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체
날씨
일기
기후
양미간
눈살
미간
d라이브러리
"
천문
"(으)로 총 3,078건 검색되었습니다.
블랙홀 탄생의 순간, 우주가 놀란 감마선폭발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현상인 것과 차이가 있다.멜롯 박사는 지난 1월 7일 미국 애틀랜타에서 열린 미국
천문
학회 회의에서 “지구에 위협적인 감마선폭발은 수억년에 한번꼴로 일어날 수 있을 것”이라며 “당장 내일 이런 일이 일어날지도 모를 일”이라고 말했다.이런 주장에 대해 미국 버클리대 고생물학자 제레 립스 ... ...
화성이 눈앞에 펼쳐지는 www.nasa.gov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천문
학과 우주과학에 대해 궁금증이 있다면 ‘FAQ’와 ‘질문상자’를 이용하면 된다.
천문
연구원 홈페이지 접속 속도가 느려 필요 이상으로 이용시간이 길어지는 점이 옥에 티 ... ...
유인화성탐사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것이다우주공간에서 천체간의 거리를 나타내는 가장 큰 단위 1파섹은 326광년으로 1AU(
천문
단위, 지구와 태양과의 거리)의 20만 6천배이며, 309×${10}^{13}$㎞의 길이다 파섹의 물리학적인 정의는 연주시차(年周視差)가 1″(초)가 되는 거리를 말한다 파섹이란 말의 어원은 시차(parallax)와 초(second)의 ... ...
조선시대 사람들은 어떻게 시간을 알았을까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하는 표준시를 사용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설명한다. 현재 각 나라에서는 그리니치
천문
대와 경도 15°만큼 차이가 날 때마다 1시간을 보정한 표준시를 사용한다. 우리나라 시간은 동경 1백35°의 표준시다. 대전은 동경 약 1백27°이므로 표준시와 약 30분 정도 차이가 있다. 따라서 앙부일구에서 ... ...
갈릴레이, 목성 위성 발견해 명성 얻어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결국 굴복할 수밖에 없었다. 당시 망원경은 정교하지 못했기 때문에 관측 사실은 전통
천문
학자들에 의해 쉽게 무시돼 버렸다. 게다가 종교적 믿음이나 전해오는 문헌이 새로 관측된 사실에 비해 더 높은 권위를 갖고 있던 시대였으므로, 당시 종교적 체계의 근간을 이루던 전통전 우주관은 새로운 ... ...
망원경에 잡힌 별의 산실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볼 수 없는 별들도 적외선에서는 모습을 드러낸다. 최근 미항공우주국(NASA)은
천문
학자 라이먼 스피처를 기려 지난해 8월 발사한 망원경을‘스피처’로 정식 명명했다 ... ...
밤하늘에 핀 장미한송이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NGC 2244란 이름이 붙은 산개성단이 위치해 있어 성운을 더욱 빛나게 하고 있다.장미성운은
천문
학적으로도 대단히 중요하다. 이 성운에서 성간 가스가 가장 많이 밀집된 부분은 성운의 중앙부를 둘러싼 꽃잎사귀 부분이다. 이곳에는 다량의 성운과 암흑물질로 이뤄진 암흑성운이 존재하며 그 내부에 ... ...
01. [시간의 기원] 시간의 시작은 있나?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시간의 발견자”라고 말한다. 고대인이 해와 달이 뜨고지며, 계절이 반복되는 주기적인
천문
현상의 관찰을 통해 시간을 발견했다는 것이다.시간에 관한 가장 오래된 기록은 플라톤이 우주에 관해 쓴 ‘티마에우스’(Timaeus)다. 여기에는 “조물주가 태고의 혼돈에 형태와 질서를 부여할 때 시간이 ... ...
03. [시간의 역사] 옛날에는 시간약속을 어떻게 했나?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삼지만 그보다 더 근본적인 것은 달력의 유무다. 고대에 달력을 만들기 위해서는
천문
학과 수학 등 상당한 과학지식이 필요했다. 역사라는 학문을 단순히 ‘인문학의 분야’로만 묶어둘 수 없는 이유, 과학에 뿌리를 둔 역사학자들이 있어야 하는 이유다. 달력의 참 의미 또한 지금 우리는 거의 ... ...
6대의 탐사선이 생명체 존재 여부 밝힌다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소자가 만들어진다(1) 지구상에서 두 극을 지나는 커다란 원 영국 런던의 그리니치
천문
대를 지나는 원(경선)을 본초(本初)자오선이라 하고 이것을 0˚로 하여 동경 180˚, 서경 180˚로 나눈다 (2) 하늘을 큰 공으로 생각했을 때 이 천구(天球)상에서 천정(天頂)과 천저(天底)를 연결하는 커다란 원 즉 ... ...
이전
194
195
196
197
198
199
200
201
20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