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직망
계통
제도
기구
조직
시스팀
system
d라이브러리
"
시스템
"(으)로 총 3,514건 검색되었습니다.
[News & Issue] 떠다니는 해양과학연구소 이사부호
과학동아
l
201611
실시간 관측할 수 있는 관측 장비가 실려 있다. 또 이것을 육상으로 실시간 전송하는
시스템
도 갖췄다. 이사부호는 앞으로 태풍을 초근접 거리에서 조사하면서 슈퍼태풍의 등급과 상륙지점을 정밀하게 예측해낼 계획이다. 찾아라 심해 생물자원인도양에는 심해 열수생물과 같은 생물자원이 ... ...
[Knowledge] ‘DHL’ 이노베이션 센터에 가다
과학동아
l
201611
접속 코드를 입력해 원할 때 짐을 꺼낼 수 있었다. DHL에서 최초로 도입한 자동 하역
시스템
이다.비킹 부사장은 “드론에 인공지능(AI), 스마트 기기, 무인자동차 기술 등이 결합하면 더 큰 혁신이 가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실제로 DHL 이노베이션센터에는 구글글래스 등 스마트 안경으로 증강현실 ... ...
[Career] “세계의 바다를 가를 무인선박을 개발합니다”
과학동아
l
201611
지금도 일부 학생들이 전남에 있는 호수에서 시험운행 중이죠.김다민 선박의 무인
시스템
이외에 또 어떤 연구를 하고 계신가요?김낙완 최근에 초공동어뢰를 연구하고 있습니다. 공동은 공기방울을 의미하는데요. 말 그대로 어뢰를 공기방울로 감싸 물과의 마찰을 줄이는 연구입니다. 물속에서 ... ...
[과학뉴스] 사람의 뇌 흉내 낸 최초의 기계장치!
과학동아
l
201611
연구팀이 인간의 뇌를 모방해 명령을 내릴 수 있는 나노미터(100만 분의 1mm)크기의 인공
시스템
을 만드는 데 성공했다.영국 사우스햄튼대 전자컴퓨터과학과 알렉스 서브 교수팀은 뇌의 복잡하고 정교한 네트워크를 흉내 내는 데 금속산화물 ‘멤리스터’를 이용했다. 멤리스터는 ‘메모리(memory)’와 ... ...
[News & Issue] 우주의 비밀에 가장 가까이 선 사람
과학동아
l
201611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여성 과학자들이 공정한 경쟁을 할 수 있도록 보육
시스템
을 갖추거나 근무 시간을 유연하게 운영하는 등 실질적인 배려가 밑바탕이 돼야 한다고도 말했다. 힉스 입자 이야기를 좀 더 해 보자. 힉스 입자를 예측한 두 명의 물리학자가 노벨 물리학상을 탔는데, ... ...
[Knowledge] 서열 사라진 사회에서 태어난 지상 낙원
과학동아
l
201611
일부 수컷은 종종 본능적으로 폭력적인 과시행동을 한다. 이를 효과적으로 막는
시스템
이 바로 암컷 무리다. 예를 들어 어떤 수컷이 암컷에게 과시행동을 하면 모든 암컷들이 나서서 이를 막는다. 암컷들은 체력적 열세를 극복하고자 그들만의 연대를 강화시켜 왔는데, 아마도 이것이 새로운 사회 ... ...
[Career] 뇌와 컴퓨터가 만나면 어떤 향기가 날까
과학동아
l
201611
추가하면 더욱 정확한 진단을 내릴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팀은 후각자극
시스템
과 내시경 기술을 출자해 ‘메가펨’이라는 기술출자기업을 설립하고, 연구소기업으로 등록한 뒤 상용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또 후각융합연구센터를 설립해 후각신경계를 이용한 융합 기술을 연구하고 ... ...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세상에서 가장 행복한 나라 덴마크
어린이과학동아
l
201611
추구하는 정치 체계를 만들어 나갑니다. 이 정신을 바탕으로 덴마크는 세계 최고의 복지
시스템
을 가진 나라로 성장합니다. 이러한 덴마크의 복지 체계가 세계에서 가장 행복한 나라 1위에 오르는 데 큰 도움이 된 것입니다.덴마크 국민들은 소득의 절반인 48%를 세금으로 낸다고 합니다. 놀랍죠? 이는 ... ...
Part 2. 친구가 사라졌다면?
수학동아
l
201611
빅데이터를 활용한 다양한 재난 대응
시스템
을 개발해 사용하고 있어요. 어떤
시스템
이 재난 복구를 도와주고 있는지 구체적으로 살펴봐요.재난 피해 지역은 다리가 끊어지고, 도로가 망가져 고립된 경우가 많아요. 평소대로라면 1시간이면 갈 거리를 서너 시간에 걸쳐 가야 하지요. 일본 기업 ... ...
Part 3. 세포 속 청소부의 정체를 밝히다
과학동아
l
201611
당시 아무도 관심을 가지지 않고 큰 의미를 두지 않았던 세포 내 또 다른 쓰레기 처리
시스템
연구에 뛰어들어 작용 과정과 관련 유전자를 밝히고 후속 연구를 할 수 있게 새로운 분야를 개척한 선구자다. 오토파지의 아버지’라는 별명을 얻은 이유다.*세포의 항상성 - 세포가 조절 반응을 통해 ... ...
이전
15
16
17
18
19
20
21
22
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