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수분
워터
용수
경수
수질
액체
용액
d라이브러리
"
물
"(으)로 총 7,739건 검색되었습니다.
[Future] 나노셀룰로오스의 세계, 나무 갈아 배터리 만든다?
과학동아
l
2017년 06호
않는다. 마치
물
과 기름처럼 둘이 잘 섞이지 않는다. 현재는 나노셀룰로오스의 표면이
물
을 튕겨내는 성질을 갖도록 하는 연구를 하고 있다.변화는 시작되고 있다. 제지공학계 일부만 연구하던 나노셀룰로오스를 최근엔 다양한 분야에서 관심을 갖고 있다. 대학과 연구소 실험실에서 다양한 연구 ... ...
[Career] 번개 구름 흉내 낸 나노발전기
과학동아
l
2017년 06호
것은 번개가 치는 구름에서 전하가 분리되는 원리였다. 번개 구름 안에는 수없이 많은
물
입자가 들어 있는데, 대개 수증기나 얼음입자 형태다. 얼음입자들끼리 마찰을 일으키면서 양전하(+)와 음전하(-)가 생기고, 전하 간 무게 차이로 인해 구름의 위아래가 양전하와 음전하를 띠게 된다. 임계 전하 ... ...
Intro. 바닷
물
을 꿀꺽꿀꺽?!
물
부족을 해결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6호
안녕! 나는 바다초등학교 4학년 김
물
이야. 나는
물
을 가지고 노는 게 너무 좋아~! 언제 어디서든 수도꼭지만 열면
물
이나오잖아!
물
을 콸콸 틀어놓고
물
장난을 하는 거 ... 해결하라!Part 1.
물
진짜 부족한 걸까?Part 2. 바닷
물
어떻게 마실 수 있는
물 ...
Part 2. 바닷
물
어떻게 마실 수 있는
물
로 만들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6호
바닷
물
을 그냥 마시면 안 되는 이유!바닷
물
을 그냥 마시면 안 되는 이유는 바로 ‘삼투현상’ 때문이에요. 바닷
물
에는 흔히 소금이라고 부르는 염화나트륨을 비롯해 ... 해결하라!Part 1.
물
진짜 부족한 걸까?Part 2. 바닷
물
어떻게 마실 수 있는
물
로 만들까?Part 3. 마 ...
어떻게 내 마음을 읽었지? 프로페서 X가 만난 아키네이터
수학동아
l
2017년 06호
스스로 단어와 의미를 다룰 수 있게 된다면, 질문을 통해 상대방이 생각하고 있는 인
물
은
물
론 각종 정보를 읽을 수 있게 될 것입니다. 아키네이터가 더 발전하기 전에 저의 독심술을 더욱 다듬고 방어 기술을 연마해야겠어요. 그럼 이만~ ... ...
[수학소설 I 멋진 신세계] 무중력 소풍
수학동아
l
2017년 06호
편 저 멀리 거주 공간이 보였다. 커다란 건
물
도 인공호수도 모두 조그만 모형 같았다.
물
위에 배를 띄워 놓고 노는 사람들도 보였다.‘나도 저렇게 우리 가족과 함께 즐겁게 지낼 수 있으면 좋을 텐데.’그런 생각이 들자 엄마 생각이 나면서 마음이 무거워졌다. 하림이 공중에서 엉거주춤하자 다른 ... ...
[과학뉴스] 고무와 플라스틱, 식
물
로 만든다
과학동아
l
2017년 06호
에너지혁신촉매센터(CCEI)에서 개발한 인산 올-실리카 제올라이트를 첨가하면, THF의
물
이 빠져나오면서 고리결합이 풀리고 부타디엔이 된다고 설명했다.연구팀은 이번에 개발한 수율이 높고 가격이 싼부타디엔 제조법을 통해 고무나 타이어 등의 생산 비용을 낮출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doi:10.1021 ... ...
[과학뉴스] 남극의 ‘피의 폭포’ 미스터리 풀리나
과학동아
l
2017년 06호
남극 테일러 빙하 한쪽 끝에 있는 ‘피의 폭포’는 빙하 위로 새빨간
물
이 흘러 붙여진 이름이다. 1911년 호주의 지질학자 그리피스 테일러가 처음 ... 격자 모양으로 움직여, 마치 박쥐가 초음파를 이용해 주변을 보는 것처럼 얼음 안에 있는
물
을 볼 수 있었다”고 말했다. doi:10.1017/jog.2017.1 ... ...
Part 1. 문명이 낳고 과학이 키우다
과학동아
l
2017년 06호
1653년 탈출할 때 빵을 만들었다는 기록이 있다. 일찍이 서양으로부터 빵을 비롯한 여러 문
물
을 받아들인 일본인들이 1902년 한반도에 빵집을 지었다는 기록도 있다. 일제 강점기에는 제과제빵 기술이 국내에 전파되기 시작했다. 하지만 당시만 해도 빵은 대중이 아닌, 소수 사람들만 특별한 목적 하에 ... ...
Part 3. 최고의 빵 만드는 ‘태양의 손’은 누구?
과학동아
l
2017년 06호
루코노스톡)은 젖산 외에도 휘발성
물
질인 알코올과 이산화탄소를 만든다. 휘발성
물
질과 기체가 많다는 것은 그만큼 풍미를 많이 낸다는 뜻이다.또한 발효종을 넣은 빵은 오랫동안 보존할 수 있다. 발효가 서서히 일어나면서 조직이 훨씬 조밀하고 탄탄해지기 때문이다. 빵이 식으면서 조직이 ... ...
이전
194
195
196
197
198
199
200
201
20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