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계수
계산
세기
회계기록
빚
d라이브러리
"
셈
"(으)로 총 5,419건 검색되었습니다.
x와 2x는 더할 수 있는데 x와 y는 왜 못 더할까?
수학동아
l
2011년 09호
예를 들어 x =5이고 y =7이라면 2x +x 는 5가 2개, 5가 1개이므로 결과적으로 5가 3개인
셈
이어서 3x 와 같습니다. 그러나 2x +y 는 5가 2개, 7이 1개이므로 5가 3개라거나 7이 3개라고 말할 수 없지요. 이렇게 서로 다른 문자는 값이 다를 수 있기 때문에 문자 상태에서 더이상 간단하게 할 수 없습니다 ... ...
PART 1. 산사태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흐르고 일정한 점성도 지니는 물질이다. 고체와 액체의 특징을 모두 지닌 물질인
셈
이다. 여기에 다시 빗물까지 섞여 든 토석류의 움직임을 물리적으로 명쾌하게 설명할 방법은 아직까지 없다. 윤호중 박사는 “수치를 활용한 물리 모델이나 경험 모델, 수치해석 모델 등 여러 가지 방법을 고려해 ... ...
시조새는 공룡이다?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1861년 이름을 지어 공개한 종이다. 그러니까 학계에 등장한 지 정확히 150년이 된
셈
이다. 그런데 이 종은 ‘시조새’라는 별명에도 불구하고 조류가 아닌 공룡이라는 주장이 이전부터 존재해 왔다. 새와 공룡의 중간 형태를 띠고 있기 때문이다.최근 들어 논쟁이 더 활발해졌다. 깃털을 가진 소형 ... ...
세계에서 가장 밝은 빛 쏜다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수 있다. 생명과학을 연구한다면 원자 수준까지 ‘눈으로 보면서’ 연구할 수 있는
셈
이다.또 하나 중요한 특징은 ‘동영상’ 관찰이 가능하다는 점이다. 구조와 함께 시간 변화도 관찰할 수 있다는 뜻이다. 이는 3세대보다 1000배 빠른 시간(펨토초)까지 포착할 수 있기 때문에 가능하다. 3세대 때 ... ...
나비처럼 날아 애벌레같이 쏜다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털은 천적에게 공격을 받을 때 뿜어내는 방어용 독성 물질보다 선제적인 방어 기능인
셈
이다.이런 털은 기생벌이나 기생파리 같은 기생동물이 애벌레의 몸에 알을 낳지 못하게 하는 효과도 있다. 애벌레보다 훨씬 작은 기생자에게 빽빽한 애벌레의 털은 마치 하늘을 가리는 울창한 숲과 같아 길을 ... ...
Part1. 동물 1만 종 게놈 해독한다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것을 찾아서 고향을 떠나 정착한 곳이 바로 미국이래요. 제가 오늘날의 미국을 탄생시킨
셈
이죠. 그런데 이번에 제 게놈을 분석하면서 병균을 물리칠 수 있는 단서를 발견했대요. 글쎄, 저에게 병에 저항하는 유전자가 무려 800개나 있다는 거예요. 이 유전자들을 잘 활용하면 병충해에 강한 식물을 ... ...
심해잠수정 얼마나 깊이 내려가야 하나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붙이고 다닌다. 바티스카프나 트리에스테에 비해 여러모로 불리한 조건을 안고 있는
셈
이다.더구나 그렇게 깊은 바다를 들어갈 이유도 찾기 어렵다. 큰 의미가 없어진 ‘깊이’를 놓고 다투기보다는 인근 바닷가를 샅샅이 살펴볼 수 있는 안전하고 활용도 높은 잠수함을 개발하는 편이 훨씬 ... ...
한국의 대표 이공계 중점대학 GIST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학사과정을 개설했다. KAIST, 포스텍 같은 이공계 중점대학과 본격적으로 경쟁하게 된
셈
이다. KAIST나 포스텍, 울산과기대(UNIST) 등은 모두 우리나라 이공계 인재 양성의 산실로서 나름의 학풍을 각각 갖고 있다. 하지만 GIST는 그 가운데서도 독특한 위치에 있다. 지난 16년간 대학원을 운영한 노하우를 ... ...
수학 실력은 타고난다
수학동아
l
2011년 09호
단순히 수를 세는 능력뿐만 아니라 그 다음 수를 예측하는 능력과 묶음으로 빠르게
셈
하는 능력까지 보였다.연구팀은 이러한 검사 결과를 토대로 기초적인 수 감각과 수학 실력은 개인별로 차이를 보이며, 이 능력은 선천적으로 타고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리버터스 박사는 이번 연구를 통해 ... ...
무한도전팀도 몰랐던 조정의 수학
수학동아
l
2011년 09호
다리의 힘을 최대한 노에 전달할 수 있도록 설계돼 있다. 즉 온 몸을이용해 노를 젓는
셈
이다. 게다가 축에 노를 걸고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해 배가 나아가는 데 필요한 힘을 최대한 끌어내서 활용한다. 반면 노를 직접 들고 젓는 카누는 주로 상체의 힘을 이용한다. 이런이유로 조정은 일정 속도까지 ... ...
이전
194
195
196
197
198
199
200
201
20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