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계수
계산
세기
회계기록
빚
d라이브러리
"
셈
"(으)로 총 5,419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수학자의 별난 발명품
수학동아
l
2011년 10호
고약한 악취와 유독가스를 막기 위해서다. 고인 물이 일종의 방어벽 역할을 하는
셈
이다.그러면 이 방법은 누가 고안했을까? 그 주인공은 영국의 수학자 알렉산더 커밍(1733~1814)이다. 그가 발명한 트랩 덕분에 인류는 배설물 냄새로부터 해방됐고 상하수도보급과 더불어 수세식 변기가 유행하기 ... ...
Part 3. ‘가장 완벽한 이론’을 꿈꾸다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개정을 거듭하며 42년이 지난 지금까지 쓰이고 있다. 현대 양자역학 역사의 산 증인인
셈
이다. 8월 26일 낮 12시, 서울 명동의 한 음식점에서 베임 교수를 만났다. 포스텍에서 열린 학술대회를 마치고 오후 비행기로 출국하기 직전이었다. 해설과 통역을 위해 금용연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연구교수가 ... ...
가위 바위 보의 생태학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자원을 쓰지 않기 때문에 세포분열 속도가 더 빠르기 때문이다. 바위와 보의 관계인
셈
이다.해독제만 만드는 대장균과 아무것도 만들지 못하는 대장균이 만나면 후자가 번성한다. 해독제를 만드는데 자원을 쓰지 않기 때문이다. 보와 가위의 관계다. 짐작하겠지만 아무것도 만들지 못하는 대장균과 ... ...
줄기세포 만드는 스위치 찾았다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일반 세포는 분화능력을 얻지 못한다. 결국 FOXP1이 세포의 분화능력을 조절하는 스위치인
셈
이다.블렌코 교수팀은 이번 연구 결과가 안전한 줄기세포치료제 개발의 가능성을 열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고 발표했다. 줄기세포는 손상된 조직을 효과적으로 복구하지만, 조직이 완성된 뒤에도 ... ...
외국어 뭐하러 배우지?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것과 같은 언어학적 규칙에 따라 번역한다. 사람처럼 사전과 문법책을 보고 번역하는
셈
이다. 먼저 형태소 석을 한 뒤 단어를 찾아 뜻과 품사를 결정하고 다시 배열한다. ‘너 밥 먹었니?’와 ‘밥 먹었니, 너?’처럼 단어의 순서가 바뀌어도 같은 뜻으로 이해하고 번역하기 위해서다. 단어를 번역할 ... ...
스마트 그리드와 함께 멋진 인생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생활하는 법을 연구원들에게 전해줬다. ‘노는 법’과 ‘공부하는 법’을 함께 배운
셈
이다. 덕분에 바쁜 연구실 생활에도 큰 스트레스 받지 않고 졸업할 수 있었다. 요즘처럼 정신 없이 바쁜 상황에서도 즐겁게 일할 수 있는 원동력이 되고 있다. 이런 유연한 인생 철학이 졸업 후 회사에서 다양한 ... ...
한국의 대표 이공계 중점대학 GIST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학사과정을 개설했다. KAIST, 포스텍 같은 이공계 중점대학과 본격적으로 경쟁하게 된
셈
이다. KAIST나 포스텍, 울산과기대(UNIST) 등은 모두 우리나라 이공계 인재 양성의 산실로서 나름의 학풍을 각각 갖고 있다. 하지만 GIST는 그 가운데서도 독특한 위치에 있다. 지난 16년간 대학원을 운영한 노하우를 ... ...
x와 2x는 더할 수 있는데 x와 y는 왜 못 더할까?
수학동아
l
2011년 09호
예를 들어 x =5이고 y =7이라면 2x +x 는 5가 2개, 5가 1개이므로 결과적으로 5가 3개인
셈
이어서 3x 와 같습니다. 그러나 2x +y 는 5가 2개, 7이 1개이므로 5가 3개라거나 7이 3개라고 말할 수 없지요. 이렇게 서로 다른 문자는 값이 다를 수 있기 때문에 문자 상태에서 더이상 간단하게 할 수 없습니다 ... ...
PART 1. 산사태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흐르고 일정한 점성도 지니는 물질이다. 고체와 액체의 특징을 모두 지닌 물질인
셈
이다. 여기에 다시 빗물까지 섞여 든 토석류의 움직임을 물리적으로 명쾌하게 설명할 방법은 아직까지 없다. 윤호중 박사는 “수치를 활용한 물리 모델이나 경험 모델, 수치해석 모델 등 여러 가지 방법을 고려해 ... ...
시조새는 공룡이다?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1861년 이름을 지어 공개한 종이다. 그러니까 학계에 등장한 지 정확히 150년이 된
셈
이다. 그런데 이 종은 ‘시조새’라는 별명에도 불구하고 조류가 아닌 공룡이라는 주장이 이전부터 존재해 왔다. 새와 공룡의 중간 형태를 띠고 있기 때문이다.최근 들어 논쟁이 더 활발해졌다. 깃털을 가진 소형 ... ...
이전
193
194
195
196
197
198
199
200
20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