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학과"(으)로 총 3,084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4. “나는 백두산 화산학자다”과학동아 l201612
- 화산 연구기관이 없는 나라도 OECD 국가 중에서 우리뿐일 겁니다.” 손영관 경상대 지질학과 교수는 기관과 인력이 턱없이 부족한 현실을 강하게 비판했다.실제로 국내 지질학자 중에서 정확히 ‘화산학(Volcanism)’을 전공한 학자는 거의 없다. 화산학으로 학위를 해도 취직할 데가 많지 않기 ... ...
- [Tech & Fun] 범인의 마음을 해킹하다 ‘멘탈리스트’와 ‘라이 투 미’과학동아 l201612
- 만드는 근육을 분석해 부호화한 ‘얼굴행동코딩시스템(FACS)’을 학술지 ‘환경심리학과 비언어적행동’에 발표했습니다. 그는 가장 보편적인 감정 여섯 가지를 선별했습니다. 화, 혐오, 공포, 즐거움, 슬픔, 놀람입니다. 어떤 근육이 얼만큼 움직이는지를 통계적으로 분석한 결과죠. FACS는 아직까지 ... ...
- [Career] “ 땅 속, 바다 아래 에너지 자원 있는 곳 어디든 가죠”과학동아 l201612
- 개발해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활동무대가 넓은 편이죠.김수연 그렇다면 에너지자원공학과를 졸업한 뒤 진로는 어떤가요?송재준 석유·가스·광물 자원공사와 광물자원개발 기업으로 진출하기도 합니다. 석·박사 과정에 진학하는 친구들도 많고요. 2014~2015년에 48명이 졸업했는데, 그 중 80%는 ... ...
- [수학 뉴스] 갈대 같은 내 마음 수학이 더 잘 안다수학동아 l201612
- 모습을 수학 모형으로 만들었습니다.노아 프리드킨 미국 캘리포니아대 산타바버라 사회학과 교수는 9년 전 미국이 이라크를 침공하는 동안 미국인의 믿음이 어떻게 변했는지 수학으로 증명했습니다. 처음에 미국인은 이라크가 대량살상무기를 갖고 있다고 믿었어요.하지만 1년이 넘는 전쟁에도 ... ...
- Part 2. 수학동아, 조직 S의 비밀을 파헤치다!수학동아 l201612
- 어린이들은 만 5세부터 산타의 존재를 의심합니다. 재클린 울리 미국 텍사스대 심리학과 교수의 논문에 따르면 만 5세 어린이의 83%, 7세 어린이의 63%, 9세 어린이의 33%만이 산타가 있다고 믿습니다. 이를 토대로 조직 S가 선물을 전해야 할 우리나라의 어어린이는 대략 몇 명일지 계산해 봤습니다 ... ...
- [지식] 게이머가 풀어야 할 대난제 랜덤박스수학동아 l201612
- 샀지만, 랜덤박스 시스템에서는 불가능하다.이에 대해 이정엽 순천향대 한국문화콘텐츠학과 교수는 “굉장히 많은 수의 뽑기를 해야만 자신이 원하는것이 나온다”며, “랜덤박스는 게이머가 목적을 달성하는 것을 늦춘다”고 말했다. 결국 원하는 것을 얻기 위해 돈을 많이 써야 하는 구조다 ... ...
- [소프트웨어] 개구리처럼 폴짝폴짝 플래피 버드수학동아 l201612
- 분명 새인데, 가만히 두면 날갯짓을 하지 않아 바닥으로 곤두박질쳐요. 날갯짓을 해서 날 수 있도록 화면을 터치해 줘야 하지요. 그러면 개구리처럼 폴짝폴짝 뛰면서 하늘을 날아요. 화면을 여러 번 누를수록 새가 높이 날아오르기 때문에 화면을 적당히 눌러 위아래 있는 장애물을 피해야 해요. 장 ... ...
- [과학뉴스] 곤충, 날개 위 소용돌이 유지해 ‘슝~’과학동아 l201612
- 비결이 날개 주위의 복잡한 소용돌이라는 사실이 밝혀졌다. 장조원 한국항공대 항공운항학과 교수팀은 제자리비행에 능숙한 박각시나방을 본 따 크기가 5배인 ‘날갯짓 로봇’을 제작했다. 그리고는 물을 채운 수조에 로봇을 넣고 주변 유체의 움직임을 분석했다.연구팀은 곤충 로봇이 날개를 ... ...
- [과학뉴스] 사라지는 생물을 디지털로 기억하는 법과학동아 l201612
- 하지만 일부 종은 인간에 의해 멸종 위기에 처해 있다. 미국 매사추세츠주립대 생물학과 덩컨 얼시크 교수팀은 모든 생물 종을 디지털 기경록으로 남기기 위한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연구팀은 카메라 30개를 이용해 3D로 물체를 스캔할 수 있는 장비, ‘비스트캠’을 이용한다. 비스트캠은 ... ...
- [Tech & Fun] 공감만으론 세상을 바꿀 수 없다과학동아 l201612
- 생각해야 한다는 연구 결과가 실렸다(DOI: 10.1037/emo0000228). 연구를 이끈 미국 예일대 심리학과 매튜 조던 박사와 폴 블룸 교수팀은 “많은 사람들이 공감과 타인을 위하는 일이 같다고 생각하지만, 사실은 큰 관련이 없다”고 설명했다. 그리고 “오히려 이런 능력은 감정이나 행동의 전염, 위험한 ... ...
이전1516171819202122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