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뒤"(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 [꽃가루의 변신 2] 캡슐이 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9호
- 그럼 ‘발아구’라는 구멍이 열린단다. 발아구는 원래 꽃가루가 암술머리에 붙은 뒤에 열리는 구멍인데 안쪽에 물이 차면 압력을 견디지 못하고 열리는 거야. 발아구가 열리면 꽃가루 안쪽에 있던 유전 물질과 단백질이 바깥으로 나와 안쪽이 비게 돼. 꽃가루 안쪽 빈 공간에 있는 꽃가루의 유전 ... ...
- [꽃가루의 변신 3] 종이가 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9호
- 변한 거야. 꽃가루를 80℃의 수산화칼륨 용액에 담가 12시간 동안 두자 젤로 변했지. 그뒤 연구팀은 이 젤에서 수분을 증발시켜 보았어. 그러자 꽃가루의 내막에 있던 셀룰로오스층이 엉겨 붙으며 종이로 변했지. 꽃가루 종이(사진)는 습도에 따라 움직였어. 습기를 머금으면 약 2배까지 너비가 ... ...
- 섭섭박사에게 도전장이 날아왔다! 코딩로봇 ‘지니봇’으로 한 판 승부!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9호
- 선이라고 알아챈답니다.섭섭박사님은 먼저 지니봇을 ‘기울기’ 카드에 접촉시킨 뒤 오른쪽, 왼쪽, 앞쪽 등으로 기울였어요. 코딩 카드 중에도 ‘앞으로 이동하기’ 등 이동 카드가 있지만, ‘기울기’ 카드를 이용하면 로봇을 기울이기만 해도 경로를 입력할 수 있어 더 빨리 코딩할 수 있어요. ... ...
- [4회] 도전! 나도 데이터 요리사수학동아 l2020년 09호
- 018년 7월까지 발표된 155곡에서는 ‘나’라는 단어가 2323회로 가장 많이 나왔습니다. 그런 뒤 ‘나’와 ‘너’라는 단어가 노래 가삿말에서 어떤 단어와 연결되는지를 통해 두 단어를 중심으로 한 네트워크 분석을 했습니다.이렇게 분석한 결과를 보면 ‘나’와 ‘너’라는 단어와 공통으로 자주 ... ...
- [별헤는수학] NASA의 원반 탐정 행성이 탄생하는 원반을 찾아라!수학동아 l2020년 09호
- 이런 이름을 붙였습니다.2016년 시민천문학자의 도움으로 피터팬 원반을 처음 발견한 뒤 천문학자는 피터팬 원반이 어떻게 형성되는지를 연구해왔습니다. 그리고 2020년 6월에는 영국 퀸메리대학교 연구팀이 피터팬 원반이 탄생하는 조건을 밝힌 연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우선 다른 별에서 멀리 ... ...
- [주니어 폴리매스] 게임 디자인 씽킹, 게임 월드에 빠지게 하는 마법 원근법수학동아 l2020년 09호
- 이탈리아의 천재 화가 레오나르도 다 빈치가 그린 ‘모나리자’의 배경을 보면 뒤로 갈수록 푸른색이 더해져 풍경이 더욱 멀리 있는 것처럼 느껴집니다. 거리에 따라 풍경의 묘사에도 차이가 있는데, 가까운 풍경은 자세하게, 멀수록 흐릿하게 그렸죠. 넥슨의 ‘메이플스토리’의 한 장면도 이런 ... ...
- 기후변화 비밀 품은 북극의 사계절을 보다과학동아 l2020년 09호
- 조사하기 위해 해빙 표면에 범지구위성항법스템(GNSS) 추적기를 설치했는데, 며칠 뒤 북극곰이 추적기를 훼손하는 사건도 있었다. 1년 동안 준비한 연구가 물거품으로 돌아가는 순간이었다. 이런 수많은 실패 경험과 인공위성 원격탐사를 통해 북극 연구는 지금도 계속 발전하고 있다. 약 130년 전 ... ...
- 논란 많은 러시아 백신 집중 분석과학동아 l2020년 09호
- 백신의 효능을 확인하기까지 오랜 시간이 걸린다. 하지만 참가자에게 백신을 투여한 뒤 바이러스를 직접 주입하면 이런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실제로 2011년 장티푸스 백신과 1976년 콜레라 백신을 개발할 때 휴먼 챌린지 시험이 도입돼 백신 개발을 앞당기기도 했다. 현재 코로나19 휴먼 챌린지 ... ...
- 세계 최강 울트라블랙 생명체는?과학동아 l2020년 09호
- 별칭을 가진 이디아칸수스 안트로스토무스(Idiacanthus antrostomus)의 빛 반사율은 약 0.1%로 그 뒤를 이었다. 데이비스 연구원은 “가시광선 영역의 모든 파장대로 확대 분석하면 오네이로데스의 평균 빛 반사율은 0.051%”라며 “지상의 극락조와 비슷한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울트라블랙을 ... ...
- [비하인드 로켓] 절치부심, 두번째 도전에 나서다과학동아 l2020년 09호
- 때문인지 러시아측 협력회사 사장단도 대거 입국해 지켜보고 있었다. 다행히 몇 시간 뒤 작업자의 단순 실수로 밝혀져 캄캄해진 오후 9시 10분경 나로호를 기립할 수 있었다.그런데 진짜 복병은 따로 있었다. 발사 당일인 6월 9일, 연구원들은 오전 9시부터 발사 운용을 시작했다. 각자가 맡은 시스템의 ... ...
이전19519619719819920020120220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