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순수"(으)로 총 1,309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원희 인천과학예술영재학교 교장 - “과학과 인문학 아우르는 하이브리드형 인재”과학동아 l2018년 11호
- 과학적 사고와 접목할 수 있는지를 말하는 것”이라며 “본교 입학을 위해 음악, 미술 등 순수 예술 분야의 기술을 연마할 필요는 없다”고 설명했다.인천과학예술영재학교는 1단계 서류평가와 2단계 영재성 검사, 3단계에서는 융합역량다면평가 등 총 3단계를 통해 최종합격자를 선발한다. 먼저 ... ...
- [Culture] 과학으로 들여다본 서른이지만 열일곱입니다과학동아 l2018년 09호
- 말에 혹해 처음 화장을 해봤다. 과한 볼 터치가 나이에 걸맞지 않게 영 서투르다. 행동도 순수한 소녀 같다. 몸과 마음이 10년은 차이 나는 것만 같은 이 여주인공. 그럴만한 사정이 있다.혼수상태에서 13년 만에 깨어나 몸은 30세이지만 그 속은 17세 소녀 감성 그대로인 여주인공의 이야기를 다룬 ... ...
- Part 2. 개성만점 수상자들수학동아 l2018년 09호
- 건넸다. Q 응용수학자 사이에서 가우스상을 받는 건 어떤 의미인가요? 사람들은 ‘순수수학’만 수학으로 생각하는 경향이 있어요. 세계수학자대회도 이런 분위기를 바꾸기 위해 가우스상을 만들어 응용수학 분야에 상을 주지요. 네반리나상도 비슷하고요. 어쨌든 상을 받은 건 기분 좋은 ... ...
- Part 2. ICM 관전 포인트 넷수학동아 l2018년 08호
- 사려는 사람이 있는데, 절대 그러지 말라고 말해주고 싶습니다.2. 돈을 얼마나 버나요?‘순수수학 하면 굶어 죽기 딱 좋다’고 하는데, 특별히 대단한 수학자가 아니더라도 다른 분야와 비교해 궁핍하진 않습니다. 기업가처럼 많이 받는 건 아니지만, 그렇다고 적게 받지도 않지요. 구체적인 액수가 ... ...
- [통합과학 완벽 정리 8] 인류의 역사를 바꾼 화학반응과학동아 l2018년 08호
- 제련 과정이 필요하다. 인류는 제련 기술을 발달시켜 철을 비롯한 다양한 금속을 순수한 상태로 사용할 수 있게 됐다.그런데 지구와 인류의 역사에 큰 변화를 일으킨 위의 세 가지 화학반응에는 모두 산소가 관여한다는 공통점이 있다. 이처럼 산소가 관여하는 화학반응을 ‘산화 환원’이라고 한다. ... ...
- [Culture] 영화 속 그 기술, 어디까지 왔나과학동아 l2018년 08호
- 핵분열을 일으키는 반면, 내폭형은 핵분열성 물질을 빠르게 압축시켜 분열을 일으킨다. 순수 플루토늄은 핵분열이 자발적으로 잘 일어나기 때문에 내폭형으로 제작하는 것만 가능하다. 한편 영화에서는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앱)을 이용해 다양한 첩보활동을 펼치는 장면이 나온다. 핵무기의 ... ...
- [Interview] KWMS-엔씨문화재단 젊은여성수학자상수학동아 l2018년 08호
- 뛰어난 만 40세 이하의 한국 젊은 여성수학자를 지원하기 위해 만든 상이지요. 올해에는 순수수학 분야에서 이영애 경북대학교 수학교육과 교수, 응용수학 분야에서 김미란 미국 텍사스대학교 교수가 수상했습니다. 이 두 분을 수학동아가 만나봤습니다. Q. 두 교수님 모두 수상을 축하드립니다. ... ...
- Par 1. 필즈상, 무엇이든 다~ 물어보세요수학동아 l2018년 08호
- 년 슈바르츠가 발표한 새로운 이론에 푹 빠져있었다는 점이었다.보어는 슈바르츠가 장차 순수수학과 응용수학을 이어줄 카리스마 있는 수학계의 지도자가 될 거라고 믿었다. 그래서 아직 유명하지 않았던 슈바르츠에게 필즈상을 줘 힘을 실어줄 작정이었다. “지금 당장 가장 뛰어난 사람을 뽑는 ... ...
- [과학동아 X KRISS] 아보가드로 상수로 더 명확해진 몰(Mol)과학동아 l2018년 07호
- 235를 농축하는 고도의 원심분리 기술을 갖고 있었다. 이것으로 실리콘 동위원소 중 순수하게 실리콘-28만을 추출하는 데 기여했다. [Interview] “화학·바이오분야 측정 불확도 줄일 것”_이경석 “몰을 아보가드로 상수를 사용해 다시 정의하더라도 측정값들은 크게 달라지지 않을 겁니다. 하지만 ... ...
- [ICHEP2018] 한 단계 도약할 韓 입자물리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이루게 된다. 김 단장은 “지하실험연구단뿐만 아니라 액시온 및 극한상호작용연구단, 순수물리 이론연구단 등이 생기면서 국내의 실험 규모나 연구자들의 ‘맨파워’가 비약적으로 커졌다”며 “새로운 입자, 새로운 현상을 발견하는 데 앞으로도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우주·가속기 ... ...
이전1516171819202122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