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통지
보고서
통고
알림
통보
보도
레포트
d라이브러리
"
보고
"(으)로 총 9,040건 검색되었습니다.
[현장취재] 색(色) 다른 공룡이야기 이야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6호
모습이 화면에 나타났어요. “친구들에게 펭귄의 비밀을 알려 줄게요. 흔히 겉모습을
보고
펭귄을 목과 다리가 아주 짧은 동물이라고 생각해요. 하지만 실제 펭귄의 뼈를 들여다보면 목과 다리가 긴 ‘롱다리 동물’이랍니다.” 박진영 연구원은 이처럼 뼈만 봐서는 동물의 외형을 정확히 알 수 ... ...
Part 2. 세상에서 가장 뜨거운 방귀, 폭탄먼지벌레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6호
포식자는 다신 폭탄먼지벌레를 건드리지 않는다고 해요. 폭탄먼지벌레의 이런 행동을
보고
사람들은 ‘방귀벌레’라는 별명을 붙였어요. 하지만 폭탄먼지벌레가 뿜어내는 물질은 사람이 뀌는 방귀와는 전혀 달라요. 폭탄먼지벌레가 뿜는 유독물질은 특별한 기관에서 만들어지거든요 ... ...
[Tech] 과학으로 달리는 전기자전거
과학동아
l
2018년 06호
등을 이용해 탄소섬유를 제조하면 제조 원가를 기존보다 약 50% 낮출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연구를 진행했다.양 교수는 “피치와 리그닌은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과 비슷한 구조를 갖고 있어 화학적 특성도 유사하다”며 “자전거용 탄소섬유는 경제성을 생각하면 항공 부품용 첨단 탄소섬유보다 저렴한 ... ...
[Origin] 이산화탄소를 연료로, 인공광합성
과학동아
l
2018년 06호
촉매를 만들었습니다. 2015년에는 홀저 다우 독일 베를린대 물리학과 교수팀이 지금까지
보고
된 복합체 중 광계와 가장 비슷한 구조를 가진 망간 촉매를 개발해 국제학술지 ‘사이언스’에 발표했습니다. 현재 남기태 교수팀은 망간을 기반으로 한 망간 산화나노입자를 합성하고, 이 입자로 물을 ... ...
[인터뷰] 연세대 신입생 대표 염규민 “강점인 수리논술 집중해 부족한 내신 극복”
과학동아
l
2018년 06호
관련 분야 연구원이 되는 것이다. 그는 “새로운 물질을 합성하는 분야를 연구해
보고
싶다”고 말했다. 염 씨는 “아직 3개월밖에 생활하지 못했지만 연세대의 가장 큰 특징이자 장점은 RC(Residential College) 프로그램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연세대는 모든 신입생들이 1년간 인천 송도에 위치한 ... ...
[서울대 공대 재학생 인터뷰] 우주항공 엔진 달고 꿈을 향해 비상
과학동아
l
2018년 06호
담을 내용을 만들어 나가는 데 많은 신경을 썼다.가령 서울대의 인재상이 어떤지 찾아
보고
‘융복합 인재’라는 키워드에 맞춰서 인문학자인 도정일 경희대 명예교수와 과학자인 최재천 이화여대 석좌교수의 대화를 정리한 ‘대담’이라는 책을 읽고 거기서 느낀 점을 자기소개서에 썼다 ... ...
Part 1. 두둥~ 거대 공기청정기 나가신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5호
대부분의 집에 한 대씩 있는 공기청정기가 뭐가 신기하냐고? 이 공기청정기를
보고
도 그런 말을 할 수 있을까? 공기청정기로 미세먼지도 잡고 반지도 만든다고?올 겨울, 우리나라는 미세먼지의 피해가 유독 심했어요. 실제로 지난 1월에는 서울 일부 지역의 미세먼지 농도가 300μg/㎥에 가까이 ... ...
[Culture] 너의 목소리가 잘 보여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쉬쉬’는 기계음으로 판단했다. 이정수 디지털과학수사연구소장은 “파형을
보고
음절을 하나하나 분리해 들어본 결과 ‘욕해’가 아닌 ‘이케’로 들렸다”고 설명했다. 목소리 분석 기술은 실제 범죄 수사에서도 중요한 단서가 된다. 음성이 녹음된 데이터에 시비를 가려낼 만한 중요한 ... ...
Part 3. 자율주행자동차, 법으로 본 3대 이슈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사회적 수용성이 매우 중요하다. 그런데 우리 정부는 2022년을 완전자율주행의 도래기로
보고
대응하고 있다. 여기서 자율주행자동차 상용화에 대한 시민들의 사회적 공감대 확보와, 자율주행 기술 선도국과의 격차 해소라는 난제를 어떻게 해결할 것인지 우려된다. 결국 자율주행자동차의 운행과 ... ...
[Issue] 애증의 잠, 잘 자려면?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기면증을 면역세포가 자기 몸의 정상세포를 공격하는 ‘자가면역질환’의 일종으로
보고
있습니다. 바이러스성 질환인 감기나 신종플루에 걸리면 몸 안에서 항체를 만드는데요, 특히 사춘기에는 뇌 조직과 구조가 급격히 바뀌기 때문에 이런 항체가 엉뚱하게도 뇌의 특정 부위를 공격할 수 있죠. ... ...
이전
193
194
195
196
197
198
199
200
20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