학동아 l2016년 01호
- 12.5%에서 0.003%로 감소했다. 연구팀은 이 장내미생물을 다른 무균쥐에 이식했다. 이식받은 쥐는 3주간 꾸준히 체중이 감소했다. 백색지방이 포도당 대사와 열 발생을 증진시키는 베이지색 지방으로 바뀌면서 에너지 소비가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체중 감소는 3주 뒤 멈췄다.트라이코프스키 교수는 ... ...
- PART1. 뇌 조종의 신기원을 열다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이용해 뉴런에 새로운 채널을 이식하듯, 보통 세포에 빛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단백질을 이식해 빛으로 신호를 켜고 끄는 기술을 개발하기로 마음먹었다.새로운 연구를 하겠다고 결심은 했지만 힘든 일이 많았다. 처음이다 보니 기존에 발표된 연구를 다시 재현하기도 쉽지 않았다. 기초적인 ... ...
- [과학뉴스] 자라나라, 머리카락!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22호
- 불과 3주 만에 털을 깎기 전 상태로 돌아왔지요. 이후 연구팀은 사람의 두피를 쥐에게 이식한 후 같은 실험을 반복했어요. 그 결과, 사람의 두피에서도 마찬가지로 발모제를 바른 부분에서 머리카락이 활발하게 자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답니다.크리스티아노 교수는 “이 기술이 상용화되면 원형 ... ...
- 생명력이 꿈틀꿈틀~! 생물의 구조와 기능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9호
- 생물은 환경에 적응하며 살아가기 위해 저마다 독특한 구조를 가지고 있어요. 그리고 그 구조들은 각각 맡은 역할과 기능이 있죠. 생물의 여러 ... 소리 감각을 느끼게 해 줘요. ‘인공 망막’과 안구는 시력을 잃은 사람이 다른 사람의 눈을 이식받지 않고도 세상을 볼 수 있게 해 준답니다 ... ...
- 지구상엔 나무가 총 3조 그루!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9호
- 감염된 쥐에게 건강한 장 속 세균을 이식하는 실험을 했어요. 3일 동안 꾸준 히 이식한 결과, 7일이 지났을 때 한 종류의 슈퍼 박 테리아가 완전히 사라진 걸 확인했지요. 또 다른 한 종류의 슈퍼 박테리아는 60%의 쥐에서 완전히 사라 졌고, 나머지 40%의 쥐에서는 1000분의 1 정도로 줄 어들어 ... ...
- 시각 장애인도 앞을 볼 수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4호
- 생겨 야맹증이나 시야가 좁아지는 증상이 나타나는 질병이에요.아르구스2는 망막에 이식하는 작은 칩과 영상 장치, 그리고 카메라가 달린 선글라스로 이뤄져 있어요. 시각 장애인이 선글라스를 쓰고 있으면 카메라가 영상을 촬영하고, 영상 장치가 그 신호를 인공 망막에 전송하는 원리랍니다. 이걸 ... ...
- 백투더퓨처 2015수학동아 l2015년 10호
- 3월 러시아의 바이오프린팅솔루션랩의 연구팀은 3D프린터로 쥐의 인공 갑상선을 인쇄해 이식하는 실험에 성공했다. 연구팀이 특별 제작한 조직에 세포를 층층이 쌓아 만들었다. 인공 갑상선이 호르몬을 분비하는 것도 확인했다. 이보다 앞서 2013년 미국 프린스턴대 마이클 맥알파인박사팀은 사람이 ... ...
- [Knowledge] 머리 이식…과연 가능할까?과학동아 l2015년 09호
- 이처럼 과격한 주장을 한 이는 이탈리아의 신경외과 의사인 세르지오 카나베로 박사다. 황당한 주장 같지만, 그는 진지하다. 2013년 학술지 ‘외과신경학 ... 선천성 기형인 사람들에게 희망이 될, 차세대 재건 의학으로 꼽힌다. 광복 70주년을 맞아 올해 팔 이식술을 성공하는 게 내 소망이다 ... ...
- 당구공에서 인공심장까지! 플라스틱의 변신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9호
- 대체할 수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어요. 만성 *심부전을 앓던 68세 환자가 이 인공심장을 이식받은 뒤, 마치 정상인처럼 생활하고 있다는 사실이 확인됐거든요.이렇게 인공심장이 인간의 몸속에서 제 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실제 심장인 ‘척’ 몸을 속여야 해요. 우리 몸은 신체의 일부가 아닌 물질이 ... ...
- PART1. 후성유전학이 태어나다과학동아 l2015년 08호
- 한 종류인 제노푸스(Xenopus )의 난자에서 핵을 제거한 뒤, 상피세포에서 채취한 핵을 이식해 복제 개구리를 만들었다. 체세포 DNA가 생식세포와 다르지 않고, 조건만 바꾸면 다른 세포가 될 수 있다는 것을 밝힌 것이다. 거든의 실험으로 와딩턴의 추측은 증명됐지만 발생학자들을 더 큰 혼란에 빠졌다. ... ...
이전1516171819202122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