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논문"(으)로 총 3,673건 검색되었습니다.
- [논문탐독] 미래 우주로 향하는 로켓 추진체, Alice과학동아 l2023년 06호
- 따지면 미래의 우주 추진제로 장점이 충분한 발상임을 확인했습니다. 그런데 논문이 나온 지 시간이 꽤 지났음에도 후속 연구는 아직입니다. 나노미터 크기의 알루미늄이 반응성이 너무 좋기 때문입니다. 물과 만났을 때 특별한 점화 에너지를 가하지 않아도 자발적으로 반응을 일으킬 위험성이 ... ...
- 인쇄한 대체육 직접 먹어봤습니다! 3D 푸드 프린팅과학동아 l2023년 06호
- 개발되던 초창기, 초콜릿으로 과자를 출력했던 립슨 교수는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논문을 발표하며 최근 이 같이 선언했습니다. 눈에 보이는 신선한 재료로 만든 음식이 지금은 가장 좋은 식품으로 여겨지지만 앞으로는 달라질 수 있다는 얘깁니다. 교수팀은 푸드 프린터가 영양분과 열량을 ... ...
- [지웅배의 '최애 은하'] 달 천문대에서 은하를 보는 날이 온다면과학동아 l2023년 06호
- 빅데이터 사이언스로 진화했습니다. 저 역시 논문 한 편에서 은하 1만 여 개를, 또 다른 논문에서는 은하 3만여 개를 분석했습니다. Q. 은하 연구를 하면서 동시에 대중과도 활발하게 소통하고 계신데 계기가 무엇인가요? 제가 천문학자가 돼야겠다고 결심한 계기는 어렸을 때 본 만화영화 ... ...
- [5년 후, 과학은] 효율 좋고 유연한, 에너지의 미래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세계 논문을 수집한 네덜란드 라이덴대 데이터에 따르면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관련 논문 수는 최근 급증하고 있습니다.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가 가진 잠재력과 한계가 무엇인지, 연구 최전선의 전문가에게 직접 들어봤습니다. 과학에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페로브스카이트’라는 ... ...
- 게임 회사에서 언어 AI 연구하는 이유는?수학동아 l2023년 06호
- 또 할 일을 나누죠. 어떤 팀원에게는 필요한 부분을 다시 테스트시키고, 다른 이에게는 논문을 쓰라고 하죠. 크래프톤의 AI 연구원이 되고 싶은 학생들에게 해주고 싶은 조언이 있나요? 기쁨 게임 회사에 들어오려면 게임을 좋아해야 해요. 게임에 대한 이해도가 없다면 그저 시키는 일만 하다가 ... ...
- [과학사 극장] 석주명은 나비 ‘박사'가 아니다?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안에서 나타날 수 있는 변이에 포함된다는 것을 보여줬다. 석주명은 이 분석을 120여 편의 논문으로 정리해 일본과 조선의 전문 학술지에 발표했고, 기존 연구에서 새로 제안한 학명 가운데 무려 844개가 동종이명(同種異名・synonym)으로 밝혀져 학계에서 퇴출됐다. 일본 제국대학 교수 등 저명한 ... ...
- ‘접시뇌’에게 컴퓨터 게임을 시켰더니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장기 기억이 가능해진다면 OI의 혁신이 일어날 것”이라 전망했다. 하퉁 교수는 논문에서 OI가 고도로 발달한다면 ‘바이오컴퓨터가 의식을 가지면 어떡할까’와 같은 윤리적 문제가 추후 나타날 수도 있다고 예측했다. 뇌세포 바이오컴퓨터가 일상에 들어오려면 얼마나 기다려야 할까. 코티컬 ... ...
- 약 한 알 먹으면 집중력이 쑥쑥? ‘공부 잘 하는 약’의 진실과학동아 l2023년 05호
- 갈리는데요. 미국 예일대 의대와 코네티컷대 의대 공동연구팀이 2014년 발표한 리뷰 논문에 따르면 ADHD가 없는 12~25세 사이의 학생들에게 ADHD 치료제를 투여한 연구 14건을 분석한 결과, 메틸페니데이트는 처음 보는 과제나 주의력을 기반으로 한 과제의 수행능력을 높임과 동시에 복잡한 과제를 ... ...
- [이세인의 '미지의 유인원] 호기심에는 나이도, 종도 없다과학동아 l2023년 05호
- 마주했을 때 보이는 행동 반응을 바탕으로 개체 수준의 호기심 지표를 도출해 2022년 논문으로 발표했다. 관찰 결과 보르네오 오랑우탄, 수마트라 오랑우탄, 침팬지, 보노보의 순으로 호기심 지표가 높았다. 무리 생활을 하는 침팬지와 보노보는 호기심 수치가 상대적으로 낮고, 주로 홀로 생활하는 ... ...
- [과동키즈] “바로 지금 과학자의 길로 떠나세요”과학동아 l2023년 05호
- 생명과학부에 입학하고 얼마 되지 않아 생각지 못한 뉴스가 쏟아졌다. 연구 윤리 위반, 논문 데이터 조작, 한때 대중의 우상이었던 과학자의 교수직 파면까지. 내가 꿈꾼 나 자신과 미래까지 사라진 기분이었다. 어렵게 들어간 대학의 모든 수업에 흥미를 잃고 방황하기 시작했다. 하지만 세상에 ... ...
이전1516171819202122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