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수분
워터
용수
경수
수질
액체
용액
d라이브러리
"
물
"(으)로 총 7,739건 검색되었습니다.
[Future] 나노셀룰로오스의 세계, 나무 갈아 배터리 만든다?
과학동아
l
2017년 06호
않는다. 마치
물
과 기름처럼 둘이 잘 섞이지 않는다. 현재는 나노셀룰로오스의 표면이
물
을 튕겨내는 성질을 갖도록 하는 연구를 하고 있다.변화는 시작되고 있다. 제지공학계 일부만 연구하던 나노셀룰로오스를 최근엔 다양한 분야에서 관심을 갖고 있다. 대학과 연구소 실험실에서 다양한 연구 ... ...
[과학뉴스] 지구랑 꼭 닮은 외계 행성 7개 찾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6호
이루어져 있고, 기온이 0~100℃ 사이인 ‘지구형 행성’이랍니다. 이런 조건에서는
물
이 액체 상태로 흐를 수 있기 때문에 과학자들은 트라피스트-1 주변의 행성에도 생명체가 살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있어요.연구를 이끈 벨기에 리에주대 미카엘 지용 교수는 “트라피스트-1과 같은 항성계가 ... ...
과학마녀 일리의 한자풀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6호
발음요소인 ‘평평할 견(幵)’과 의미요소인 ‘터럭 삼(彡)’이 들어 있어요. 터럭은 동
물
의 길고 굵은 털인데 이를 뭉쳐 만든 붓으로 가로, 세로를 그린 ‘모양’을 뜻하게 됐죠. ‘평평할 견(幵)’은 방패 두 개를 나란히 놓은 모양에서 ‘평평하다’는 뜻을 갖게 됐답니다 ... ...
Part 3. 마실
물
만드는 별별 방법!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6호
염생 식
물
인 맹그로브를 따라해 볼까?보통 식
물
들은 염분이 많은 땅에서는 살지 못해요. 그런데 맹그로브는 바닷
물
에서도 살 수 있어요. 그건 뿌리 덕분이랍니 ... 부족을 해결하라!Part 1.
물
진짜 부족한 걸까?Part 2. 바닷
물
어떻게 마실 수 있는
물
로 만들까?Part 3. ...
어떻게 내 마음을 읽었지? 프로페서 X가 만난 아키네이터
수학동아
l
2017년 06호
스스로 단어와 의미를 다룰 수 있게 된다면, 질문을 통해 상대방이 생각하고 있는 인
물
은
물
론 각종 정보를 읽을 수 있게 될 것입니다. 아키네이터가 더 발전하기 전에 저의 독심술을 더욱 다듬고 방어 기술을 연마해야겠어요. 그럼 이만~ ... ...
[과학뉴스] 방사성
물
질에 오염된
물
미생
물
로 깨끗하게
과학동아
l
2017년 06호
기술로 항암치료에서 발생하거나 뜻하지 않은 원전 사고로 노출될 수 있는 방사성 폐기
물
을 제거할 수 있을 전망이다. 이 연구 결과는 영국왕립화학회가 발간하는 학술지 ‘케미컬 커뮤니케이션스’ 4월 4일자에 표지논문으로 게재됐다. doi:10.1039/C7CC0072 ... ...
[과학뉴스] 화학자가 새롭게 밝힌 눈송이의 비밀
과학동아
l
2017년 06호
설명했다.연구팀은 이 같은 결정 구조 때문에 눈송이가 대기 중 이산화탄소와 질소산화
물
같은 기체의 화학변화에 촉매로 작용하는 등 기존에 몰랐던 독특한 반응성을 나타낼 것으로 예측하고 현재 조사하는 중이다. 이번 연구 결과는 학술지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 5월 9일자에 실렸다. doi:10. ... ...
Part 1. 문명이 낳고 과학이 키우다
과학동아
l
2017년 06호
1653년 탈출할 때 빵을 만들었다는 기록이 있다. 일찍이 서양으로부터 빵을 비롯한 여러 문
물
을 받아들인 일본인들이 1902년 한반도에 빵집을 지었다는 기록도 있다. 일제 강점기에는 제과제빵 기술이 국내에 전파되기 시작했다. 하지만 당시만 해도 빵은 대중이 아닌, 소수 사람들만 특별한 목적 하에 ... ...
[과학뉴스] 고무와 플라스틱, 식
물
로 만든다
과학동아
l
2017년 06호
에너지혁신촉매센터(CCEI)에서 개발한 인산 올-실리카 제올라이트를 첨가하면, THF의
물
이 빠져나오면서 고리결합이 풀리고 부타디엔이 된다고 설명했다.연구팀은 이번에 개발한 수율이 높고 가격이 싼부타디엔 제조법을 통해 고무나 타이어 등의 생산 비용을 낮출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doi:10.1021 ... ...
[과학뉴스] 남극의 ‘피의 폭포’ 미스터리 풀리나
과학동아
l
2017년 06호
남극 테일러 빙하 한쪽 끝에 있는 ‘피의 폭포’는 빙하 위로 새빨간
물
이 흘러 붙여진 이름이다. 1911년 호주의 지질학자 그리피스 테일러가 처음 ... 격자 모양으로 움직여, 마치 박쥐가 초음파를 이용해 주변을 보는 것처럼 얼음 안에 있는
물
을 볼 수 있었다”고 말했다. doi:10.1017/jog.2017.1 ... ...
이전
194
195
196
197
198
199
200
201
20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