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시스템"(으)로 총 3,514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0.0001초 차이까지 알아내는 비결은?어린이과학동아 l201616
- 분석할 수 있지요.또 기존에는 1초에 2000장의 사진을 촬영할 수 있었던 미세분할 비디오 시스템을 1초에 1만 장이나 찍을 수 있게 만들었어요. 사람의 눈은 1초에 24장의 이미지가 연속되면 자연스럽게 움직이는 것으로 인식하는데, 그보다 400배 이상 정교하게 볼 수 있는 거예요. 그 결과 0.0001초의 ... ...
- 벌레의 습격어린이과학동아 l201613
- 생태계가 조금만 바뀌어도 곤충은 그 수가 급격하게 늘어날 수 있어요.한남대학교 생명시스템과학부 변봉규 교수는 “일반적으로 안정적인 생태계 안에서는 특정한 종의 곤충이 폭발적으로 생기는 일은 거의 일어나지 않는다”면서 “그래서 최근 곤충의 수가 급격하게 늘어난 점은 무척 ... ...
- Part 2. 우주를 향해 더 멀리~!어린이과학동아 l201612
- 2~3년 동안 활동하며 목성과 토성을 관찰하는 게 목표였어요.그런데 보이저 1호의 원자력 시스템이 예상보다 훨씬 오래 작동하면서 원래 목표였던 토성을 지나 2014년엔 태양계를 벗어났어요. 현재 보이저 1호는 태양과 무려 201억km나 떨어진 거리에서 계속 이동하고 있답니다. 태양에서 가장 가까운 ... ...
- Part 3. 규제는 철저하게, 확인은 꼼꼼하게!어린이과학동아 l201612
- 중 위해도가 높은 8종을 살생물제로 다시 분류해서 관리하도록 했어요. 또 화학물질 정보시스템(ncis.nier.go.kr/ncis)을 이용해 공산품이나 살생물제에 사용되는 화학물질에 대해 누구든 정보를 볼 수 있게 했답니다.이번 일은 부실한 안전관리와 기업의 잘못된 욕심이 낳은 가슴 아픈 비극이에요. 두 번 ... ...
- Intro. 미래의 모습 위상수학에 묻다수학동아 l201612
- 이렇게 생긴 다리를 본 적이 있나요? 강으로 가봅시다. 많은 다리가 있지만, 이처럼 구멍이 숭숭 뚫린 다리는 없을 겁니다. 그런데 미래에는 모든 다리가 이런 모양일지도 모르겠습니다. 이는 2016 노벨 물리학상의 주역으로 ‘핫’한 위상수학과 관련이 있다고 하는데요. 이상한 모양으로 다리를 만 ... ...
- Part 1. 위상수학, 도시를 최적화하다수학동아 l201612
- 기존의 최적화 기법은 설계 과정에서 위상을 바꿀 수 없다. 만들려는 물체의 구멍을 처음에 1개로 정했다면, 최종 결과물도 구멍이 1개라는 뜻이다. 그런데 구멍의 개수를 늘리면, 들어가는 재료는 줄이면서 튼튼하게 만들 수 있는 경우가 있다. 즉, 설계 도중에 위상을 바꾸는 게 가능하게 되면 더 ... ...
- Part 3. 3D프린터로 날개 단 위상최적화수학동아 l201612
- 지금까지 살펴본 바로는 위상최적화가 미래를 크게 바꿔놓을 것 같다. 하지만 문제가 있다. 위상최적화로 설계한 물체는 복잡하고 불규칙적인 모양인 경우가 많다. 그래서 드릴로 재료를 깎아 물체를 만들어 내는 기존의 ‘절삭 가공’ 기술로는 만드는 게 불가능하거나, 비용이 아주 많이 난다면 ... ...
- [과학뉴스] 이제 소리도 홀로그램으로 즐기세요과학동아 l201612
- 스테레오 시스템이 없어도 음향을 풍성하게 즐길 수 있을까. 최근 소리를 원하는 곳으로 모으거나 널리 퍼뜨릴 수 있는 ‘3차원 음향 홀로그램’ 기술이 개발됐다. 미국 듀크대 연구팀은 새롭게 구성한 음향 메타물질로 하나의 지점에서 발생한 소리를 퍼뜨리거나 원하는 곳으로 모을 수 있는 방법을 ... ...
- Part 3. 20억t 천지 물이 마그마와 만나면?과학동아 l201612
- 보이기 때문이다. 즉 암반을 진동시키지 않고 파괴한다는 뜻이다.홍태경 연세대 지구시스템과학과 교수 역시 규모 7.0 이상의 지진이 발생하면 백두산 아래 마그마 방에 압력밥솥 내부와 유사한 120kPa의 압력이 가해져 화산이 폭발할 가능성이 높아진다고 ‘사이언티픽 리포트’ 2월 17일자에 발표한 ... ...
- [Career] 나노물질과 인체의 ‘궁합’ 봅니다과학동아 l201612
- 이들 재료가 인체에 무해한지 확인하는 연구는 그리 많지 않다. 인수일 DGIST 에너지시스템공학 전공 교수와 김은주 나노에너지융합연구부 책임연구원, 김정희 연구원팀의 공동연구는 이런 문제의식에서 시작됐다.“인 교수님과는 다른 연구를 위한 미팅에서 처음 만났어요. 그 자리에서 ... ...
이전1314151617181920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