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연구소"(으)로 총 6,837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첫 번째 작전. 지구를 지킬 방위대를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4호
- NASA에 진짜 ‘지구방위대’가 있다?!2016년 1월, 미항공우주국(NASA)은 영화에나 있을 법한 조직을 만들었어요. 이름하여 ‘지구방위합동본부(Planetary Defense Coordinate Office, PDCO)’! 지구를 ‘지구위협천체’로부터 지키기 위해 전세계의 힘을 모으는 조직이에요.지구위협천체란 지구와 충돌할 수 있는 ... ...
- Part 4 네번째 작전. 소행성의 움직임을 감시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4호
- 다양한 망원경이 소행성 뒤를 졸졸~소행성을 막는 가장 좋은 방법은, 소행성을 계속 관측해 지금 어디 있는지 알아내고 크기와 궤도를 계산하는 거예요. 그런데 소행성은 크기가 워낙 작고 이동 속도도 빨라요. 따라서 어두운 천체도 볼 수 있고, 오랜 시간 동안 하늘을 관찰할 수 있는 대형 망원경 ... ...
- Part 3 세번째 작전. 소행성 충돌의 결과를 조심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4호
- 육지에 떨어지면 핵겨울을 넘어 아예 빙하기(아이스 에이지)가 올 수 있다고 경고했어요. 연구소에 따르면, 1km 크기의 소행성은 약 15km 지름의 크레이터를 만들어요. 이때 먼지들이 태양빛의 20%를 막아 지구 평균 온도를 약 8℃ 정도 떨어뜨린다는 거예요. 최악의 경우, 먼지가 약 10년간 대기에 머물며 ... ...
- Part 5 다섯 번째 작전. 충돌하기 전에 소행성을 막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4호
- 부수지 말고 다른 궤도에 양보하세요!지구로 돌진하는 소행성은 우주에서 파괴하는 방법이 가장 좋아 보여요. 하지만 이 방법은 또 다른 위험을 불러와요. 소행성의 파편이 지구 궤도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아무도 알 수 없거든요.그래서 과학자들은 소행성을 그대로 두거나 일부만 망가뜨린 채, 날 ... ...
- 바닷속은 문어와 오징어 세상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4호
- 물을 뒤로 밀어내어 앞으로 나가기도 해요.이탈리아 성안나대학교 바이오로봇공학 연구소의 세실리아 라스키 교수는 이런 문어와 똑같이 움직이는 로봇을 개발했어요. 이 로봇은 문어처럼 팔로 휘감아 물건을 잡고, 여덟 개의 팔을 이용해 바닥을 걸어 다닐 수도 있어요. 또한 관으로 빨아들인 물을 ... ...
- [과학뉴스] 고무로 만든 인공근육?!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3호
- 없고 외부의 충격에 약하다는 단점이 있었답니다.그런데 최근 미국 하버드대학교 위스연구소의 조지 화이트사이드 박사팀이 고무재료로 인공근육을 만들어 발표했어요. 연구팀이 만든 인공근육은 전체가 고무로 만들어져 있으며, 기다랗고 네모난 튜브 모양을 하고 있어요. 여기에 공기호스가 ... ...
- 벌레의 습격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3호
- 더운 여름에 왜 이렇게 오들오들 떨고 있냐고? 올여름, 무시무시한 것들이 습격할 거라는 경고를 받았거든. 드라큘라나 귀신, 좀비 같은 녀석들이냐고? 아니야! 이런 녀석들보다 몇 배는 더 무서운 녀석들이지. 그건 바로…, 벌레야! 작은 벌레가 도대체 뭐가 무섭냐고? 진짜 무서운 게 뭔지 지금부터 ... ...
- [과학뉴스] ‘플라시보 효과’ 뇌과학으로 입증과학동아 l2016년 12호
- 효과를 담당하는 뇌 영역이 최초로 발견됐다. 미국 노스웨스턴 의대와 시카고 재활연구소 공동 연구팀은 퇴행성 무릎 관절염으로 만성 통증을 앓고 있는 환자 17명에게 가짜 약을 처방한 뒤 기능적 자기공명영상(MRI)으로 뇌를 관찰했다.그 결과 절반이 플라시보 효과를 보이며 통증이 크게 줄었다. ... ...
- [과학뉴스] ‘화성의 달’ 속 거대 크레이터는 어떻게 생겨났을까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어떻게 형성됐는지 보여주는 연구 결과가 최근 나왔다.미국 로렌스 리버모어 국립 연구소 연구팀은 소행성이나 혜성이 포보스와 부딪치면서 스티크니 크레이터가 생기는 과정을 고해상도의 3D 시뮬레이션으로 확인했다. 이전에는 해상도가 낮은 2D 시뮬레이션을 사용했기 때문에 효과적으로 ... ...
- Part 3. 20억t 천지 물이 마그마와 만나면?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지질연구소의 활화산연구센터와 길림성지진국의 장백산화산관측소, 북한은 백두산화산연구소를 통해 백두산의 분화 전조현상을 연구하고 있다.우리나라도 화산재해를 사전에 파악하고 피해를 예방하기 위한 연구의 핵심 기술인 ‘화산폭발 감시 및 폭발 잠재성 평가 기술’을 기상청 주도로 ... ...
이전19519619719819920020120220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