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왜곡"(으)로 총 391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지도, 어떻게 그리는 걸까?수학동아 l2011년 04호
- 위선과 경선 사이의 각도를 정확하게 지도에 그려냈다. 하지만 각도에 집중하니 길이가 왜곡되는 현상을 막을 수는 없었다. 그래서 극지방이 실제크기보다 크게 그려졌다.두 번째 지도(②)는 19세기 독일의 천문학자 카를 몰바이데가 그린 지도다. 그의 이름을 본떠 몰바이데 도법 지도라고 한다. ... ...
- 개그맨 이윤석의 '웃음의 과학'과학동아 l2011년 03호
- 모두 갖춰야 합니다. 리처드 도킨스는 과학 교양서가 무 재미를 강조하다가 사실을 왜곡하거나 비과학적으로 변할 것을 정했지만, 저는 과학 교양서에 재미가 빠져서는 안 된다고 생각합니다 ... ...
- 인기 폭발 꼽등이가 궁금해!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20호
- 꼽등이 인기가 치솟으면서 인터넷 덧글이나 창작물 등에 공격적인 내용이나 과장되고 왜곡된 내용들이 들어가는 문제도 생기고 있어요. 자유롭게 표현하면서 자연에 대해 배우는 것은 좋지만, 꼽등이 같은 대상을 이용해 선정적이거나 공격적인 표현을 하는 것은 옳지 않답니다." 조숙자 ... ...
- 오싹오싹 짜릿짜릿 공포의 숲을 탈출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16호
- 싸여 있는 스크린은 평면과 평면이 만나는 모서리 부분이 없어, 디지털이지만 형태의 왜곡이 없는 사실감 넘치는 귀신을 만들어 낸다. ▲12개의 영사기는 360˚로 둘러싸인 스크린에 각기 다른 영상을 쏜다. 그래서 앉는 자리에 따라 매번 다른 귀신을 만날 수 있다. 또 입체 영상이 눈앞까지만 오는 ... ...
- 통합적 추론 능력이 핵심과학동아 l2010년 12호
- 숙지하고 있어야 한다. 나아가 제시문과 논제에 나타난 심화된 원리를 의미의 왜곡 없이 요약하는 능력이 필요하다. 이때 모델링이나 도식화를 이용하면 정확하고 압축적으로 독해할 수 있다. 서울대 논술에서는 과학 현상을 수리적 도구로 분석하는 유형이 많으므로 충분히 연습하도록 한다. ... ...
- 빛보다 빠르게 또는 느긋하게과학동아 l2010년 11호
- 넓지만, 두 점이 겹치도록 종이를 접으면 사이의 간격은 0이 된다. 이처럼 3차원 공간을 왜곡시키면 두 지점 사이를 순식간에 이동할 수 있다는 원리다. 웜홀을 이용하면 빛의 속도보다 빠르게 여행할 수 있다. 시간 지연 효과도 나타나지 않는다.그러나 아직 화이트홀이나 웜홀의 존재는 확실히 ... ...
- 건축에 대한 발칙한 상상과학동아 l2010년 11호
- 시각으로 접근했다. 저자는 “조직의 이익이나 권력 다툼 때문에 과학적 진실이 왜곡되거나 숨겨진다”고 비판한다. 그는 영양에 대한 오해를 바로 잡고, 독자들에게 유익하고 올바른 건강 정보를 주라는 가족들의 권유에 따라 이 책을 쓰기 시작했다고 머리말에 밝혔다 ... ...
- 우주 끝까지 외계행성 찾는다과학동아 l2010년 11호
- 위치, 질량 등 여러 개의 변수를 조정해 중력렌즈 현상에 의한 밝기 변화 모형을 만들고, 왜곡현상이 관측된 자료와 비교하면 외계행성의 존재 여부를 알 수 있다.이제까지 설명한 방법은 각각 특징이 있다. 별에 가까이 공전하는 행성은 분리해 관측하기 어렵다. 그래서 직접 촬영하는 방법으로는 ... ...
- 태양 쓰나미가 몰려온다과학동아 l2010년 10호
- 지구 자기장이 서로 상호작용을 일으켜 일명 ‘자기장폭풍’이라 불리는 자기장 왜곡현상이 일어났다. 이런 현상은 12시간이나 지속됐다. 극지방에서나 볼 수 있던 오로라가 유럽과 북미 북부에서도 관찰됐다. 하지만 다행히 우려할 만한 재난이나 사고는 일어나지 않았다. 인공위성과 항공, 통신, ... ...
- 3D 기술로 살아난 백제의 혼과학동아 l2010년 10호
- 해서 문화재의 정확한 기록을 남겼다고 보긴 어렵다. 아무리 좋은 카메라 렌즈도 미세한 왜곡은 피할 수 없다. 실제로 자를 들고 기록을 꼼꼼히 남긴다고 해도 복잡한 형태의 유물은 정확한 실측 자료를 기대하기란 불가능하다. 그러나 3D 레이저 스캔을 활용하면 실측이 어려운 부분이나 전체 ... ...
이전1516171819202122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