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통지
보고서
통고
알림
통보
보도
레포트
d라이브러리
"
보고
"(으)로 총 9,040건 검색되었습니다.
[매스미디어] 어벤져스: 인피니티 워
수학동아
l
2018년 05호
만큼 인피니티 워에 관한 다양한 추측이 나오고 있다. 모든 진실은 영화 속에서 직접
보고
확인해 보자. 또, 인피니티 워 이후 새로운 전개에 대한 실마리가 될 쿠키 영상도 놓치지 말자 ... ...
[DJ CHO의 롤링수톤] 가상현실로 듣는 동요
수학동아
l
2018년 05호
대표적 입니다. 어린이들은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거나 휴대폰 웹을 이용해 동요를
보고
듣습니다. ♬아기 상어 뚜 루루 뚜루 귀여운 뚜 루루 뚜루바닷속 뚜 루루 뚜루 아기 상어!엄마 상어 뚜 루루 뚜루 어여쁜 뚜 루루 뚜루바닷속 뚜 루루 뚜루 엄마 상어! ♬ 어린이뿐 아니라 어른에게도 ... ...
[Interview] 두 번째 한국 우주인 배출 돕고 싶다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이 생기면서 우주에서 실험을 해보겠다는 생각이 나왔고, 우주에서 의미 있는 것을 해
보고
싶다는 생각이 나온 겁니다. 그러자면 민간을 배제할 수 없죠. 민간이 함께 했을 때 다양한 아이디어가 나오니까요. 미국이나 유럽에서는 국가가 주도하는 우주개발 사업보다 민간 주도 사업이 훨씬 더 ... ...
Part 1. 현존 가장 안전한 보안기술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교수(대한수학회장)는 “현재 대부분의 수학자들이 NP 완전 문제는 풀 수 없는 문제로
보고
있다”며 “만약 NP 완전 문제가 풀 수 있는 문제로 증명되면 보안을 비롯해 NP 완전 문제를 토대로 설계한 수 많은 컴퓨터 시스템에 혼란을 초래할 것”이라고 말했다. 암호화된 상태에서 정보 ... ...
[Tech] 요즘 뜨는 나노 기술 3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연구팀은 패혈증 초기에 과도하게 발생하는 활성산소가 이런 기작을 유발한다고
보고
, 세리아(산화세륨·CeO2) 나노 입자가 지르코니아(산화지르코늄·ZrO2)와 결합하면 활성산소를 제거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했다.연구팀은 세리아와 지르코니아를 약 7대 3의 비율로 합성했을 때 세포 내 활성산소가 ... ...
[Issue] 청년실업 문제, 어쩌다 여기까지 왔을까?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연결됐다. 실제로 2015년 고용노동부에서 발간한 ‘2014 ~2024 대학 전공별 인력수급전망’
보고
서를 보면 2014~2024년 대학 및 전문대의 졸업생이 약 79만 명 이상 초과 공급 되는 상황이다. 풍년에 농민들의 소득이 줄어들 듯, 노동시장에 초과 공급이 지속되면 높은 임금을 받고 취직하기는 점점 ... ...
[인터뷰] GIST 신입생대표 이민행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위주의 수학을 배우게 되면서 좋아하게 됐습니다. 명제들이 왜 참이고 거짓인지 생각해
보고
, 왜 그런지 논리를 스스로 만들면서 풀었죠. 그래서인지 문제를 풀 때마다 한 편의 글을 쓰는 느낌이었어요.” 이씨는 수학을 공부할 때 특히 흐름을 놓치지 않으려고 애썼다. 수학은 정의로 시작해 정리와 ... ...
[이달의 사물] 야구공
과학동아
l
2018년 04호
월 24일 올해도 어김없이 프로야구가 개막했습니다. 야구 경기를
보고
있으면 정말 신기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작은 야구공으로 어떻게 그렇게 다양한 구질을 만들 수 있는 걸까요. 어떻게 던지느냐에 따라 야구공은 강속구도, 변화구도 됩니다. 그 중에서도 가장 특이한 녀석이 하나 있습니다. 바로 ... ...
Part 1. 진화하는 사춘기 이론
과학동아
l
2018년 04호
친구가 이 장면을 지켜
보고
있다고 말하자 더 위험한 행동을 했다. 반면 어머니가 지켜
보고
있다고 말하면 위험을 줄였다. 스타인버스 교수는 “친구가 지켜본다고 생각한 경우에는 보상에 민감한 뇌 영역인 선조체가 활성화됐고, 어머니가 지켜본다고 생각한 경우에는 인지능력을 조절하는 ... ...
Part 5. 서울이 가장 심하다?
과학동아
l
2018년 04호
바 없다. 미세먼지 농도가 높을 때 특정 질환으로 입원하는 환자 수가 증가하는 걸
보고
짐작만 할 뿐이다. 황교수는 “같은 크기의 먼지라도 어떤 성분인지에 따라 체내에서 일으키는 반응이나 몸 밖으로 배출되는 비율이 다르다”며 “미세먼지 성분별로 인체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할 ... ...
이전
195
196
197
198
199
200
201
202
20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