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위논문
논제
시문
석사논문
석사
박사 학위 논문
글
d라이브러리
"
논문
"(으)로 총 3,673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3. 튜링의 마지막 도전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있는 수많은 분자의 기능을 알아냈으며 뇌를 컴퓨터에 빗대 설명한다. 그러나 튜링이 이
논문
을 발표했던 1950년대만 해도 생명 현상과 정보 처리를 같은 것으로 생각하는 사람은 거의 없었다.생명체와 실리콘의 융합튜링이 살아있었다면, 지금의 생물학은 수학 및 전산학과 훨씬 더 빨리 만났을 ... ...
생각만으로 로봇을 조종한다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모습이 벌써 현실이 됐다.지난 5월 17일 과학저널 ‘네이처’의 홈페이지에는 한 편의
논문
과 함께 지난해 4월에 촬영한 영상이 올라왔다. 영상 속의 50대 여성은 로봇 팔을 조종해 커피를 마셨다. 여성의 이름은 캐시 허치슨으로 1996년에 찾아온 뇌졸중으로 전신이 마비된 환자였다. 캐시는 커피를 ... ...
비상~! 보이지 않는 습격!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6호
박사팀은 영국, 호주 연구진과 공동으로 많은 마이크로플라스틱이 바다로 흘러간다는
논문
을 발표했어.마이크로플라스틱은 1㎜보다 작은 플라스틱이야. 원래는 큰 플라스틱인데 빛에 의해 분해되거나 물리적으로 부서져 작아졌지. 옷에 서 부푸러기가 생기는 것처럼 합성섬유 옷을 만지거나 빨 때 ... ...
컴퓨터과학의 아버지, 알란 튜링을 만나다
수학동아
l
2012년 06호
1936년에 튜링이 현대 컴퓨터의 기원이 되는 ‘튜링 기계’에 대한 아이디어가 담긴
논문
을 쓰고 발표한 곳이지요.요즘 컴퓨터라고 하면 본체와 모니터, 키보드가 있는 데스크톱이나 노트북, 혹은 태블릿PC를 떠올립니다. 튜링이 대학교를 다니던 1930년대에도 컴퓨터라는 단어는 있었습니다. 하지만 ... ...
Part 1. 튜링을 만나다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박사님이 개발하셨던 암호해독기 ‘봄(BOMBE)’이 복원돼 있어요. 박사님이 쓰신
논문
과 개인 용품까지 전시돼 있군요. 테디 베어도 있어요. 어릴 때 갖고 노시던 건가 봐요?튜링 (얼굴을 붉히며)어흠, 그…, 그건…. 그러니까 암호 해독기가 궁금하신 거죠?기자 왜 그렇게 당황하시…. 혹시 어릴 때가 ... ...
Part 1. 태양보다 100억 배 무거운 블랙홀 있다!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은하 NGC 3842의 중심에 태양질량의 약 100억 배의 블랙홀이 있다는 사실을 밝혔다. 같은
논문
에서 연구자들은 지구에서 3억 3600만 년 떨어진 은하 NGC 4889의 중심에 있는 블랙홀에 대해서도 보고했는데, 데이터가 부족해 정확하지는 않지만 태양질량의 100억 배가 넘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연구자들은 ... ...
지옥보다 독한 극한실험실5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공동 운영특징 절대영도에 도전하는 ‘차가운’ 실험실.날짜 2003년 9월 12일(사이언스
논문
게재일)지구 자기장의 200만 배초등학생 시절 한쪽 끝이 빨갛고 파란 작은 막대 자석을 가지고 놀았던 기억을 떠올려 보자. 철가루를 뿌려서 눈에 보이지 않는 자기장을 확인할 때의 신비로움이 기억난다. ... ...
Part 1. 바닷물은 어디서 왔는가?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물이 존재했다는 연구 결과가 나오면서 새로운 국면에 접어든다. 지난 2001년 네이처에
논문
이 하나 실렸다. 약 44억 년 전에 만들어진 광물 지르콘을 조사한 결과 물이 있는 곳에서 생성됐다는 것이다. 지구 생성 당시 먼지 알갱이에 맺혀 있던 물방울이 바닷물의 기원이라는 견해도 있다.또다른 ... ...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봉인해제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에라스뮈스 메디컬센터 론 푸히르 교수의
논문
은 아직 공개되지 않았다. 이번 두 편의
논문
으로 ‘득이 될 수도 독이 될 수도 있는’ 연구에 대한 잣대가 어느 쪽으로 기울지 주목된다 ... ...
Part 2. 생각하는 로봇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4월 13일자 표지로 쓴 튜링 패턴. 이 패턴은 자연계에서 찾아볼 수 있다(130쪽 오리지널
논문
으로 배우는 생명과학 참조).]뇌는 세상을 보며 끝없이 가설을 만든다.필자는 뇌가 ‘예측적 부호화’라는 방법으로 작동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이 가설의 내용은 이렇다. 뇌는 끊임없이 관찰할 세상에 대한 ... ...
이전
194
195
196
197
198
199
200
201
202
다음
공지사항