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연구소"(으)로 총 6,837건 검색되었습니다.
- [Future] 미래 바꿀 7대 기술은 무엇?과학동아 l2017년 01호
- 감성과 사회성을 표현하는 인간형 소셜로봇이 등장할 것이다. 독일의 프라운호퍼 연구소가 개발하는 ‘케어오봇(Care-o-bot)’과 일본의 소프트뱅크 로보틱스의 ‘페퍼(오른쪽 사진)’는 머리와 눈을 일부 움직이며, 팔과 손을 가지고 동작을 하고, 바퀴로 이동할 수 있는 인간형 로봇이다.이 로봇들은 ... ...
- [Issue] 파리천체물리연구소과학동아 l2017년 01호
- 단적으로 보여줍니다.하지만 연구소 밖을 나서면 파리의 낭만을 흠뻑 느낄수 있습니다. 연구소 바로 옆에 ‘옵세르바투아르 드 파리 가든(Jardin de I’Observatoire de Paris)’이라는 공원과 파리 천문대가 붙어 있거든요. 처음 방문하는 분들은 천문대 1층에 있는 카시니 홀에 꼭 가볼 것을 권합니다.지구와 ... ...
- Intro. 신나게 발을 구르면 비행기가 부웅~! 인간 동력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4호
- 내 친구 루돌프가 쓰러졌어! 며칠 전부터 몸이 으슬으슬 하다더니 결국 심한 독감에 앓아누웠지 뭐야. 그것도 크리스마스 전날 밤에 말이지. 이제 선물이 실린 마차를 끌 수 있는 건 산타인 나뿐이야. 여태껏 루돌프가 끄는 마차만 탔는데, 이젠 오로지 내 힘으로만 크리스마스 선물을 배달해야 해. ... ...
- Part 1. 사람은 얼마나 큰 힘을 낼 수 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4호
- 사람은 동력기관!자동차와 비행기는 동력장치를 이용해 달리는 대표적인 동력기관이에요. 석탄이나 석유 같은 화석연료를 태워 에너지를 얻죠. 최근엔 태양이나 전기, 수소 등을 이용하기도 하는데 에너지원을 써서 움직인다는 사실은 변함이 없어요.그런데 사람도 동력기관이라고 할 수 있어요. ... ...
- Part 3. 페달을 밟아 하늘을 나는 인간동력 항공기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4호
- 대회에 참가한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팀의 인간동력 항공기. 초고속 자전거로 선물을 빠르게 배달하던 중 난관에 부딪쳤어. 자전거로는 넘을 수 없는 아주 큰 산과 넓은 바다를 만난 거야. 다른 대륙으로 가기 위해서는 하늘을 훨훨 날 수 있는 비행기가 필요한데…. 과연 내 힘만으로 날아오를 수 ... ...
- [가상 인터뷰] 박쥐는 치타보다 빠르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4호
- 불어오면 비행속도를 높여 일정한 속도를 유지하지요.미국 테네시대와 독일 막스플랑크연구소 연구원으로 구성된 국제연구팀은 텍사스 프리오동굴에 사는 브라질큰귀박쥐 등에 0.45g 무게의 전파송신기를 부착했어요. 그후, 박쥐가 주로 돌아다니는 밤 시간 동안 비행기를 타고 박쥐를 ... ...
- [현장취재] 2016 지구사랑탐사대 수료식 우리는 모두 시민과학자!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4호
- 올해부터 지구사랑탐사대의 탐사를 돕고 있는 연구원들이에요. 제비를 탐사하는 꾸룩새 연구소 소장 정다미 연구원, 매미 전문가 강재연 연구원, 곤충 탐사꾼 배윤혁 연구원, 민물고기를 사랑하는 성무성, 김정훈 연구원이 함께하고 있답니다.특히 이날은 가슴장화를 입고 그물을 든 성무성 ... ...
- Part 4. 올록볼록 바퀴로 달린다! 우주 로버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4호
- 지구뿐만 아니라 다른 행성의 어린이들에게 선물을 갖다 주는 것도 내 몫이야. 우주에서 돌아다니려면 태양 에너지를 이용해야 하는데…. 으악, 태양 전지판이 찢어져 있네?! 태양 에너지를 못 쓰면 우주에서는 도대체 어떻게 돌아다니지?달 표면 탐사도 내 힘으로! 인간동력 로보발전소가 없는 우 ... ...
- Part 2. 유선형 덮개로 공기저항을 줄인 초고속 자전거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4호
- 사람의 힘으로 치타보다 빠르게 달린다?!지난 9월 미국 네바다주에서 열린 한 경주 대회에서 로켓 모양의 차량이 역대 최고 속도인 시속 144.7km를 기록했어요. 그런데 이 차량에는 휘발유도, 엔진도 없었답니다. 대신 페달과 체인, 그리고 바퀴 2개만 달려 있었죠. 바로 사람의 힘으로만 굴러가는 자전 ... ...
- Part 5. 소외된 90%를 위한 과학 적정기술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4호
- 고장 난 뒤 고치는 것도 쉽지 않았기 때문이죠.이에 대해 강신호 대안에너지기술연구소 소장은 “약소국을 지원할 때 그곳의 문화를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말해요. 그곳의 생활과 맞지 않으면 최첨단 장비라도 고철덩어리로 변한다는 거지요.그래서 등장한 것이 ‘적정기술’이랍니다. ... ...
이전19119219319419519619719819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