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물리광학
광학
물리학
뉴스
"
물리
"(으)로 총 5,107건 검색되었습니다.
화산 연구 선진국 이탈리아와 백두산 분화 연구 함께 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09
등 활발한 논의가 이뤄졌다고 밝혔다. 먼저 한국지질자원연구원과 이탈리아 국립지구
물리
화산연구소(INGV)는 백두산 분화와 같은 재난에 대비하는 화산연구 등 협력방안을 논의했다. 이탈리아는 세계 주요 활화산 보유국으로 INGV는 활화산 연구와 관련된 풍부한 현장 경험과 연구 역량을 ... ...
美CDC "백신 접종자 마스크 벗고 감염위험 낮은 미접종자 만나도 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09
다른 백신 접종자를 만나는 게 가능하다고 권고했다. 또 백신 접종자는 마스크 착용이나
물리
적 거리두기 없이도 백신 미접종자도 만날 수 있다고 권고했다. 다만 백신 미접종자가 코로나19 감염 위험이 적은 단일 가구여야 하며 실내에서 만나야 한다는 조건이 달렸다. 백신 접종자는 증상이 없는 ... ...
아레시보 전파망원경 피해 수습에만 570억원…재건 여부 불투명
동아사이언스
l
2021.03.09
푸에르토리코 아르시보 남쪽에 위치한 아레시보 전파망원경이 붕괴되기 전 모습. 센트럴플로리다대 제공 지난해 12월 1일 붕괴된 아레시보 전파망원경의 피해 수습 비용 ... 갖고 빠른 속도로 회전하는 중성자별인 쌍성 펄서를 발견했고 이에 관한 연구로 1993년 노벨
물리
학상을 수상했다 ... ...
약 130억 광년 밖 초기 우주서 제트 내뿜는 퀘이사 관측
연합뉴스
l
2021.03.09
가장 멀리서 관측된 "전파가 밝은"(radio-loud) 퀘이사에 관한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천체
물리
학 저널'(The Astrophysical Journal)에 발표했다. 퀘이사(Quasar)는 초대질량 블랙홀이 주변 물질을 빨아들이며 밝은 빛을 내는 '활동은하핵'(AGN)을 가진 은하를 가리킨다. 연구팀이 관측한 'P172+18'은 퀘이사 ... ...
혜성 '카탈리나' 먼지 꼬리서도 '생명체 원소' 탄소 확인
연합뉴스
l
2021.03.08
뒷받침해주는 것으로 제시됐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에 따르면 미네소타대학 천체
물리
학연구소의 찰스 우드워드 교수가 이끄는 연구팀은 혜성 카탈리나의 먼지 꼬리에서 풍부한 탄소를 발견한 결과를 학술지 '행성과학저널'(Planetary Science Journal)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NASA와 ... ...
타임머신으로 시간 거스르듯, 원자 ‘초흡수’ 현상 첫 관측
동아사이언스
l
2021.03.07
‘초흡수(superabsorption)’ 현상을 처음으로 관측하는 데 성공했다. 안경원 서울대
물리
천문학부 교수, 양대호 삼성전자 종합기술원 연구원 등 연구팀은 시간을 되돌리듯 빛을 빠르게 흡수하는 초흡수 현상을 실험으로 유도하는 데 성공했다고 7일 밝혔다. 1954년 빛의 방출 속도가 원자 수의 제곱에 ... ...
[인간 행동의 진화]집단의 믿음이 아이스크림 맛을 규정한다
2021.03.07
무한한지는 확신하지 못하겠다.” 《휴먼 네크워크》를 쓴 매슈 잭슨 교수는 천재
물리
학자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의 명언을 들어 집단 지성의 위험성을 경고했다. 아인슈타인 혹은 아인슈타인의 이름을 빌린 가짜 명언이다. 명언의 진위가 불분명한 사실 자체가 이 명언이 가지는 진짜 교훈인지도 ... ...
'용암의 강' 흐르는 슈퍼지구로 암석형 행성 대기 분석 길 연다
연합뉴스
l
2021.03.05
여부까지 확인할 수 있는 수준에는 이르지 못한 상태다. 스페인 '카나리아제도 천체
물리
학 연구소'(IAC)와 호주 '뉴사우스웨일스대학'(UNSW) 등에 따르면 독일 '막스 플랑크 천문학연구소'의 트리폰 트리포노프 박사가 이끄는 국제연구팀은 8.1 파섹(1파섹=3.26광년) 떨어진 처녀자리에서 관측된 '글리제 ... ...
[사이언스N사피엔스] 프로야구에서 4할 타자는 왜 사라졌을까
2021.03.05
《빛의 속도로 이해하는 상대성이론》을 썼고 《최종이론의 꿈》, 《블랙홀 전쟁》, 《
물리
의 정석》 을 옮겼다. 한국일보에 《이종필의 제5원소》를 연재하고 있다 ... ...
반도체 한계·난치 췌장암 극복...과학난제 해결에 도전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05
0.5nm까지 줄일 수 있는 셈이다. 이 교수는 “원자 사이의 상호작용을 없앨 수 있다는
물리
학 이론을 시뮬레이션으로 처음 증명했다”며 “반도체 소재의 원자를 제어하고 시연해 원자 1개가 개별적으로 정보를 담아내는 반도체를 만드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다. ● 생존율 10% 미만 난치 췌장암 ... ...
이전
195
196
197
198
199
200
201
202
20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