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뒤"(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 IT 기술 총집합 방구석 패션쇼수학동아 l2020년 10호
- 패션쇼를 감상할 수 있다. 원리는 간단하다. 모델의 앞, 뒤, 왼쪽, 오른쪽 모습을 찍은 뒤 각 영상을 스마트폰 화면의 상하좌우에서 동시에 나오도록 합쳐 재생한다. 면이 4개인 피라미드 모양의 구조물을 화면 위에 올려놓으면 구조물 중심 부분에 3차원 홀로그램이 보인다. 4개의 영상이 구조물의 각 ... ...
- [매스미디어] 히든싱어6수학동아 l2020년 10호
- 원조가수가 부른 노래로 판단하게 했습니다. 이때 오차는 두 값의 차를 제곱한 뒤 그 값들의 평균을 구하는 ‘평균제곱오차’로 구했습니다. 예를 들어 AI가 학습한 원조가수의 발매 음원의 에너지 값이 (3, 5, -4)이고, 히든싱어에서 부른 원조가수의 노래는 (1. 7, -6), 모창 도전자가 부른 노래는 (-2 ... ...
- [탐험대학]코로나19도 우리를 막을 수 없다! 한여름의 로켓 탐험기수학동아 l2020년 10호
- 다음 계획을 살짝 밝혔답니다. 로켓을 시험발사해서 기본적인 로켓의 성능을 확인한 뒤 얻은 데이터를 바탕으로 조금씩 개선해서 나만의 로켓을 만드는 거죠. 탐험가들은 무사히 시험발사에 성공하고 각자의 로켓을 완성할 수 있을까요? 앞으로 계속될 로켓 분야의 미션과 또 다른 분야의 ... ...
- [3회] 고수의 데이터 요리쇼수학동아 l2020년 09호
- 랜덤 포레스트는 여러 개의 ‘의사결정나무’ 알고리듬에 데이터를 학습시킨 뒤 그 결과를 종합해 일종의 ‘다수결의 원칙’에 따라 판단 혹은 예측하는 알고리듬입니다. 의사결정나무 알고리듬 여러 개를 모은 것이어서 숲이라는 뜻을 가진 ‘포레스트’라는 단어를 쓴 겁니다. 의사결정나무 ... ...
- [별헤는수학] NASA의 원반 탐정 행성이 탄생하는 원반을 찾아라!수학동아 l2020년 09호
- 이런 이름을 붙였습니다.2016년 시민천문학자의 도움으로 피터팬 원반을 처음 발견한 뒤 천문학자는 피터팬 원반이 어떻게 형성되는지를 연구해왔습니다. 그리고 2020년 6월에는 영국 퀸메리대학교 연구팀이 피터팬 원반이 탄생하는 조건을 밝힌 연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우선 다른 별에서 멀리 ... ...
- 우주에서 극지를 보는 이유과학동아 l2020년 09호
- 를 탑재하고 있다. 영상레이더는 파장이 1mm에서 1m 사이인 마이크로파를 지표에 보낸 뒤 되돌아오는 정보를 이용하는데, 구름 입자의 크기보다 파장이 길어 구름을 뚫고 지상을 관측할 수 있다. 극지연구소는 한국항공우주연구원으로부터 관측지의 위성 영상을 거의 실시간으로 제공받아 연구에 ... ...
- 지구 반대편 남극, 매일 인공위성으로 봅니다과학동아 l2020년 09호
- 이 빙산은 길이가 최대 160km, 두께는 300m에 이른다. 대부분의 빙산은 빙붕에서 떨어진 뒤 곧바로 먼 바다로 이동하면서 녹아내리는데, A68은 웨들해의 수심이 얕아 2년 동안 계속 비슷한 위치에 머무르고 있었다. 그러다 2019년부터 웨들해에서 탈출해 북쪽으로 이동하기 시작했다. 현재는 3개의 ... ...
- [아무나 못하는 팩트체크] 모기 기피제 효과 있을까과학동아 l2020년 09호
- 마찬가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피부에 직접 뿌리는 대신 어른의 손에 먼저 뿌린 뒤 얼굴과 상처 부위를 제외한 노출 부위에 발라주는 것이 좋습니다. 물린 부위에는 침 바르기, 효과 있나요?팩트체크 “피부에 염증 일으킬 수도” 전자식 모기향이나 스프레이형 기피제를 사용하더라도 모기에게 ... ...
- AI가 선택한 칼군무 아이돌 1위는?과학동아 l2020년 09호
- 안무 분석 영상이 유튜브에서 히트를 친 뒤에도 그의 도전은 계속됐다. 동선상 다른 멤버 뒤에 가려지는 멤버를 제외하고 안무 일치율을 계산하도록 규칙을 수정했고, 가장 키가 큰 멤버와 가장 키가 작은 멤버의 키 차이를 보상값으로 적용해 키 차이에서 발생하는 오차를 최소화하는 등 ... ...
- 절규하는 그녀, 심장마비로 사망했을까과학동아 l2020년 09호
- 수분이 공급되면서 원래의 축축한 상태로 복원된다. 대변을 생전의 상태로 되돌린 뒤 현미경으로 관찰하면 종종 기생충 알이 발견된다. 사람 몸속에 있는 기생충 알은 소화액, 장내미생물 등에 의해 파괴되지 않도록 껍질이 단단한 키틴질로 이뤄져 있다. 때문에 수백 년이 흘러도 관찰할 수 있다 ... ...
이전19119219319419519619719819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