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병균
병원균
균류
균
박테리아
바이러스
병원체
d라이브러리
"
세균
"(으)로 총 913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6. 엽기적이라 더러워!
과학동아
l
201203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세상에서 가장 더러운 연구Part1. 이 걸 먹는다고?Part2.
세균
을 찾아서Part3. 별 걸 다 맡아!Part4. 사체는 내 사랑Part5. 원초적인 더러움, 똥Part6. 엽기적이라 더러워 ... ...
살아 있는 화석으로 광합성의 기원 찾다
과학동아
l
201203
물속에만 살았던 생물이 육지로 올라왔다. 과학자들은 진핵생물(시아노박테리아와
세균
을 제외한 생물)이 시아노박테리아를 흡수하면서 이들도 광합성을 하게 됐다고 설명하지만, 지금까지 구체적인 증거를 찾지 못했다. 그러나 최근 진핵생물인 회조류가 시아노박테리아와 같은 유전자를 ... ...
유리로 다시 태어난 바이러스
어린이과학동아
l
201202
이용해 번식한답니다.
세균
의 몸 속에 DNA를 넣은 뒤 복제된 바이러스가 밖으로 나오면서
세균
을 죽이게 돼요. 인류 최대의 적인간면역결핍 바이러스(HIV)HIV는 후천성면역결핍증(AIDS)을 일으키는 바이러스로, 매년 약 200만 명의 목숨을 앗아가고 있어요. HIV는 우리 몸에서 병원균을 제거하는 T ... ...
알프스 주인의 깨끗한 물 지키기
과학동아
l
201202
석영, 또는 모래가 깔린 여과장치에 천천히 거른다. 호수의 물은 오존을 넣어 유해
세균
과 바이러스, 플랑크톤을 없애고 활성탄 여과장치에 걸러 기름과 세척제 찌꺼기를 걸러낸다.평형여과장치에서는 물속으로 공기방울이 퐁퐁 솟아나 산소가 물을 자연스럽게 정화한다. 그런데 특별한 점은 염소를 ... ...
유방암 백신 여성의 구세주 될까
과학동아
l
201202
들어 보자. 이 단백질을 만드는 유전자를 플라스미드에 넣고
세균
에서 배양한다. 배양한
세균
에서 얻은 단백질을 펩타이드 형태로 만들어 몸 속에 넣는 것이다. 체내에 들어간 펩타이드는 항원제시세포(APC)에 의해 주조직 적합성 복합체(MHC) 위에 올려진다. 이를 T세포 수용체가 인지하고 ... ...
햇볕에 널기만 해도 깨끗해지는 옷
과학동아
l
201201
‘어플라이드머티리얼’지에 최근 발표한 섬유 소재는 햇볕에 널어 두면 스스로
세균
이나 얼룩을 없애고 깨끗해진다.연구진이 발표한 새로운 섬유는 자외선만이 아니라 가시광선에도 반응한다. 기존에 개발된 ‘자가 세척 섬유’는 이산화티타늄을 이용하며 태양광 중 극히 일부분인 자외선만을 ... ...
인공눈, 누가 만들까?
과학동아
l
201201
연구 결과는 1976년 ‘네이처’에 실렸다.슈도모나스 시링가이의 아종 중 독성이 없는
세균
의 단백질을 동결건조해 인공눈 첨가제를 만들었다. 이 단백질 첨가제를 넣으면 인공눈 생산량이 50% 정도 늘어난다 ... ...
며느리도 모르는 장맛의 비밀
과학동아
l
201201
공기가 없이도 자랄 수 있는
세균
이 자랍니다. 강원도메주는 쪼갰을 때 곰팡이와
세균
이 3개 층으로 나뉜 것이 대표적인 특징입니다.”그렇다면 전라도나 제주도처럼 비교적 따뜻한 곳은 강원도와 정반대 특징을 보이겠네요?“전라도는 따뜻한 지역이기 때문에 메주를 처마에 매달아 놨을 때 ... ...
행복 만드는 빛을 쏘다
과학동아
l
201201
실시간으로
세균
의 수를 셀 수 있는 광센서를 만들었다. 이를 이용하면 더 이상 사람이
세균
의 수를 하나씩 세지 않아도 된다. 실험오차를 줄일 수도 있다.광센서가 실험실을 넘어 본격적으로 상용화되면 더욱 진가를 발휘할 것으로 보인다. 식당이나 급식시설에 광센서를 설치하면 식재료를 다듬는 ... ...
황당맨의 취재수첩
과학동아
l
201201
수많은 사람의 목숨이 위험해질 수 있다.이런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병을 일으키는
세균
, 바이러스의 DNA나 RNA를 검출하는 기술이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이번 호에서 황당맨은 DNA를 이용해 병원체를 빨리 확인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한 김봉수 KAIST 화학과 교수를 만났다.김 교수팀은 ‘표면 증강 ... ...
이전
15
16
17
18
19
20
21
22
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