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순수"(으)로 총 1,309건 검색되었습니다.
- [도전!섭섭박사 실험실] 헉헉, 목말라... 깨끗한 물을 만들어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6호
- 때문에 응결되면서 물방울로 맺혀 컵으로 떨어지지요. 컵에 고인 물은 색도, 맛도 없는 순수한 물이랍니다. 아프리카 남부, 나미비아의 대서양 연안에는 ‘나미브 사막’이 있어요. 해안을 접하고 있지만 비는 거의 내리지 않고, 다만 안개가 낄 뿐이죠. 그런데 이 안개에서 물을 모으는 곤충이 ... ...
- 지하 1100m 땅속 실험실 최초 공개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아이디어다.doi:10.1126/science.aav8136 서선희 IBS 지하실험연구단 연구위원은 “그동안 순수 학문으로만 여겨진 중성미자 연구를 핵의 평화적 이용을 위해 사용할 수 있다”며 “만약 실현된다면 북한 과학자들이 함께 참여하는 공동연구 형태가 돼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 ...
- [매스미디어] 수학 잘하는 법수학동아 l2018년 12호
- 네이버 일요 웹툰 ‘수학 잘하는 법’은 미국 클레이 수학연구소가 제시한 7대 난제인, ‘밀레니엄 문제’에 도전하는 두 주인공의 이야기를 그린다. ... 없이 정답은 정답이고 오답은 오답일 뿐이죠. 그런 점에서 수학은 여러 학문 중에서도 순수함이 가장 어울리는 학문이라고 생각해요 ... ...
- [좋은 학교생활기록부 만들기 12] 왜 대학은 독서를 중요하게 생각할까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전체를 관통하는 공부이기도 하다. 입시를 넘어 삶의 풍부함을 위해 필요한 일이지만, 순수하게 입시만 바라봐도 홀대할 일은 아니다. 책을 읽는다고 꼭 명문대에 가는 것은 아니지만, 명문대에 간 학생들은 모두 꾸준히 독서를 한 학생들이다. 올해 과학동아와 이투스가 공동으로 기획해 매달 ... ...
- [서울대 공대| 재학생 인터뷰] ‘최고의 학과’ 만드는 ‘최고의 학생’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어렸을 때부터 화학을 좋아했다. 그래서 자연스럽게 과학고에 진학했고, 공부를 하면서 순수과학보다는 응용과학이 잘 맞을 것 같다고 생각해 화학생물공학부에 지원했다. 표 씨는 과학고 출신이라도 내신 성적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과학고에서는 조기졸업도 내신 성적으로 커트라인을 ... ...
- 우리는 돌고래 추적자들입니다과학동아 l2018년 12호
- 관한 연구가 충분히 이뤄지지 않았다.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지만, 문제는 일반적으로 순수 기초과학은 응용과학에 비해 연구비를 따기 어렵다는 점이다. 1년 중 4분의 3에 이르는 기간을 실험실이 아닌 현장에서 보내야 한다는 점 또한 연구비를 지원받는 데 걸림돌이 된다. 기존의 실험실 위주의 ... ...
- part 3. 최석정의 10차 라틴방진은 ‘아벨 군’?수학동아 l2018년 12호
- 전격 비교! 백자생성순수도 vs 아벨 군 위에 최석정이 쓰고 있는 표가 바로 백자생성순수도에 있는 10차 라틴방진, 오른쪽 아래 아벨이 쓰고 있는 표가 아벨 군을 이루는 의 덧셈표예요. 서로 달라 보이지만, 위 대응 규칙에 따라 바꾸면 같다는 걸 알 수 있습니다. 그런데 아벨 군이 뭐냐고요? 아벨 ... ...
- ‘영원’을 쫓는 수학자, 2018 대한수학회 학술상 최영주 포스텍 교수수학동아 l2018년 12호
- 주목받을 수 있으면 좋겠어요. Q.어떤 연구를 하고 계시는지 소개 부탁드립니다. 저는 순수수학의 대표 분야인 정수론 연구자예요. 카를 프리드리히 가우스는 ‘과학의 여왕은 수학이고, 수학의 여왕은 정수론’이라고 했어요. 왜 여왕일까요? 대왕도 아니고 여왕. 제가 생각하기에 여왕이라고 하면 ... ...
- NASA 60주년, 달부터 화성까지과학동아 l2018년 11호
- 과정을 ISS에서 연구하고 있다. 이 교수는 “우주는 무중력 상태라 대류 현상이 없어 순수하게 콜로이드 입자의 결합 과정을 볼 수 있다”며 “지구에서 만든 실험 장치를 ISS로 옮겨서 우주비행사가 실험을 진행하는 동시에 지구에서도 원격으로 실험 장치를 조정할 수 있다”고 말했다. 2020년대에는 ... ...
- 곡식의 왕 '밀' 유전자 지도 완성과학동아 l2018년 11호
- FREE’ 밀가루 빵 나올까 품종 개량의 가장 큰 목표는 뭐니 뭐니 해도 맛 아닐까. 순수한 빵의 맛은 밀의 종자 저장 단백질인 글루텐이 결정한다. 밀알에는 글리아딘과 글루테닌이라는 크게 두 종류의 단백질이 있는데, 밀가루에 물을 넣고 반죽하면 이 두 단백질이 섞이면서 그물 모양의 단백질 ... ...
이전14151617181920212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